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훈련 평가결과를 활용한 훈련 기관 DB 구축

Establishing Plan for the Database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Utilizing Their Qualitative Evaluation Results
저자
김형만 강종훈 주인중 김종우 김덕기 김미란 김승연
분류정보
기본사업(2002-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12.31
등록일
2002.12.31
Ⅰ. 문제의 제기 1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3
  1. 연구 방법 3
  2. 연구·사업 절차 5
Ⅲ. 국내외 관련 D B 운영 현황 7
  1. 국내 관련 DB 현황 7
  2. 국외 관련 DB 현황 23
Ⅳ. 직업능력개발 평가사업 실태 분석 35
  1. 1998-2001년의 평가 사업 실태 35
  2. 2002년 평가의 기본 방향 및 실태 분석 41
Ⅴ. 평가 DB 구축 방안 63
  1. 평가 DB 구축의 기본 방향 63
  2. 향후 추진 계획 86
참고문헌 87
Abstract 89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 정책 수립 및 직업능력개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위해 평가 체제를 개선하여 질적 평가로 전환하고, 다양한 자료를 수집·분석하기 위해 자료 수집 시스템을 구축하며, 수집된 자료가 연구·개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데이터 생성 체제 및 DB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됨.
  첫째, 관련 문헌 및 자료를 분석하고, 둘째, 직업능력개발사업 관련 부처 담당자 및 각 기관의 DB 운영 실무자를 대상으로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였음. 셋째, DB 설계자 및 운영자 등을 토대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DB 구축 방법, DB 구축을 위한 전략, DB 구축 절차, DB 운영 실태 및 문제점, 활용 등을 알아보았음. 넷째, 정부 직업능력개발사업에 관한 요구 조사를 위해 훈련기관을 이수한 수료생, 훈련기관에서 배출한 인력을 활용하고 있는 사업주, 현재 재학하고 있는 훈련생들을 대상으로 직업능력개발사업, 훈련기관, 훈련과정 등에 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음.
 Evaluation is one of the core activities for vocational development projects to promote the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s of accountability, the valid evaluation for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is important for the efficient financial policie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build database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for qualitative evaluation from various resources.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stablishing plan for the database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utilizing the result of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m.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related literature; hold conferences with experts and clerks on vocational training and database practise; interviewed database designers and managers; and analysed the needs of students and graduate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their employers. 
...
<표 Ⅲ- 1> NHRD-Net 내용 및 자료구성 9
<표 Ⅲ- 2> 타 사이트와 NHRD-NET과의 중복성 여부 12
<표 Ⅲ- 4> NHRD-Net 항목별 서비스 실태 및 문제점 13
<표 Ⅲ- 5> Career-Net 내용 및 자료구성 16
<표 Ⅲ- 6> Work-Net 내용 및 자료구성 18
<표 Ⅲ- 7> 직업훈련정보망 내용 및 자료구성 21
<표 Ⅲ- 8> 미국ALX(American's Learning Exchange)의 구조와 기능 24
<표 Ⅲ- 9> NGFL(National Grid For learning) 구성 및 내용 26
<표 Ⅲ-10> School-Net 사이트 구조 및 구성 29
<표 Ⅲ-11> 호주 교육망 EdNL의 사이트 구성 및 구조 30
<표 Ⅳ- 1> 1999년도 평가참여 훈련기관수 및 훈련과정 수 35
<표 Ⅳ- 2> 2000년도 평가참여 훈련기관수 및 훈련과정 수 35
<표 Ⅳ- 3> 2001년도 평가참여 훈련기관수 및 훈련과정 수 36
<표 Ⅳ- 4> 1999년도 부문별 평가영역 비교 37
<표 Ⅳ- 5> 2000년도 부문별 평가영역 비교 37
<표 Ⅳ- 6> 2002년도 기관평가 항목 38
<표 Ⅳ- 7> 2002년도 과정평가 항목 38
<표 Ⅳ- 8> 기관종합평가 평가 영역 및 평가 요소 52
<표 Ⅳ- 9> 정부위탁훈련평가 평가 영역 및 평가 항목 54
<표 Ⅳ-10> 실업자훈련평가 평가 영역 및 평가 항목 56
<표 Ⅳ-11> 재직훈련평가 평가 영역 및 평가 항목 57
[그림 Ⅲ-1] NHRD-Net 구성과 서비스 내용 9
[그림 Ⅲ-2] HRD-Net 업무흐름도 22
[그림 Ⅴ-1] 자료 습득 체제 8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훈련 평가결과를 활용한 훈련기관 DB구축 방안 2002.04.04~200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