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Ⅰ- 1> 설문조사 내용 13
<표 Ⅰ- 2> 연구대상 전문직 자격의 취득요건 및 면제사항 18
<표 Ⅱ- 1> 전문직과 비전문직의 구분 23
<표 Ⅱ- 2> 탈전문직화의 특징 28
<표 Ⅱ- 3> 우리나라의 표준직업분류와 고용직업분류 36
<표 Ⅱ- 4> 교육 직업에 의한 전문 기술인적자원 분류 38
<표 Ⅱ- 5> 표준직업분류상의 전문가 현황 40
<표 Ⅱ- 6> 전문직 영역별 종사인구 특성 41
<표 Ⅱ- 7> 표준직업분류상의 전문직 자격 현황 43
<표 Ⅱ- 8> 표준직업분류와 국가자격의 일치 현황 45
<표 Ⅱ- 9> 표준직업분류와 유사한 자격 현황 46
<표 Ⅱ-10> 표준직업분류와 자격명간 불일치 현황 47
<표 Ⅱ-11> 전문직 자격제도의 분석틀 57
<표 Ⅱ-12> 서비스분야 시장개방의 주요 내용과 쟁점 65
<표 Ⅲ- 1> 의사 국가시험과목의 변화 69
<표 Ⅲ- 2> 최근 의사국가시험의 합격률(1985~2003) 72
<표 Ⅲ- 3> 현 의학교육제도와 의학전문대학원 제도의 차이점 76
<표 Ⅲ- 4> 의료서비스 분야 시장개방의 주요 쟁점과 내용 78
<표 Ⅲ- 5> 관세사 자격취득자 수 및 개업률 82
<표 Ⅲ- 6> 공인회계사 연도별 지원자 및 합격자 추이 89
<표 Ⅲ- 7> 세무사 자격시험 합격률 추이 94
<표 Ⅲ- 8> 변리사 자격시험 합격자 현황 100
<표 Ⅲ- 9> 사법시험 합격자 현황 104
<표 Ⅲ-10> 각 국의 변호사 자격시험 관리 형태 106
<표 Ⅲ-11> 각 국의 사법시험 제도의 특징 106
<표 Ⅲ-12> 주요 전문직 평균 보수 수준 111
<표 Ⅲ-13> 주요 전문직 자격 취득 방법 비교 112
<표 Ⅲ-14> 주요 전문직 자격 실무수습 및 보수교육 현황 113
<표 Ⅲ-15> 전문직 자격의 응시자 추이 114
<표 Ⅳ- 1> 독일의 의사국가고시의 유형 118
<표 Ⅳ- 2> 일본 의사국가시험 합격자 현황 119
<표 Ⅳ- 3> 주요 국가의 공인회계사 제도 129
<표 Ⅳ- 4> 일본의 세리사 현황(1997) 130
<표 Ⅳ- 5> 세리사시험 합격자 현황 131
<표 Ⅳ- 6> 세무사 및 유사자격 현황 132
<표 Ⅳ- 7> 독일 세무사시험 합격자 현황 133
<표 Ⅳ- 8> 미국 등록변리사 현황(1999년 3월) 134
<표 Ⅳ- 9> 특허상표청 시험 합격인원 134
<표 Ⅳ-10> 연도별 독일의 변리사 시험 합격 인원(1995~1998) 135
<표 Ⅳ-11> 영국의 변리사 시험 종류 및 방법 137
<표 Ⅳ-12> 연도별 영국 변리사시험 합격 인원(1994~1998) 137
<표 Ⅳ-13> 일본의 사법시험 지원 및 합격 현황 139
<표 Ⅴ- 1> 의료계 대학 학과수, 입학정원, 학생수, 입학 및 졸업생수 149
<표 Ⅴ- 2> 대학 법학계열 학과의 학과수, 입학정원, 학생수, 입학 및 졸업생수 153
<표 Ⅴ- 3> 대학 세무-관세-회계 학과의 학과수, 입학정원, 학생수, 입학 및 졸업생수 158
<표 Ⅴ- 4> 의료계 대학 졸업생수, 취업자수, 자격취득자수 163
<표 Ⅴ- 5> 주요 국가의 인구 10만명당 의사수 165
<표 Ⅴ- 6> 법학 관련 대학 졸업생수, 취업자수, 자격취득자수 166
<표 Ⅴ- 7> 우리나라의 법률전문직 현황 167
<표 Ⅴ- 8> 법률전문직 국제비교 168
<표 Ⅴ- 9> 회계 관련 대학 졸업생수, 취업자수, 자격취득자수 169
<표 Ⅵ-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일반인) 173
<표 Ⅵ- 2> 일반인의 전문직 서비스 이용 여부와 횟수 175
<표 Ⅵ- 3> 직업 선택시 고려 사항 176
<표 Ⅵ- 4> 전문직에 대한 인식정도 178
<표 Ⅵ- 5> 학력별 전문직에 대한 이해 정도 179
<표 Ⅵ- 6> 본인, 부모, 형제, 배우자, 자녀 중 전문직 종사자 현황 181
<표 Ⅵ- 7> 가족 중 전문 직종 종사 유무와 직종에 대한 이해 정도 181
