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중양국의 산업발전 단계에 따른 직업기술교육의 변천 과정 비교 연구

A Korea-China Comparative Study on Changing Patterns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over Industrial Development
저자
강일규 백성준 김승연 姜大源 劉育鋒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4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12.31
등록일
2002.12.31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4
  3.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5
Ⅱ. 산업발전과 직업기술교육 및 비교의 이론적 배경 7
  1. 직업기술교육의 의의 7
  2. 관련 선행연구의 검토 8
  3. 비교연구의 개념과 특성 22
  4. 관련 선행 연구와 한중비교의 접근 틀 36
Ⅲ. 한국의 산업발전 단계에 따른 직업기술교육의 변천 과정 37
  1. 한국의 산업 발전 38
  2. 직업기술교육의 발전 52
  3. 산업 발전과 직업기술교육 변천간의 관계 논의 67
Ⅳ. 중국의 산업발전 단계에 따른 직업기술교육의 변천 과정 75
  1. 중국의 산업 발전 75
  2. 중국의 직업기술교육 발전 103
  3. 산업발전과 직업기술교육 변천간의 관계 논의 122
Ⅴ. 한중 양국의 비교 및 시사점 161
  1. 양국 직업기술교육 변천의 기본 특성 비교 161
  2. 직업기술교육 정책 비교 및 시사점 168
  3. 비교 결과 향후 양국의 직업기술교육 발전 방향 186
Ⅶ. 결론 및 제언 197
  1. 결론 197
  2. 제언	199
참고문헌 205
부록 Ⅰ. 한국 학교제도의 변천 225
부록 Ⅱ. 각 연대별 주요 직업교육기관 및 특징 239
부록 Ⅲ. 중국의 직업기술교육과정 주요 현황 249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 양국간 직업교육훈련분야의 지속적인 공동연구의 하나로 한중 양국의 산업발전 단계에 따른 직업기술교육 발전 과정을 거시적으로 비교·검토하여 양국의 직업기술교육의 발전과 교류 및 협력에 기여하는데 목적이있다.
 With the rapid emergence of China as a regional power, there is increasing cooperation and exchange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among countries in Northeast Asia. Korea-China relations in particular are entering a new phase since friendly relations were established between the two countries.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shifting toward positive direction, as well. 
 Korea-China relation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owing to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clude a wide range of exchange and cooperation including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s a part of an effort to enhance cooperation in the fields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KRIVET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with the Central Institute for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CIVTE) of China, and exchanged ideas o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through various means including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Current research is the first stage of such an effort and represents the comprehensive, comparative study on changes i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according to the phase of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two countries. 
...
<표 Ⅱ-1> 교육 발전과 경제 발전에 관한 주요 선행 연구 비교 	13
