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APEC 내 정보통신분야 인력양성과 인적자원 교류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A Study on APEC ICT Human Capacity Building and Facilitation of Human Resource Exchange
저자
이정택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3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12.31
등록일
2002.12.3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질문 2
    가. 정보통신기술 인력양성의 주요대상과 인력양성 접근방식은 무엇인가? 3
    나. 아시아·태평양 지역 정보통신기술 인력 국제 활성화 방안모색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3
    다. 본 연구에서 민간부문 혹은 시장의 역할을 무엇인가? 4
    라. 2차년도인 2003 연구과제는 무엇인가? 4
  3. 연구 내용 5
    가. 정보통신기술 인력양성 개념, 대상, 접근 틀 정립 5
    나. 국제포럼 참가국 선정과 목차에 충실한 논문 작성 6
    다. 국제포럼 발표, 토론, 다음 해 계획 입안 7
  4. 연구 방법 7
    가. 국제포럼 준비 전문가 협의회 및 간담회 8
    나. 국제포럼 참가자에 의한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8
    다. 국제포럼의 연구자료 생성 기능 9
  5. 연구 범위 10
Ⅱ. 정보통신기술 인력양성 및 국제 활성화 접근 틀 모색 14
  1. 접근 틀 14
    가. 필요성 14
    나. 개발관리모형 15
Ⅲ. APEC 정보통신기술 교육훈련 정책 실태 28
  1. 주요국들의 교육훈련 정책 현황 29
    가. 한국 29
    나. 호주 42
    다. 싱가포르 56
    라. 중국 74
    마. 인도네시아 89
    바. 베트남 92
    사. 필리핀 97
Ⅳ. 향후 발전 과제와 대책 100
  1. 공통점과 차이점 100
  2. 향후 발전 과제와 대책 103
    가. 정보통신기술 인력양성과 국제교류 활성화 발전 과제 103
    나. 향후 대책 105
    다. 2003년 활동계획에 있어 추가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 106
Ⅴ. 맺음말 112
  1. 요약정리 112
  2. 향후 과제 115
참고 문헌 117
Abstract 120
  본 연구는 세계화·디지털 경제시대 아시아·태평양 정보통신기술분야 인력양성 정책 틀 개발, 해당국의 정보통신기술분야 인적자원개발 현 위치 및 지역 내 직업능력구축전략, 하드웨어 인프라 구축 및 발전방향, 정보관리 및 통합정보 시스템 구축, 정보통신 직업능력개발·관리, 향후 발전방향과 전망 순으로 분석·정리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하여, 2003년에는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서 정책포럼을 개최하여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정부가 개발한 정보통신기술분야 인력양성 마스터플랜과 공무원 인력양성 훈련모델의 개발과 실행을 평가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APEC역내의 모든 국가들에서 정보통신교육과 훈련을 받은 인력들의 고용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As a two- year project from 2002 to 2003,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mprehensive development and management framework for human capacity building (HCB)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ICT ) and facilitation of human resource exchanges within Asia Pacific region.
 Issues of HCB for ICT workforce and facilitation of human resource mobility require integration of both research and development . It is in this context that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model of model where module- based education and training method and sy stemat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SCID) are combined, on - and off- line education and training are integrated, and individual country ' s specific education and training plan is suggested to b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general framework formulated by this study.
 Sources of data for this study were nine papers by nine participant s at APEC ICT Policy Forum held at KRIVET , Sep 25- 26, 2002, jointly organized by researcher in charge of this project and the APEC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Contributors of those papers come from Australia, Canada, Indonesia, New Zealand, Peoples Republic of China, Philippines, Singapore, Vietnam, and Republic of Korea.
 In having all the nine paper s drafted on into the directions and level wanted by the project over seer who had proceeded with several rounds of formulating the draft agenda for the policy forum, the researcher of this project has gone through with several occasions of traveling across APEC meetings in both 2001 and 2002.
 The following are the major points emphasized by experts met throughout those occasions as well as at the meeting s arranged for by the researcher :
 Firstly, selection of some countries out of those 21 APEC member economies is important and critical for the study . Thus, afore-mentioned countries were selected as Australia, Canada, New Zealand, Singapore, and ROK as advanced in ICT field while PRRC and Philippines as somewhere in the middle and both Indonesia and Vietnam as undeveloped.
 Secondly , Both Indonesia and Vietnam were targeted by the study to be countries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policy and technical consultation in the field of ICT , but on the basis of their voluntary request .
 Thirdly, mutual recognition oriented approach should be avoided because of significance in existence of variety of relevant systems such as education and labor market , accreditation system, and others. As an alternative, construction of a general framework was suggested to be designed for the purpose of making all the ICT less developed member countries formulate their own specific plan based on t도 general framework.
...
<표 Ⅱ-1> 정보통신기술 영역별 능력과 내용 19
<표 Ⅱ-2> 기본적인 정보통신 기술능력과 기술들의 예 20
<표 Ⅲ-1> 정보통신기술인력의 부족 현상 30
<표 Ⅲ-2> 호주 연방정부의 역할과 책임 43
<표 Ⅲ-3> 교육 분야의 네 가지 영역과 목표 60
<표 Ⅲ-4> 마스터플랜 Ⅰ의 결과 62
<표 Ⅲ-5> 싱가포르의 5단계 훈련 프로그램들 73
<표 Ⅲ-6> 10개국의 PC보유 현황 76
<표 Ⅲ-7> 지역별 대학 및 대학생 79
<표 Ⅲ-8> 교육 프로그램의 시간표 83
<표 Ⅲ-9> 교육 프로그램별 학생수 83
[그림 Ⅱ-1] SCID 접근법에 따른 모델의 예 23
[그림 Ⅱ-2] 정보통신기술인력 양성 및 APEC 국제교류 활성화 접근 틀 26
[그림 Ⅱ-3] APEC 정보통신기술 인력양성·국제교류 활성과 접근 틀 27
[그림 Ⅲ-1] 국내 인터넷 이용자 수 30
[그림 Ⅲ-2] 정부·기업·개인별 이용 가능한 프로그램 분포 44
[그림 Ⅲ-3] 패키지화된 훈련 과정 45
[그림 Ⅲ-4] 도구 상자의 초기화면 46
[그림 Ⅲ-5] 호주대학연구 네트워크 55
[그림 Ⅲ-6] 컴퓨터별 인터넷 이용현황 77
[그림 Ⅲ-7] 사용자별 인터넷 이용현황 77
[그림 Ⅲ-8] 중국 CERNET의 구축현황 8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APEC내 정보통신분야 인력양성과 인적자원교류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2002.01.11~200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