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대학과 외국 고등교육기관과의 학위과정 공동 운영 방안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Junior College Degree Programs in Collaboration with Foreign Colleges
저자
정지선 김종철
분류정보
기본연구(2003-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3.08.31
등록일
2003.08.31
연구 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 내용 3
   4. 연구 방법 5
Ⅱ. 외국 대학과의 학위과정 공동 운영의 의미 9 
   1. 학위과정 공동 운영의 개념 9
   2. 외국 대학과의 학위과정 공동 운영의 유형 11
   3. 직업 교육의 국제 경쟁력 강화 16
Ⅲ. 외국의 사례 23
   1. 미국 23
   2. 일본 32
   3. 유럽 공동체 39
Ⅳ. 학위과정 공동 운영의 실태와 문제점 51
   1. 외국 대학과 공동 운영에 관한 현행 법적 규정 51
   2. 전문대학의 학위과정 공동 운영 실태 58
   3.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공동 운영 사례 75
   4. 4년제 대학의 교육과정 공동 운영사례 84
   5. 전문대학과 외국 대학의 공동 운영상의 문제점 96
   6. 델파이 조사에 의한 제안사항 107
Ⅴ. 외국 대학과 교육과정 공동 운영의 개선방안 113  
   1. 운영의 기본방향 113
   2. 제도 운영상의 개선방안 115
   3. 법령 개정 방안 125
Ⅵ. 요약 및 결론 137
   1. 요약 137
   2. 결론 139
참 고 문 헌 143
Abstract 147
별  첨 151
〔별첨 1〕전문대학과 외국 대학과의 학위과정 공동 운영 현황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152
〔별첨 2〕델파이 전문가 명단 159
〔별첨 3〕전문대학과 외국 고등교육기관과의 학위과정 공동 운영 방안 도출을 위한 제1차 델파이 조사지 160
〔별첨 4〕전문대학과 외국 고등교육기관과의 학위과정 공동 운영 방안 도출을 위한 제2차 델파이 조사지 163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하여 전문 대학과 외국 고등교육기관과의 학위 과정이나 교육과정의 공동 운영 방안을 탐색·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위 과정 공동 운영의 필요성과 타당성 검토, 외국 대학의 공동 운영 사례 분석, 그리고 우리 나라 전문대학의 학위 과정 공동 운영 실태 파악 등을 통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imary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junior college degree programs in terms of degree courses of certain curricula, operated in collaboration with foreign junior colleges or universities. While Article 21 of the current Higher Education Law displays a willingness to support the operation of college curricula in cooperation with foreign colleges by presidential order, the fact remains that there are no clear plans to bring about their actual implementation for junior colleges. 
   The cooperation system of college programs with foreign institutes is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vocational education of Korean colleg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advance foreign programs of the curricula, equipment, facilities, degree courses, and qualification courses, we can seek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and benefits of increased employment.  
   There are several types of collaboration for programs or curricula. One is to operate a bachelor degree program between two colleges. They should contract an agreement regarding the details of contents of the curriculum, the portion of teaching, recognition of learning and credits, degree awards and so on. Through these programs students can upgrade the results of their education and increase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abroad.  Another is to only share a part of curricula or degree courses, in which case the colleges attempt to purchase the best quality curricula and to provide students chances to experience foreign culture and studies.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there are a lot of problems in obtaining excellent results for junior colleges. To grasp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collaboration of college programs with foreign colleges, several methodologies are employed; questionnaire surveys to junior colleges nationwide, analysis of case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domestic colleges, and the delphi method. Most of all, the language barrier to studying in foreign colleges is the largest hurdle for college students to overcome. Additionally, several problems can be pointed out, such as the economic burden by the students to pay the cost to study abroad; lack of selection criteria for foreign colleges to collaborate with; lack of support by the legal system, etc.
   Based on the brief analysis provided above, some development strategies of collaboration programs with foreign colleges can be suggested. First, at the government level, the aims of collaboration for junior college programs should be reestablished. It should be practical to activate the benefits of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Second, the information system of foreign college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colleges can pursue proper choices regarding advanced education and curriculum. The colleges wan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o accumulate and provide data and information on foreign countries. 
