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지역산업구조 및 인력 수요와 연계한 전문대학 학과 및 정원조정 방안

A Study on Managing Academic Departments and Their Quota System in Two-Year Colleges to Connect to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s and Manpower Demand
저자
신익현 오은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3-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3.09.30
등록일
2003.09.30
연구요약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3
Ⅱ. 전문대학 학과 발전 관련 선행연구와 외국의 산업요구 수용 사례 11
   1. 고등교육단계 학과의 기능 11
   2. 전문대학 학과 발전 정책 및 관련 연구 25
   3. 외국에서의 산업수요 수용을 위한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기관의 운영 36
Ⅲ. 지역 산업수요와 전문대학 학과의 연계·운영 실태 97
   1. 전문대학 학과 발전 기반으로서의 산업수요의 관리 97
   2. 지역사회대학으로서의 전문대학의 역할 210
   3. 산업수요와 전문대학 학과 발전의 연계 모색 337
Ⅳ. 지역산업 및 인력수요에 부응하는 전문대학 학과의 발전 353
   1. 전문대학 학과 및 정원 관리상의 과제 353
   2. 전문대학 학과 발전 방안 365
참고문헌 381
Abstract 387
부 록 391
  본 연구는 산업수요와 관련한 여러 가지 상황 변화를 인식하고 그 인식에 터하여 전문대학 학과 관리를 여하히 해나가야 하는지의 필요성과 기대에 답하고자 수행되었다.
  Following the recent recruitment crisis in two-year colleges, especially in rural areas, deeper consideration in understanding and in building sincer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two-year colleges, the supply side 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the industries, the demand side 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been amounted, thereby raising important questions on their mutual functions to foster their regional development.
  The study was undertaken in its behalf of Korean college level vocational department management, especially those of two-year colleg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in determinants of competitiveness of two-year colleges in order to construct an understandably comprehensive connection framework to regional industrial demand on human resources by empirically assessing the extent to which various different factors contribute to academic competitiveness.
  The study departs from the notion that recent growth of two-year colleges, together with higher employment rates of their graduates which appear mostly cosmetic, have created both opportunities and threats to two-year colleges in Korea. On one hand, competitiveness in regional areas continues to increase while on the other h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various job training centers, and private institutes for vocational training are increasingly challenging two-year colleges the once protected and accepted as vested regional manpower producers. Not only in the environment within which two-year colleges operate volatile but the pace of change is also accelerating with rapid advances in human resources demand.
  The study which provides theoretical frameworks for the improvement of two-year college departments develops a conceptual understanding to explain the determinants of competitiveness of each two-year college department and offers further research propositions.
  To identify this understanding and to explain what they are doing in each region, various study approaches are adopted. Reviews on the related literature and on study reports, use of those statistics generated by the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questionnaire surveys over two-year college departments, searching best practice cases of department management in coping successfully with industrial demand on human resources in some regions, interviews with those concerned in two-year colleges and in regional governments, hearings on committee members pre-organized for the study, and several consulting processes provided by the advising professor, were the major study activities.
  The understanding posits that each regional development is affected by the industrial human resources orientation in the region, extent of competitive department's innovation in two-year colleges,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the industries and of two-year college departments, government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ies, and access to capital, as well as individual efforts towards regional development.
  In this highly competitive and fast changing environment, only colleges that are efficient, flexible, innovative, and responsive to changes can survive. The followings are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iming further improvement of college department management by directly connecting its educational resources and abilities to the industrial demand on human resources.
  First, the study shows several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impact on the abilities of two-year colleges to compete successfully 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by connecting their educational efforts directly and deeply to the industrial needs in the region. There include the role of the demand side in using human resources, the connection structures between colleges and industries, as well as the capabilities of the both.
  Second, in order for policy makers and decision makers such as department heads in two-year colleges to insure sustained growth of the college departments in the long term, it is instructive to, first of all, identify the dynamism in fostering regional developments by connecting colleges to the industries.
  Third, we argue that generally the pursuit of dynamic upgrading that allows two-year colleges to maintain their competitiveness may be the result of collegial efforts to connect the educational process to the industrial sites, the final home of human resources. We also put forwar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stimulating regional efforts and in building a strong relational system of innovation between colleges and industrial sites.
  We take the view that the role of two-year colleges is path-dependent.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when considering the effects of the industrial demand on human resources and of actual employment for college graduates. 
