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2002)
Job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Curriculum (The Year of 2002)
- 저자
- 이용순 주인중 정향진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02-1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2.12.31
- 등록일
- 2002.12.31
사업 요약 Ⅰ. 사업의 개요 1 1.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사업의 내용 2 3. 사업의 추진 방법 3 4.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7 Ⅱ.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모형 9 1. 직무분석 모형의 개요 9 2. 직무분석 모형의 단계별 구성 11 Ⅲ. 직무분석 지침서의 보완 19 1. 지침서 보완을 위한 요구 조사 19 2. 보완 내용 29 Ⅳ. 직무분석 대상 직업의 선정 39 1. 문화 콘텐츠 산업 관련 직업 선정의 배경 39 2.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의 방법 및 결과 41 Ⅴ. 10개 직업의 직무분석 결과 요약 54 1. 방송 연출가 54 2. 방송 촬영 감독 57 3. 조명 감독 62 4. 게임 프로그래머 65 5. 레코딩 엔지니어 68 6. 에니메이션 기획자 71 7. 북 디자이너 74 8. 캐릭터 상품 기획자 77 9. 캐릭터 디자이너 81 10. 만화가 84 참고 문헌 89 ABSTRACT 92 부 록 97
본 사업은 1998년부터 수행된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의 계속 사업으로서, 교육·훈련·자격 분야에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2001년도에 개발된 직무분석 지침서를 보완하고, 금년에 본원에서 이 사업과 함께 수행되는「직업 변동에 관한 연구(Ⅱ)」에서 추출된 문화 콘텐츠 산업 관련 직업 중에서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기준의 개발을 위해 선행으로 요구되는 10개 직업을 선정한 후, 이 직업들에 대한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기준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작·보급하는 데 목적이 있다.
As job analysis is made by identifying capabilities necessary for performing jobs at industrial sites and analyzing specific tasks according to such categories as knowledge, skill, tool and attitude. It can provide more practical and consistent data for establishing standards in designing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verifying its results. Our Institute carried out the project of job analysis research project from 1998 to 2001 and developed a guidebook for job analysis. We analyzed 55 vocations and distributed the results to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rganizations. This project, which is a continuation of "Job Analysis for developing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 executed from 1998, is aimed at complementing the guidebook for job analysis developed in 2001 to improve its usage in the areas of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and at selecting 10 vocations required to develop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guidelines for preparing questions out of culture contents industry-related vocations chosen from carried out together with this project this year by our Institute, followed by executing job analysis for these vocations, and preparing and distributing basic data to develop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guidelines for preparing examination. ...
<표 Ⅲ-1> 설문 조사의 대상과 유효 표본 19 <표 Ⅲ-2> 설문 문항의 구성 20 <표 Ⅲ-3> 설문 조사 응답자의 소속 기관 유형 21 <표 Ⅲ-4> 직무분석 자료별 설문 조사 응답자의 구성 22 <표 Ⅲ-5> 직무분석 자료 활용 경험 및 활용 계획 23 <표 Ⅲ-6> 직무분석 자료의 실제 업무에 도움 정도 23 <표 Ⅲ-7> 기관유형에 따른 직무분석 자료의 실제 업무에 도움 정도 23 <표 Ⅲ-8> 직무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수행하게 될 업무(3가지 중복 응답) 24 <표 Ⅲ-9> 직무분석 자료의 보관 관리 24 <표 Ⅲ-10> 기관 유형에 따른 직무분석 자료의 활용 정도 25 <표 Ⅲ-11> 직무분석 자료 구성 내용에 대한 보완 요구 26 <표 Ⅲ-12> 직업 및 직무의 정의 비교 34 <표 Ⅲ-13> 직무, 직종 및 직군의 정의 비교 35 <표 Ⅳ-1> 국가 전략 분야별 인력 수급 전망(2001∼2005) 40 <표 Ⅳ-2> 문화 산업과 문화 콘텐츠 산업의 영역 비교 43 <표 Ⅳ-3> 문화 콘텐츠 산업의 대표 직업 29개 44 <표 Ⅳ-4>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을 위한 의견 조사 결과 47 <표 Ⅳ-5> 관련 기관 및 단체 대상 직무분석 우선 직업 요구 조사 결과 51 <표 Ⅳ-6>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 결과 52 [그림 Ⅰ-1] 직무분석 사업 추진 흐름도 3 [그림 Ⅱ-1]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절차 10 [그림 Ⅱ-2] 직무분석과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과의 관계 17 [그림 Ⅳ-1]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 과정 41 [그림 Ⅴ-1] 방송 연출가의 직무 내용 55 [그림 Ⅴ-2] 방송 촬영 감독의 직무 내용 59 [그림 Ⅴ-3] 조명 감독의 직무 내용 63 [그림 Ⅴ-4] 게임 프로그래머의 직무 내용 66 [그림 Ⅴ-5] 레코딩 엔지니어의 직무 내용 69 [그림 Ⅴ-6] 애니메이션 기획자의 직무 내용 72 [그림 Ⅴ-7] 북 디자이너의 직무 내용 75 [그림 Ⅴ-8] 캐릭터 상품 기획자의 직무 내용 78 [그림 Ⅴ-9] 캐릭터 디자이너의 직무 내용 81 [그림 Ⅴ-10] 만화가의 직무 내용 8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2002) | 2002.01.11~2002.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