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가공인 민간자격 학점인정 방안 연구

A Study on Criteria for the Credit Approval of Nationally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저자
신명훈 박종성
분류정보
기본연구(2003-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3.09.30
등록일
2003.09.30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3
Ⅱ. 비정규 학습에 대한 학점인정 동향 5
  1. 비정규 학습에 대한 성취도 인정 5
  2. 자격에 대한 학점인정 동향 9
  3. 자격 수준 판단을 위한 이론적 탐색 13
Ⅲ. 민간자격제도 및 국가공인 민간자격 현황 25
  1. 민간자격제도 도입 배경 25
  2. 민간자격 종목 현황 28
  3. 민간자격 관리자 37
  4. 민간자격 국가공인 38
Ⅳ. 학점 인정 제도 59
  1. 학력과 자격의 연계 59
  2. 자격에 대한 학점 인정 60
  3. 외국의 학점 인정 동향 71
Ⅴ.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학점 인정 방안 95
  1. 학점 인정의 대상과 수준판단 95
  2. 국가공인 민간자격별 학점 산정 99
  3. 표준교육과정과의 연계 146
Ⅴ. 제  언 151
참 고 문 헌 155
Abstract 159
부  록 163
  본 연구는 국가공인 민간자격에 대한 학점인정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본 연구는 학점인정등에관한법률 제7조 4항의 시행규칙 제정과 관련하여 국가공인 민간자격 취득자에 대한 학점 인정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The study aims to propose plans to give credit approval to those who obtain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enforcement regulations under the Clause 7, Article 4 of「the law on credit approval and others」. Preceding studies on the grounds and principles of credit approval, analyses on the related references and materials, and surveys asking the managers of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their opinion over giving credit approval to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were conducted a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Besides, a conference inviting experts from the relevant fields was held to specifically overview the contents and levels to be examined by qualification items, to conduct a face-to-face survey on directions to take in the credit approval of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and to analyze the level and the degree of the difficulty of questions in the examinations of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The contents and result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ological Research for Judgement on the Level of Qualification
  In a theological research to give judgement on the level of qualification, standards for the judgement were drawn from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ver the Bloom's classification of behavioral objectives, Lee Moo Keun and others' the level of basic capacity for an occupation and Presseisen & Beyer's classification of thinking and the grade level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he level of qualification was divided into five grades from 'Level A' at the highest to 'Level E' at the lowest according to the grade classification mode. In addition to that, the rank of knowledge and work and the scope of responsibility were classified into five grades under each corresponding level. 
  An investigation on work to be carried out for a qualification item came to make it possible to settle an appropriate level of qualification by finding the level of work and the scope of responsibility in the performance of the work.
  □ Current Status on Nationally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In 2000, 28 items(12.9%) were approved out of 217 civil qualification items applied for national authorization. In 2001, 7 items(8.0%) out of 114 civil qualification items. In 2002, 5 items(1.5%) out of 110 civil qualification items. Afterward, 1 item became invalid and currently, the total number of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 items comes to 39.  
  Therefore, the study on the credit approval of nationally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was conducted with an emphasis on these 39 qualification items.
  □ Criteria for the credit approval of nationally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 Conformity of credit approval
   The credit approval of nationally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was proposed on a basis of the conformity of credit approval suggested in the previously conducted studies on criteria for credit approval in the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and other national qualifications.
   Concerning qualifications to apply for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the qualification items having clear descriptions about the conditions of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comparable to those of the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were considered to take the level of credit approval based on the principles of credit approval taken in the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and other national qualifications.
   Additionally, qualifications excluding certain items among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s in giving credit approval were set on a basis of selection standards of preceding studies and 'Exceptional conditions in the subject of credit approval for other national qualifications' notifi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Settlement of the level of credit approval
   For the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 items unable to formulate criteria for credit approval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credit approval taken in the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and other national qualifications, two factors were put under consideration for setting the level of the credit approval. First, the level and scope of work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content of qualification inspection was compared with the course work of college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he scope and performance of work was reviewed by expertise qualification and general qualification, respectively.
   Expertise qualification indicates whether or not the required knowledge and technique are acquired for performing duty in specific work fields. It falls into service fields and qualification items except qualification items on general clerical work of the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and other national qualifications. To the contrary, general qualification is to prove the degree of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echnique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work throughout diverse types of occupations. It includes qualifications to verify language proficiency,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capacity, problem settlement,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When the authorized civil qualification came under the expertise qualification, the level of qualification was determined in comparison with the level of work of national qualifications. In the case of the general qualification, the credit to be approved was settled by conducting a comparative inspection on the course work of college. 
