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자동차산업의 성인직업훈련 연구

A Study on Adult Vocational Training in Automobile Industry
저자
이동임 양기훈 홍선이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4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12.31
등록일
2002.12.31
연구요약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2
  3. 연구 방법 3
II. 자동차 산업의 역사적 배경 및 현황 5
  1. 자동차 산업의 역사 5
  2. 자동차 산업 생산규모 17
III. 자동차 산업의 교육훈련 체계 27
  1. 기업 교육훈련 비전 및 전략 27
  2. 계층별 교육방법 및 내용 30
IV. 자동차 부품산업의 현황과 교육훈련 63
  1. 자동차 부품산업현황 63
  2. 자동차 부품업체의 교육훈련 72
V. 자동차 산업의 노사관계와 교육훈련 79
  1. 문제의식과 접근방법 79
  2. 자동차산업 노사관계의 내·외부 환경 81
  3. 자동차산업 노사관계의 부문별 특징 104
  4. 노사관계와 교육훈련 112
  5. 소결	122
Ⅵ. 사례연구: 작업조직·인적자원관리·직업훈련 125
  1. 작업조직 125
  2. 인적자원관리·직업훈련 126
VII. 요약 및 결론 133
  1. 요약 133
  2. 결론 136
참고문헌 139
Abstract 145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자동차산업의 역사 및 자동차 산업의 생산규모를 살펴본다.
  둘째, 자동차산업 교육훈련의 비젼, 철학, 전략을 분석한다.
  셋째, 자동차산업의 교육훈련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계층별, 기능별, 직종별 교육훈련 방법, 내용을 살펴본다.
  넷째, 자동차 부품산업의 현황 및 교육훈련 현황을 분석한다.
  다섯째, 자동차산업의 노사관계, 작업조직, 인적자원관리와 교육훈련과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The automobile industry is a representative manufacturing industry, existing in broad relations with other industries, and is also such a giant process industry as to be often called 'the flower of machine industry.' It is also a comprehensive industry involving production and assembling of innumerable parts and it needs continuous retraining of workers in order to ceaselessly develop new technologies. Since the auto industry inside and outside Korea is witnessing ever increasing competition in response to the fast changing environment, a paradigm shift is essential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workers for improved capability of implementing their job responsibilities.
  Against this backdrop, KRIVET of Korea and BIBB of Germany agreed on carrying out a co-research of vocational training in the auto industry, based on the common understanding for the great significance of auto industry in adult vocational training. 
  In preparation for a Korea-Germany comparative study,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 and training markets of local auto makers and parts manufacturers and suggests challenges, centering around the current status of vocational training in Korean automobile industry. 
...
<표 I-1>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2
<표 II-1> 국내 자동차 생산 현황	8
<표 II-2> 차종별 수출현황	13
<표 II-3> 국내 자동차 생산 현황	14
<표 II-4> 국내 자동차 내수 현황	15
<표 II-5> 업체별 국제 자동차 생산량	16
<표 II-6> 업체별 국제 자동차 판매량 	16
<표 II-7> 업체별 자동차 생산추이 	17
<표 II-8> 업체별 내수판매추이	18
<표 II-9> 차종별 내수 판매 추이	20
<표 II-10> 지역별 수출실적 추이	21
<표 II-11> 업체별 수출실적 추이	22
<표 II-12> 차종별 수출 현황	23
<표 II-13> 수입차 판매 현황	24
<표 III-1> R&D부문의 6시그마	38
<표 IV-1> 기업규모별 업체현황  	64
<표 IV-2> 지역별 업체수 	64
<표 IV-3> 연도별 종업원수	65
<표 IV-4> 부품분야별 종업원수 	65
<표 IV-5> 완성차사별 협력업체 종업원수	65
<표 IV-6> 모기업 납품현황	66
<표 IV-7> 연도별 매출액 추이 	67
<표 IV-8> 납품처별 납품업체수 	67
<표 IV-9> 모기업 매출액의 수급기업 비중 	68
<표 IV-10> 연도별 납품액 추이	68
<표 IV-11> 업체 규모별 납품실적	69
<표 IV-12> 모기업 납품실적	69
<표 IV-13> 복수거래 수급기업수	70
<표 IV-14> 자동차부품 연도별‧지역별 수출현황 	71
<표 IV-15> 연도별 수출현황 	71
<표 IV-16> 자동차부품연구원 교육과정	73
<표 IV-17> H사의 2001년도 교육실적	75
<표 V-1> B기업의 임금인상률 추이	104
<표 V-2>  2001년도 주요 완성차업체의 임단협 내역	108
<표 V-3> 작업장내 교섭 소요일수 사례	110
<표 V-4> 현대자동차 단협(2001년 개정)의 교육훈련 관련 내용	116
<표 V-5> C자동차 기업의 가족교육 프로그램(2002년)	118
<표 V-6>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 2002년 현장활동가 기본교육 내용	120
<표 V-7> 민주노총 울산노동대학(3기)의 교과과정	121
<표 V-8> B자동차 노동조합의 2002년 조합원 교육 교안 목차	122
<표 VI-1> 인사고가 내용	127
<표 VI-2> 현대자동차의 숙련승진제도	129
<표 VI-3> 현대자동차 생산직 사원의 임금체계	129
<표 VI-4> 현대자동차 생산직 사원의 평균임금	130
<표 VI-5> 현대자동차 생산직사원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131
[그림 III-1] 자동차 회사의 인재상	28
[그림 III-2]  인재육성의 중장기 전략	29
[그림 III-3] 우리나라 기업의 일반적인 교육체계도 	49
[그림 III-4] 조직구성원의 필요 스킬	53
[그림 III-5 ] 경영인성 교육의 분류	55
[그림 Ⅲ-1] Blended Learning 프로세스	59
[그림 V-1] 자동차산업 노사관계를 둘러싼 외부환경	94
[그림 V-2] 자동차산업 노사관계를 둘러싼 내부 환경	103
[그림 VI-1] 현대자동차의 직능자격제도(안)	12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독 자동차 산업의 성인직업훈련 비교 연구 2002.01.11~200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