<표 Ⅱ-2> 한국의 경제 성장에 대한 교육의 기여도 : 1953~1987	16
<표 Ⅱ-3> 사회적 교육 투자 수익률의 변화 추세	17
<표 Ⅱ-4> 가구당 소득 분배	21
<표 Ⅲ-1>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주요 내용	40
<표 Ⅲ-2> 한국 경제의 공업화 전략 추이	42
<표 Ⅲ-3> 산업별 국민총생산액 비중	44
<표 Ⅲ-4> 경제계획별 산업구조의 변화 목표 및 실적 추이	45
<표 Ⅲ-5> 산업별 종사자 비율 변화 추이 (1965~2000)	46
<표 Ⅲ-6> 직업별 취업자 추이(1965~1993)	47
<표 Ⅲ-7> 새 직업분류에 의한 취업자 변화 추이 (1994~2000)	48
<표 Ⅲ-8> 직업별 교육수준별 취업구조의 변화 (1960~1990)	49
<표 Ⅲ-9> 새 직업분류에 따른 직업별 교육수준별 취업구조의 변화 (1993~             2000)	50
<표 Ⅲ-10> 고등학교 단계 직업기술교육 관련 정책 내용	62
<표 Ⅲ-11> 교육부(2000)의 분야별 실업계 고등학교 육성대책	66
<표 Ⅲ-12> 교육부(2001) 실업교육 육성방안	67
<표 Ⅲ-13> 연대별 직업기술교육 정책 주요 내용	68
<표 Ⅲ-14>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제도의 비교	69
<표 Ⅲ-15> 일반계 고교 대 실업계 고교 학생수 비율 변화 추세	71
<표 Ⅲ-16> 직업별 인력수요 전망 	72
<표 Ⅳ-1> 중국 경제개발전략의 변화와 특징(1953 ~ 1976)	81
<표 Ⅳ-2> 국유공업기업의 이윤액과 적자액 변화	88
<표 Ⅳ-3> 중국 산업정책의 시기별 주요 내용	91
<표 Ⅳ-4> 중국의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의 변화 	92
<표 Ⅳ-5> 중국의 산업별 노동력 비율	94
<표 Ⅳ-6> 중국의 산업별 성장과 구조의 변화	95
<표 Ⅳ-7> 중국 공업구조의 변화 	95
<표 Ⅳ-8> 수요면 국내총생산액의 구조변화 	97
<표 Ⅳ-9> 수요면 국내총생산액의 구조변화 	98
<표 Ⅳ-10> 중국의 소비와 저축 변화 	98
<표 Ⅳ-11> 고정자산투자 자금구조와 증가율 	101
<표 Ⅳ-12> 중국 실제외자이용과 외채 	101
<표 Ⅳ-13> 중국 대외무역과 외환보유고 	102
<표 Ⅳ-14>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의 직업학교 현황	108
<표 Ⅳ-15>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직업교육의 개혁	109
<표 Ⅳ-16> 문화대혁명이전의 중국직업교육 주요통계	110
<표 Ⅳ-17> 문화대혁명시기 중국 직업교육의 변동 	111
<표 Ⅳ-18> 鄧小平시기 중국의 직업교육 	112
<표 Ⅳ-19> 중국 각급 직업교육학교 수	115
<표 Ⅳ-20> 90년대의 초급중등직업학교(중학교) 발전에 관련한 통계 	116
<표 Ⅳ-21> 중등직업학교의 재학생 수	117
<표 Ⅳ-22> 독립 설치된 고등직업기술대학(교) 입학생과 재학생 수의 변동               현황	118
<표 Ⅳ-23> 직업대학의 발전에 관련한 통계 자료	118
<표 Ⅳ-24> 성인 기술훈련 사업의 발전 현황	119
<표 Ⅳ-25> 중등직업학교의 설립 방식	119
<표 Ⅳ-26> 중등기술학교 중급 공과 분류 학생 모집수(1953-1957년)	136
<표 Ⅳ-27> 중등기술학교 중급 공과 분류 학생모집수(1959-1965년)	138
<표 Ⅳ-28> 중등기술학교 중급 공과 분류 졸업생수	139
<표 Ⅳ-29> 중등기술학교 중급 공과 분류 학생수(1959-1965년)	140
<표 Ⅳ-30> 1960-1963년 중등전업학교, 직업중학과 기공학교 조정 상황표	141
<표 Ⅳ-31> 1963-1965년 각류 중등기술학교 회복과 발전 상황표	142
<표 Ⅳ-32> 1996-1999년 중국 중등직업교육 학교수, 학생모집수, 재학생수 통             계표	148
<표 Ⅴ-1> 중등직업교육교사의 학력분석 	182
<표 Ⅴ-2> 사회적 구조의 변화	190
<표 Ⅴ-3> 산업혁명과 정보혁명의 주요한 특징과 직업교육에 대한 영향	193
[그림 Ⅱ-1] 한중 산업발전에 따른 직업기술교육의 변천 비교 접근 틀	36
[그림 Ⅳ-1] 현행 중국의 학제도	114
[그림 Ⅳ-2] 1991,1996년 전국 농업중등전업부분전공 재학생의 비율	129
[그림 Ⅳ-3] 중급기술학교 공과분류 학생 모집 상황(1953-1957)  	137
[그림 Ⅳ-4] 중급기술학교 공과분류 학생모집 상황(1959-1965) 	138
[그림 Ⅳ-5] 중등기술학교 중급 공과분류 졸업생수	139
[그림 Ⅳ-6] 중국 중등직업학교 학생모집수의 고등학교 단계 점유 비율 변화             상황	148
[그림 Ⅳ-7] 계획 경제 시기 중국 직업교육과 직종 관계도 	156
[그림 Ⅳ-8] 새 시대 정부, 직종과 직업교육의 관계	15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해외 전문유관기관과의 공동연구 사업 - 한ㆍ중 양국의 산업발전단계에 따른 직업기술교육의 변천과정 비교연구 2002.05.01~200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