  A wide collection of empirical studies on college department management informs us of diverse developmental paths. In the wake of recruitment crisis, we expect to observe a general trend among two-year colleges to undertake down-turn style reforms including shrinks of departmental and institutional effort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similar to those under way in Japan.
  Although the extent and pace of such reforms will differ among two-year colleges, several important questions arise with respect to these anticipated reforms. Are they generally appropriate and do they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wo-year college departments, taking into account the context within which two-year colleges regionally operate and compete? The proposition made above may have the potentials to produce important findings that can be valuable on the development of two-year college departments aimed at restoring their competitiveness in regional development by harmonizing enterprises' demand on human resources.
  The final conclusion is a quick-disseminating, affirmative suggestion meant to stimulate discussion and elicit feedback for the better management of vocational department in Korean two-year colleges. It's time for two-year colleges to think big to avoid nightmare scenarios by which they will survive if another baby boom comes up.
<표 Ⅱ-1> 일본의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유기관 비교	36
<표 Ⅱ-2> 일본의 고등교육 재적 학생 수 비교 (2000년)	37
<표 Ⅱ-3> 일본 전문학교의 유망 학과의 예	42
<표 Ⅱ-4> 단기대학 계열별 설치 학과의 예	46
<표 Ⅱ-5> 일본 사립 단기 대학 개설과 개편 전환 수 추이	49
<표 Ⅱ-6> 일본 단기대학에서의 학과 명칭 변경의 예	50
<표 Ⅱ-7> 일본 단기대학에서의 기존 학과의 축소 폐지에 따른 새로운 학과 개설의 예	52
<표 Ⅱ-8> 일본 문부성의 지역정책과 연계한 대학의 지원 사업	55
<표 Ⅱ-9> 동경도 초급공무원(Ⅲ종) 시험과목과 동경법률전문학교 행정학과 교과과정 비교	59
<표 Ⅱ-10> 학부별 학생 수(1996년 5월 1일 현재)	64
<표 Ⅱ-11> 대학교원수(1996년 5월 1일 현재)	64
<표 Ⅱ-12> 각 코스의 한 학년 학생정원	80
<표 Ⅲ-1> 지역별 경제활동인구대비 사업체수	114
<표 Ⅲ-2> 경제활동인구 천 명당 산업종사자수	115
<표 Ⅲ-3> 지역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116
<표 Ⅲ-4> 시 · 도별 인구 천명당 사업체수	117
<표 Ⅲ-5> 시 · 도별 경제활동인구 천명당 사업체수	118
<표 Ⅲ-6> 지역별 경제활동인구의 학력 구성 비교(2002년)	119
<표 Ⅲ-7> 고졸 이상 노동시장 배출 추이 비교(1990-2002)	120