<표 Ⅵ- 8> 일반인의 전문직에 대한 직업지위 인식 점수 비교 183
<표 Ⅵ- 9> 일반인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평가 185
<표 Ⅵ-10> 의료서비스 경험별 전문직업성에 대한 평가 차이 검증 186
<표 Ⅵ-11> 가족 가운데 의사의 유무에 따른 전문직업성 평가 차이 비교 188
<표 Ⅵ-12> 직종별 전문직업성의 중요도에 대한 평가 189
<표 Ⅵ-13> 전문직의 사회적 위세 변화에 대한 인식 191
<표 Ⅵ-14> 전문직의 금전적 수입 변화에 대한 인식 191
<표 Ⅵ-15> 아버지 학력에 따른 전문직 권유 의향 정도 193
<표 Ⅵ-16> 어머니 학력에 따른 전문직 권유 의향 정도 193
<표 Ⅵ-17> 전문직 서비스의 질 향상 방안 194
<표 Ⅵ-18> 병원에 갈 경우 환자와 의사의 권리에 대한 태도 196
<표 Ⅵ-19> 관련 기사 및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 197
<표 Ⅵ-20> 전문직단체의 검정관리에 대한 태도 199
<표 Ⅵ-21> 관련 분야 공무원의 자격시험 면제에 대한 의견 199
<표 Ⅵ-2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전문직 종사자) 202
<표 Ⅵ-23> 전문직 종사자의 직업 선택 기준 204
<표 Ⅵ-24> 전문직 경력과 업무량 205
<표 Ⅵ-25> 전문직 종사자가 인식하는 전문직업성 중요도 평가 207
<표 Ⅵ-26> 직종별 현재와 미래의 사회적 위세 차이검증 208
<표 Ⅵ-27> 전문직 종사자의 현재와 미래의 금전적 수입 변화 210
<표 Ⅵ-28> 전문직 종사자의 응시자격 개선에 대한 개선 필요도 인식 211
<표 Ⅵ-29> 전문직 종사자의 전문직 시험방법 개선 필요도 인식 212
<표 Ⅵ-30> 전문직 종사자의 시험수준과 내용의 개선 필요도 인식 213
<표 Ⅵ-31> 전문직 종사자의 보수교육 방법과 내용의 개선 필요도 인식 214
<표 Ⅵ-32> 전문직종별 합격기준 개선 필요 정도 215
<표 Ⅵ-33> 전문직종별 전문직단체에서의 검정 담당에 대한 인식 차이 검증 216
<표 Ⅵ-34> 공인회계사 숫자 확대에 대한 입장 217
<표 Ⅵ-35> 전문직종별 면제제도에 대한 인식 217
<표 Ⅵ-36> 전문직종별 면제제도에 대한 입장 차이 검증 218
<표 Ⅵ-37> 공무원 경력자의 면제제도 219
<표 Ⅵ-38> 의학 및 법학 전문대학원 추진에 대한 의견 220
<표 Ⅵ-39> 전문직 서비스 부분에 대한 시장개방의 영향 221
[그림 Ⅰ- 1] 연구내용의 흐름 11
[그림 Ⅱ- 1] 사회경제분류체계도 37
[그림 Ⅱ- 2] 전문 기술인적자원의 규모 39
[그림 Ⅱ- 3] 전문직 자격제도의 이념 요소 55
[그림 Ⅲ- 1] 공인회계사 시험제도의 변화 88
[그림 Ⅴ- 1] 대학 의료계 학과수 증가 추이 149
[그림 Ⅴ- 2] 대학 의료계 학과 입학정원 증가 추이 150
[그림 Ⅴ- 3] 의료계 학과 입학생수 증가 추이 150
[그림 Ⅴ- 4] 의료계 학과 전체 학생수 증가 추이 151
[그림 Ⅴ- 5] 의료계 학과 졸업생 증가 추이 152
[그림 Ⅴ- 6] 법학 관련 학과수 증가 추이 154
[그림 Ⅴ- 7] 법학 관련 학과 입학정원 추이 155
[그림 Ⅴ- 8] 법학계열 학과 전체 재학생 수 증가추이 155
[그림 Ⅴ- 9] 법학계열 학과 입학생 수 증가추이 156
[그림 Ⅴ-10] 법학계열 학과 졸업생 수 증가추이 157
[그림 Ⅴ-11] 세무-관세-회계 관련 대학 학과수의 증가추이 159
[그림 Ⅴ-12] 세무-관세-회계 관련 대학 입학정원의 증가추이 159
[그림 Ⅴ-13] 세무-관세-회계 관련 대학 재학생 증가추이 160
[그림 Ⅴ-14] 세무-관세-회계 관련 대학 입학생 증가추이 161
[그림 Ⅴ-15] 세무-관세-회계 관련 대학 졸업생 증가추이 162
[그림 Ⅴ-16] 의료계 학과 취업자 증가 추이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