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운영 방안

Establishment of a Teaching-Learning Metho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s
저자
김선태 정향진 변숙영 박윤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3-1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3.10.02
등록일
2003.10.02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3
  3. 연구 방법 및 절차 5
  4. 연구의 제한점 15
  5. 용어 정의 16
Ⅱ.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이론적 배경 17
  1.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17
  2. 웹사이트 운영 원칙 및 고려 사항 27
  3. 시사점 29
Ⅲ. 국내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관련 웹사이트 및 자료 현황 분석 31
  1. 웹사이트 현황 분석 31
  2. 실업계 고교 및 전문대학 교수·학습 자료 조사 현황분석 71
  3. 시사점 79
Ⅳ. 외국의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관련 웹사이트 현황분석 83
  1. 웹사이트 현황분석 83
  2. 시사점 105
Ⅴ.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요구 분석 111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11
  2.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관련 웹사이트 활용 실태 113
  3.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웹사이트 구성 118
  4.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웹사이트 운영 123
  5. 개인 배경에 따른 응답 차이 분석 127
  6. 시사점 143
Ⅵ.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운영 방안 147
  1.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의 기본 전제 및 방향 147
  2. 통합정보시스템의 구성 및 운영 형태(안) 152
  3. 통합정보시스템 사이트 맵(안) 156
  4. 통합정보시스템 연동 체제(안) 162
  5. 통합정보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체제(안) 173
Ⅶ. 정책 제언 183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185
Abstract 191
부 록 201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교육훈련 기관의 교수자들에게 교육·훈련에 필요 한 교수·학습 정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단계별 하위목표 및 전략을 순차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웹사이트 구성형태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웹사이트 개발 원리, 운영원칙, 고려 사항 등을 분석한다.
  통합정보시스템을 위해 교수자 및 학습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내용을 선정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직업교육훈련과 관련된 교수·학습 웹사이트 운영현황과 현장의 요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통합정보시스템의 교수·학습 정보 수집·관리·제공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공유 및 연동체제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국내 유관기관 간 연계 현황, 국내의 유관기관의 웹사이트 특징과 국내기관의 교수·학습자 료 현황을 분석한다. 
  통합정보시스템의 운영을 위한 지원체제 및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 한다. 또한, 중앙단위 직업과정 교수·학습센터 기능 및 현장의 요구를 분석 하여 통합정보시스템의 유지관리를 포함한 향후 발전방안 및 정책제언 사항 등을 제시한다. 
1. Introduction 
  This paper carried out the basic studies needed to establish a teaching-learning metho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s. This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will help provide the necessary teaching-learning information to teachers and professors from vocational and educational training organizations. In implementing this research, the following objectives were pursued: First, this paper tried to analyze previous study results and the literature pertaining to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s. Second, the current state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s were ascertained through an analysis of related websites. Third, a survey of the demand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was carried out. Fourth, this paper strived to identify the proper structure,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establishment measures needed to introduce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paper also suggested measures to help policymakers in their quest to promote an effectiv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o attain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this paper analyzed other related literature and websites,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developed by vocational organizations, and how these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being used. Other methods, such as a survey, interviews, consultations and conferences with specialists, as well as seminars, were also used in this research. 
2. Theoretical backgroun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Websites which provide information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help teachers improve their ability to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come into contact with other specialists and teachers, help ferment a relationship among users through such tools as chatting rooms and online boards, and provide supplementary educational materials with which to introduc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rough these teaching-learning method integrated websites, teachers can have easier access to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 they teach. Moreover, because of the interaction among users, these integrated information sites can help teachers develop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As websites and portal sites become more complicated, the importance of planning the development and contents of the system is being increasingly emphasized. As the quality of the website contents and their management are of the utmost importance, the following criteria should be in place when establishing a successful website: proper contents, readable texts, rapidly loading web pages, easy navigation of the site, and continuous upgrade of the website.