   Third, colleges should consider taking advantage of cyber-learning, through which we can overcome the limits of time and distance. 
   Fourth, collabor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only curricula or degree courses but be extended to certificate and qualification courses considering the possible employment of graduates abroad.
   Fifth, the system should be based on the guarantee of learning rights of students. It should not be operated for the benefit of colleges or the government, but with students as the main focus.   
   Sixth, the system should be operated to reinforce the vocational education of junior colleges, not just for the aquisition of a Bachelor's degree.
   Seventh, it should be developed taking into consideration realization of lifelong learning to help the careers of individual students.
   Eighth, the program should be operat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free competition and a market economy. This will allow students to judge the quality of learning and curriculum as a purchaser. 
<표 Ⅰ- 1> 설문조사에 응답한 전문대학의 지역별 분포	6
<표 Ⅲ- 1> 미국 지역사회대학의 국제교류 프로그램 현황	25
<표 Ⅳ- 1> 고등교육법상 교육과정의 운영에 관한 내용	52
<표 Ⅳ- 2> 고등교육법 시행령과 부칙 - 외국 대학과의 교육과정 공동 운영	53
<표 Ⅳ -3> 외국 대학과의 교육과정 공동 운영에 관한 교육부 고시	56
<표 Ⅳ- 4> 설문조사 대상 학교의 지역별 분포	58
<표 Ⅳ- 5> 학위과정 공동 운영 현황 및 계획	59
<표 Ⅳ- 6> 학위과정 공동 운영의 시기	60
<표 Ⅳ- 7> 학점교류 공동 운영 현황 및 계획	61
<표 Ⅳ- 8> 학점교류 공동 운영 실시시기	61
<표 Ⅳ- 9> 학위과정 공동 운영 실시 계획 국가 및 지역(복수응답)	62
<표 Ⅳ-10> 학위과정 공동 운영 계획 형태(복수응답)	63
<표 Ⅳ-11> 학위과정 공동 운영의 목적	64
<표 Ⅳ-12> 외국 4년제 대학에 편입하는 학생수 현황	66
<표 Ⅳ-13> 전문대학 재학중 외국 대학의 학점 취득 현황	66
<표 Ⅳ-14> 외국 대학에서 학점, 학위와 무관한 교육을 받는 현황	67
<표 Ⅳ-15> 외국 대학에 보내는 학생수 현황	67
<표 Ⅳ-16> 외국 학생의 전문대학 학점 취득 현황	68
<표 Ⅳ-17> 외국 학사과정 학생의 전문대학 편입 현황	68
<표 Ⅳ-18> 외국 전문학사 재학생이 우리 대학 학점취득 현황	69
<표 Ⅳ-19> 학과별 공동 운영 실시 현황	69
<표 Ⅳ-20> 공동 운영의 학과별 실시 현황	70
<표 Ⅳ-21> 외국 대학에의 편익 제공 형태(복수응답)	71
<표 Ⅳ-22> 외국 대학과의 교육과정 개발 계획	72
<표 Ⅳ-23> 교육과정의 공동 개발 방법(복수응답)	72
<표 Ⅳ-24> 학위과정 공동 운영의 주도기관	73
<표 Ⅳ-25> 교육과정 공동 운영의 추진방법	74
<표 Ⅳ-26> 공동 운영시 학위 수여 방법	75
<표 Ⅳ-27> 4년제 대학의 교육과정 공동 운영 현황	85
<표 Ⅳ-28> 공동 운영상의 문제점(복수응답)	97
<표 Ⅴ- 1> 고등교육법 제21조 교육과정의 운영 내용 개정 제안	126
<표 Ⅴ- 2> 고등교육법시행령 개정안 제안	127
<표 Ⅴ- 3> 교육부 고시 내용 조항별 개정안 제안	133
<표 Ⅴ- 4> 교육부 고시 내용 전체 개정안 제안	13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전문대학과 외국 고등교육기관과의 학위과정 공동 운영 방안 2003.01.01~2003.08.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