한국과 핀란드의 직업교육체제와 직업분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Vocational Education Systems an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of Korea and Finland
- 저자
- 권대봉 김경회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2-2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2.11.30
- 등록일
- 2002.11.30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3. 연구의 범위 5 4. 용어의 정의 6 Ⅱ. 선행연구 분석 15 Ⅲ. 핀란드의 국가개관과 교육 21 1. 핀란드의 국가개관 21 2. 핀란드의 교육과 행정조직 30 3. 핀란드의 교육정책 39 4. 핀란드의 학제 41 Ⅳ. 핀란드의 직업교육체제 및 직업분류 57 1. 핀란드의 직업교육체제와 직업교육기관 57 2. 핀란드의 직업교육 관련 제도 73 3. 핀란드의 직업분류 82 Ⅴ. 한국의 직업교육체제 및 직업분류 89 1. 한국의 직업교육체제와 직업교육기관 89 2. 한국의 직업교육 관련 제도 96 3. 한국의 직업분류 103 Ⅵ. 한국과 핀란드의 직업교육체제 및 직업분류 비교 109 1. 직업교육체제와 직업교육기관 비교 109 2. 직업교육 관련 제도 비교 114 3. 직업분류 비교 117 Ⅶ. 결론 및 제언 127 1. 결론 127 2. 제언 133 참고문헌 137 ABSTRACT 141 부 록 147
본 연구의 목적은 인적자원을 바탕으로 신흥 지식 강국으로서 급부상하고 있는 핀란드의 교육제도 및 교육정책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특히 핀란드의 직업교육체제에 초점을 맞춰서 한국의 직업교육체제와 비교함으로써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과 핀란드의 직업분류 기준과 해당 직업군을 비교하여 직업분류와 직업교육이 연계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 한국과 핀란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여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직업군에 대한 단초를 제시하고자 한다.
It becomes imp ortant tasks to raise human resou rce for keeping with of rapid social change and leadin g to tran sfer into "knowledge-based society " . It is need ed systematic strategy to meet above social needs as a national level as well as a social level and an individual level. It is meaningful to benchmark the education system of nation which has achieved to transfer from industrial society to knowledge-based society and has high-degree potential capacities of development at present. Especially, it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how th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plays a important role to support work life is constructed and works and what kind of national stand 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 has equipped . At a viewpoint of above, this research benchmarked the Finnish vocational education system and the Finnish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 ation because Finland is evaluated a one of countries which made success to transfer to knowledge-based society and has made continuos reformation of education part to support leading position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 what Korea' s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in knowledge-based society through comparing th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and the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of Korea with the Finland' s, based on understanding a general outlook of Finland and the Finnish education. ...
<표 Ⅰ-1> 지식기반경제 실현을 위한 주체별 활동 (사례) 9 <표 Ⅰ-2> 미국에서 가장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직업(1996∼2006) 9 <표 Ⅰ-3> 훈련과 교육에서의 강조점 차이 11 <표 Ⅲ-1> 핀란드의 인구 구성 변화 27 <표 Ⅲ-2> 주요 평가기관의 국가경쟁력 개념 규정 29 <표 Ⅲ-3> 핀란드의 행정 수준에 따란 교육 수행 구분 33 <표 Ⅲ-4> 핀란드 초등학교 수 45 <표 Ⅲ-5> 상급 중등교육 졸업생 연령군의 상급학교 진학률 51 <표 Ⅳ-1> 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교육비 지출 현황 (1996) 61 <표 Ⅳ-2> 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교육기관 수와 학생수 (1998∼1999) 62 <표 Ⅳ-3> 중등수준 직업교육기관의 운영 주체별 분류 (2000년) 63 <표 Ⅳ-4> 중등 직업교육기관에 소속된 학생 규모와 신입생 수 64 <표 Ⅳ-5> 상급 중등교육에서의 일반교육 트랙과 직업교육 트랙의 학생수 변화 추세 (1985/ 86∼1997/ 98) 65 <표 Ⅳ-6> 폴리테크닉과 전체 학생수 및 신입생수 68 <표 Ⅳ-7> 핀란드 국가자격제도에서 페인팅 기술에 대한 자격등급에 따른 필수 모듈과 검정기준 (기술과 운송영역의 외관 처리 기술중) 79 <표 Ⅳ-8> 직업교육기관과 취득한 자격증 수 81 <표 Ⅳ-9> 핀란드의 직업분류체계 (대분류와 중분류 기준) 84 <표 Ⅳ-10> ISCO-88의 직무능력수준별 요구되는 능력 85 <표 Ⅳ-11> 핀란드 직업분류체계별 요구하는 직무능력 수준 86 <표 Ⅳ-12> 핀란드의 직업교육체제와 직업분류체계의 직업군 비교 88 <표 Ⅴ-1> 실업계 고등학교의 계열별 학교수와 학생수 92 <표 Ⅴ-2> 한국 고등교육기관의 특징 96 <표 Ⅴ-3> 현장실습의 본래 교육목표 기여도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97 <표 Ⅴ-4> 분류기준에 따른 한국의 국가자격 현황 99 <표 Ⅴ-5> 국가기술자격의 기술 기능 분야 자격 검정 방법 101 <표 Ⅴ-6> 한국의 직업분류표 (대분류와 중분류 기준) 104 <표 Ⅴ-7> 한국의 직업분류체계별 요구하는 직무능력 수준 105 <표 Ⅴ-8> 한국의 직업교육체제와 직업분류체계의 직업군 비교 107 <표 Ⅵ-1> 한국과 핀란드의 직업교육체제 비교 111 <표 Ⅵ-2> 한국과 핀란드의 주요 직업교육기관 비교 113 <표 Ⅵ-3> 한국과 핀란드의 국가자격제도 비교 116 <표 Ⅵ-4> 한국과 핀란드의 직업분류 비교 120 [그림 Ⅰ-1] 연구 흐름도 6 [그림 Ⅰ-2] 지식의 범주 7 [그림 Ⅲ-1] 핀란드 교육부의 조직도 35 [그림 Ⅲ-2] 핀란드 교육과 훈련 행정 체계도 37 [그림 Ⅲ-3] 핀란드 고등교육과 연구 관련 중앙 행정 체계 38 [그림 Ⅲ-4] 핀란드의 학제 42 [그림 Ⅳ-1] 핀란드의 직업교육체제 60 [그림 Ⅳ-2] 핀란드 국가자격제도의 운영체계 78 [그림 Ⅴ-1] 한국의 직업교육체제 90 [그림 Ⅴ-2] 국가기술자격의 등급체계 10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한국과 핀란드의 직업교육체제와 직업분류 비교 연구 | 2002.06.01~2002.11.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