<표 Ⅲ-8> 전문대학 졸업자의 진로 추이(1980-2002)	121
<표 Ⅲ-9> 시 · 도별 대학 졸업자 및 취업자 현황(2001년)	122
<표 Ⅲ-10> 제조업 취업자 1,000명당 대학 졸업자수(2001년)	123
<표 Ⅲ-11> 취업자의 사업장 종사자수	124
<표 Ⅲ-12> 현 직장의 선택 이유(우선순위, 복수응답)	125
<표 Ⅲ-13> 취업자의 현 직장 구직 방법	125
<표 Ⅲ-14> 취업자의 현 직장(일)에 대한 불만족 원인	126
<표 Ⅲ-15> 시 · 도별 산업별 취업자수	127
<표 Ⅲ-16> 시 · 도별 직업별 취업자수	130
<표 Ⅲ-17> 시 · 도별 총생산 규모	132
<표 Ⅲ-18> 지역별 생산 및 고용	133
<표 Ⅲ-19> 시 · 도별 제조업 취업 비중의 변화	134
<표 Ⅲ-20> 지역별 현재인원 및 부족인원 현황(2000년)	135
<표 Ⅲ-21> 지역별 산업별 노동력수요동향(2000년)	136
<표 Ⅲ-22> 지역별 직종별 노동력수요동향(2000년)	138
<표 Ⅲ-23> 지역별 산업체규모별 인력수요동향(2000년)	141
<표 Ⅲ-24> 지역 전략 산업	148
<표 Ⅲ-25> 지역별 상위 2대 특성화 산업의 선정(2000년)	150
<표 Ⅲ-26> 일반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확인업체의 권역별 분포비교	152
<표 Ⅲ-27> 대덕연구단지 입주 창업보육센터 현황(2001년 6월 말)	155
<표 Ⅲ-28> 광역자치단체의 특화산업 육성계획	162
<표 Ⅲ-29> 정보통신 분야 관련학과 입학정원 현황(2001년)	166
<표 Ⅲ-30> 충북지역 각 대학별 정보통신 관련학과 및 입학생 수(2001년)	167
<표 Ⅲ-31> 충북지역소재 대학별 비교우위 분야	170
<표 Ⅲ-32> 전국의 테크노파크 개요	173
<표 Ⅲ-33> 테크노파크 운영 실적	174
<표 Ⅲ-34> 지역별 두뇌한국(BK)21 사업 예산과 사업분야 현황	175
<표 Ⅲ-35> 시 · 도별 전문대학 학생 수의 양적 발전 현황(2000-2002)	211
<표 Ⅲ-36> 지역사회 인구 백만 명당 전문대학의 수	213
<표 Ⅲ-37> 지역사회 인구 만 명당 전문대학 학생 수	214
<표 Ⅲ-38> 지역 경제활동인구 백만 명당 전문대학의 수	215
<표 Ⅲ-39> 지역 경제활동인구 만 명당 전문대학 학생수	215
<표 Ⅲ-40> 특성화 공과대학 지정 현황	218
<표 Ⅲ-41> 지역별 전문대학의 산업 및 직업유관 계열별 인력양성 규모	224
<표 Ⅲ-42> 시 · 도별 인구 만 명당 전문대학과 전문대학 학생의 수(2002년)	242
<표 Ⅲ-43> 정보통신 전문인력의 수급차 전망	243
<표 Ⅲ-44> 시 · 도별 경제활동인구 만 명당 4년제 대학의 수(2002년)	243
<표 Ⅲ-45> 시 · 도별 경제활동인구 만 명당 4년제 대학 학생의 수(2002년)	244
<표 Ⅲ-46> 시 · 도별 미충원 인원 현황	245
<표 Ⅲ-47> 학과선택의 주된 동기	245
<표 Ⅲ-48> 학과 만족도	246
<표 Ⅲ-49> 교과과정 만족도	246
<표 Ⅲ-50> 전공변경의 주된 이유	247
<표 Ⅲ-51> 취업자의 사업장 위치	247
<표 Ⅲ-52> 지역별 산업대학교 입학정원(2001년)	248
<표 Ⅲ-53> 지역별 기능대학교 입학정원(2002년)	249
<표 Ⅲ-54> 시 · 도별 공업고등학교 현황(2001년)	253
<표 Ⅲ-55> 시 · 도별 직업전문학교 운영 현황(2002년)	254
<표 Ⅲ-56> 직종별 기능인력 수요 조사	255
<표 Ⅲ-57> 서울특별시립 직업전문학교의 산업수요 대응 직종개편 및 신설의 예	257
<표 Ⅲ-58> 서울특별시립 한남직업전문학교의 훈련과정 운영	257
<표 Ⅲ-59> 서울특별시립 상계직업전문학교 훈련과정 운영	258
<표 Ⅲ-60> 서울특별시립 상계직업전문학교 모집 실태	260
<표 Ⅲ-61> 서울특별시립 직업전문학교에서의 학생 모집 홍보 활동	261
<표 Ⅲ-62> 서울특별시립 직업전문학교에서의 훈련생 중도 탈락 실태	263
<표 Ⅲ-63> 전문대학 경쟁력의 강점 및 약점	264
<표 Ⅲ-64> 전문대학 · 대학의 양적 성장 추이	269
<표 Ⅲ-65> 고등학교 졸업자의 고등교육기관으로의 진학률(1975-2001)	270