<표 Ⅱ-1> 국가기술자격 등급별 인정 학점	10
<표 Ⅱ-2> 국가기술자격 이외의 국가자격의 인정 학점	12
<표 Ⅱ-3> Bloom의 지적행동의 목표 분류	14
<표 Ⅱ-4> Gronlund의 수업목표 진술에 사용되는 행동적 용어	16
<표 Ⅱ-5> 직업기초능력의 수준	17
<표 Ⅱ-6> 사고의 위계	19
<표 Ⅱ-7> 국가기술자격의 등급별 검정기준	20
<표 Ⅱ-8> 이론 탐색에서 도출한 자격수준 판단의 기준	21
<표 Ⅲ-1> 민간자격의 최초 검정 시행 연도	29
<표 Ⅲ-2> 1990년대 이후의 민간자격 신설 현황	30
<표 Ⅲ-3> 민간자격의 산업별 분포	31
<표 Ⅲ-4> 민간자격의 등급 유무 현황	32
<표 Ⅲ-5> 등급의 유형 분포	33
<표 Ⅲ-6> 등급별 응시자격	34
<표 Ⅲ-7> 검정과목 수 분포	35
<표 Ⅲ-8> 검정방법 유형 분포	36
<표 Ⅲ-9> 민간자격관리 기관의 유형 분포	37
<표 Ⅲ-10> 관리․운영 자격 종목 수 분포	38
<표 Ⅲ-11> 소관부처별 국가공인 신청 자격종목 수	41
<표 Ⅲ-12> 소관부처별 민간자격 대상의 제한 종목 수	43
<표 Ⅲ-13> 자격 분야별 공인 신청 현황	44
<표 Ⅲ-14> 연도별 민간자격 국가공인 현황	45
<표 Ⅲ-15> 국가공인 민간자격 종목의 산업별 분포	47
<표 Ⅲ-16> 국가자격 분야별 분류에 따른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종목 분포	48
<표 Ⅲ-17> 국가공인 민간자격 신정 대비 공인 종목수 비교	49
<표 Ⅲ-18>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자격유형별 분류	50
<표 Ⅲ-19> 응시자격의 학력요건 관련 현황 	51
<표 Ⅲ-20> 국가공인 민간자격 검정면제 관련 현황 	52
<표 Ⅲ-21> 국가공인 민간자격 취득자 총계-소관부처별, 종목 및 등급별	53
<표 Ⅲ-22> 산업별 국가공인 민간자격 취득자 총계	56
<표 Ⅲ-23> 분야별 국가공인 민간자격 취득자 총계	57
<표 Ⅲ-24> 국가공인 민간자격 종목 유형별 자격취득자 총계 	57
<표 Ⅲ-25> 국가공인 민간자격 학력관련 응시요건에 따른 자격취득자 총계	58
<표 Ⅳ-1> 독학사 시험단계별 인정학점	61
<표 Ⅳ-2> 학점인정 대상 자격	63
<표 Ⅳ-3> 자격증 체계에 따른 학점인정	65
<표 Ⅳ-4> 국가기술자격 이외의 국가자격에 대한 학점인정	65
<표 Ⅳ-5> 학점인정제 년도별 학습자 등록 현황	66
<표 Ⅳ-6> 학점인정제 년도별 학위취득 현황	67
<표 Ⅳ-7> 학점은행제 학위취득자의 편․입학 현황	67
<표 Ⅳ-8> 학점은행제 년도별 학점인정 현황	68
<표 Ⅳ-9> 통신 분야 자격종목의 표준교육과정 해당 전공 제시 	69
<표 Ⅳ-10> 자격별 전공 연계 - 학사 전공의 일부 예시	70
<표 Ⅳ-11> 영국의 국가자격 분류체계	73
<표 Ⅳ-12> 영국남동부협의회(SEEC)의 학점인정 기준	74
<표 Ⅳ-13> 영국의 평가인정기준의 각 수준별 내용	79
<표 Ⅳ-14> ‘평가인정수준’과 QAA와 QCA의 수준 비교	80
<표 Ⅳ-15> 미국 경험학습 인정제도의 표준화된 테스트의 종류	86
<표 Ⅳ-16> 프랑스 VAE 인증수준과 해당수준의 자격 및 학위	92
<표 Ⅴ-1> 국가기술자격의 응시자격	95
<표 Ⅴ-2> 기타국가자격의 학력 대비 인정학점	96
<표 Ⅴ-3> 학점인정 대상 국가공인 민간자격	97
<표 Ⅴ-4> 국가공인 민간자격의 인정가능 학점 산정 결과	145
<표 Ⅴ-5> 국가공인 민간자격별 표준교육과정 전공 연계	147
[그림 Ⅲ-1] 민간자격 국가공인 신청 종목의 부처별 분포	42
[그림 Ⅲ-2] 자격 분야별 공인 신청 현황	45
[그림 Ⅲ-3] 부처청별 공인신청 대비 공인 종목 현황	46
[그림 Ⅲ-4] 국가공인 민간자격 신청 대비 공인 종목수	49
[그림 Ⅲ-5] 소관부처별 국가공인 민간자격 종목 분포 비율	56
[그림 Ⅳ-1] 학점은행제도의 학점인정 절차 	62
[그림 Ⅳ-2] 국가기술자격의 계열 및 등급	64
[그림 Ⅳ-3] 평가인정기준에서 학점의 역할	77
[그림 Ⅳ-4] 미국의 포트폴리오를 통한 경험학습 평가인정의 절차	85
[그림 Ⅳ-5] 경험지식인증제도 도입에 따른 다양화된 학위 접근 경로	89
[그림 Ⅳ-6] 프랑스 경험지식인증 제도 신청 현황	89
[그림 Ⅳ-7] 프랑스의 경험지식인증(VAE) 절차 	9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국가공인 민간자격증 학점 인정 방안 연구 2003.01.01~2003.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