<표 Ⅲ-66> 고등교육 취학인구 증가와 대학입학자수	271
<표 Ⅲ-67> 시 · 도별 고등학교 졸업자 대비 고등교육 입학자 수	272
<표 Ⅲ-68> 전문대학의 총 졸업자수 예측값	278
<표 Ⅲ-69> 전문대학의 대분류 전공단위별 졸업자수 예측값	280
<표 Ⅲ-70> 향후 전문대학 대분류 전공단위별 졸업자수 예상 변동률	281
<표 Ⅲ-71> 전문대학의 중분류 전공단위별 졸업자수 예측값	285
<표 Ⅲ-72> 설문 문항 내용	290
<표 Ⅲ-73> 설문지 회수의 지역분포	291
<표 Ⅲ-74> 설문조사 대상 학교의 설립 유형	291
<표 Ⅲ-75> 조사대상 전문대학의 전공계열별 분포	292
<표 Ⅲ-76> 최근 3년의 전문대학 소재지의 대표지역산업	293
<표 Ⅲ-77> 전문대학 소재지의 대표지역산업	293
<표 Ⅲ-78> 각 지역의 대표산업으로 취업한 비율	294
<표 Ⅲ-79> 전문대학의 산업분야 취업동향	295
<표 Ⅲ-80> 전문대학 졸업생의 기업규모별 고용동향 Ⅰ	296
<표 Ⅲ-81> 전문대학 졸업생의 기업규모별 고용동향 Ⅱ	296
<표 Ⅲ-82> 전공선택 시 취업률의 영향	297
<표 Ⅲ-83> 설립유형별, 연도별 취업률	297
<표 Ⅲ-84> 2001년도 소재지별 전공계열의 취업률	298
<표 Ⅲ-85> 2002년도 학과분류별, 소재지별 취업률	300
<표 Ⅲ-86> 2003년도 학과분류별, 소재지별 취업률	302
<표 Ⅲ-87> 전공과 취업의 관련성	304
<표 Ⅲ-88> 학과분류별 취업률 및 전공합치율	305
<표 Ⅲ-89> 학과분류별 취업률과 전공합치율 Pearson상관계수	307
<표 Ⅲ-90> 전문대학의 특성화 정도	307
<표 Ⅲ-91> 전문대학 학과 및 정원조정의 결정요인	308
<표 Ⅲ-92> 전문대학의 학과브랜드가치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09
<표 Ⅲ-93> 전문대학 재정지원정책에 대한 견해	310
<표 Ⅲ-94> 학과 경영의 애로점	311
<표 Ⅲ-95> 전문대학 학과 또는 정원관리에 있어서의 개선점	312
<표 Ⅲ-96> 제주/전국의 산업별 연평균 명목성장률	315
<표 Ⅲ-97> 산업별 취업 인구 추이 및 예측	315
<표 Ⅲ-98> 관광인력 수요 예측	316
<표 Ⅲ-99> 대학별 관광관련 학과 비중	317
<표 Ⅲ-100> 연도별 정원감축 현황	318
<표 Ⅲ-101> 연도별 취업률	319
<표 Ⅲ-102> 관광관련 학과의 계열화 실적	320
<표 Ⅲ-103> 학과 통폐합 사례	321
<표 Ⅲ-104> 학과별 중점 목표 및 추진전략	322
<표 Ⅲ-105> 이공계 입학생의 감소 추이	326
<표 Ⅲ-106> 특성화 학과의 정원 증원	326
<표 Ⅲ-107> 신발지식산업계열 졸업생의 지역산업체 내 취업현황	329
<표 Ⅲ-108> 산업체 학생 현장실습 실적	329
<표 Ⅲ-109> 연간 기술개발 실적	330
<표 Ⅲ-110> 신발지식산업계열의 연도별 입시경쟁률 및 취업률 동향	330
<표 Ⅲ-111> 연계 교육체계 운영현황	331
[그림 Ⅱ-1] 동경도내 연도별 대학 및 단기대학 졸업생의 전문학교 진학자 수	38
[그림 Ⅱ-2] 년도별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비교	41
[그림 Ⅱ-3] 가나자와 대학의 지역공헌 사업 추진도	57
[그림 Ⅱ-4] 4대 단기대학 여학생 취직률 비교	41
[그림 Ⅱ-5] 단기대학생에 대한 업종별 구인건수	84
[그림 Ⅲ-1] 전문대학 · 대학의 과학기술전공분야 재학생 비중의 변화추이	274
[그림 Ⅲ-2] 전문대학 학문분야별(중분류) 졸업생수 증가율 순위	275
[그림 Ⅲ-3] 전문대학의 총 졸업자수 예측값	279
[그림 Ⅲ-4] 1991년 전문대학 졸업생의 대분류 전공단위별 비율	282
[그림 Ⅲ-5] 2001년 전문대학 졸업생의 대분류 전공단위별 비율	282
[그림 Ⅲ-6] 2011년 전문대학 졸업생의 대분류 전공단위별 비율	283
[그림 Ⅲ-7] 호텔경영과의 브랜드 가치 제고 방향	32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지역산업구조 및 인력수요와 연계한 전문대학 학과 및 정원조정 방안 2003.01.01~2003.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