3.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bsites 
  As part of our efforts to establish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e present stat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vocational &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related websites was analyzed; with the particular subject addressed by these pages, the composition of the web pages, main content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bsites, used as the main judging criteria. Our analysis revealed that most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s provide service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However, no coordinated sites integrat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ere found. As suc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which users can share by integrating the programs presented on vocational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sites, as well a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Meanwhil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 of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used by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college professors, an analysis of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ed by users in the actual field was carried out. These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separated according to content, type, and other additional categories. With regards to the contents of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se were broken down into school types, subjects, teaching-learning methods, explanation of materials, and the key words used. On the other hand, material types were separated by file size, types of material, file extension name, and the number of colors used.
4. Analysis of the demand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mand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is paper carried out a survey of specialists and teacher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junior colleges, polytechnic colleges, vocational training organizations (including vocational schools, government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for those currently employed as well as the unemployed),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hen asked about the usage of existing teaching-learning method related websites and the associated problems, the participants answer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usage of the existing websites is very low.  However, government websites were found to be more popular than privately managed websites. Second, where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method related websites are concerned, a majority of participants suggested that a higher level of differentiation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to be able to properly separate one site from another. Concerning the technological aspect of sites, an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replied that there was a need to prevent delays when loading pages and to assure that users can freely navigate through the information on these sites.
  With regards to the composition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e following was ascertained. First, most participants recognized the need for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n addition, most participants displayed a strong desire to use such websites and to share materials. Second, on the issue of the standards that should be used when composing the menu and classifying searching methods,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a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various vocational & educational training methods, or separated by major, would be preferable. 
  Lastly,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such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first a qualitative-based management system governing the contents of such pages should be carried out to assure that a variety of materials from a wide range of fields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proper management of the loading speeds of materials and the CTR (click through rate) were also identified as being important. Second, with regards to some of the management measures that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implement an effectiv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a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a qualitative management committee consisting of scholars from KRIVET and outside specialists should be organized. 
<표 Ⅰ- 1> 설문조사를 위한 조사 도구의 구성 영역 및 내용	6
<표 Ⅰ- 2> 설문지 배포 및 회수 현황	8
<표 Ⅰ- 3>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자료 현황 파악을 위한 조사도구 내용	10
<표 Ⅱ- 1> Trochim의 웹사이트 구축 목적별 분류	19
<표 Ⅱ- 2> 교수․학습 지원 사이트의 인터페이스 설계 원리	20
<표 Ⅱ- 3> Trochim의 개발단계별 고려사항	26
<표 Ⅱ- 4> 성공적인 웹사이트 구축 및 운영 원칙	28
<표 Ⅲ- 1> 국내의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관련 웹사이트 분석대상	32
<표 Ⅲ- 2> 국내의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관련 웹사이트 분석내용	64
<표 Ⅲ- 3> 웹사이트 운영 체계 및 질 관리 방안	70
<표 Ⅲ- 4> 응답 기관(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성	72
<표 Ⅲ- 5> 실고 교수․학습대상 학년	72
<표 Ⅲ- 6> 실고 교수․학습대상 학기	73
<표 Ⅲ- 7> 실고 교수․학습유형	73
<표 Ⅲ- 8> 실고 교수․학습자료 유형(복수응답)	74
<표 Ⅲ- 9> 실고 교수․학습자료 색상 수	74
<표 Ⅲ-10> 실고 교수․학습자료 공유 의사	75
<표 Ⅲ-11> 응답 기관(전문대학)의 특성	76
<표 Ⅲ-12> 전문대 교수․학습대상 학년	76
<표 Ⅲ-13> 전문대 교수․학습대상 학기	77
<표 Ⅲ-14> 전문대 교수․학습 유형	77
<표 Ⅲ-15> 전문대 교수․학습자료 유형(복수응답)	78
<표 Ⅲ-16> 전문대 교수․학습자료 색상 수	78
<표 Ⅲ-17> 전문대 교수․학습자료공유 의사	79
<표 Ⅳ- 1> 외국의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관련 웹사이트 분석대상	84
<표 Ⅳ- 2> 외국의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관련 웹사이트 분석내용	105
<표 Ⅴ-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12
<표 Ⅴ- 2>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관련 웹사이트 활용 정도	113
<표 Ⅴ- 3> 즐겨 찾는 웹사이트 (복수응답)	114
<표 Ⅴ- 4>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관련 웹사이트 방문의 주된 이유	114
<표 Ⅴ- 5>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관련 웹사이트의 내용상 문제점 유무	115
<표 Ⅴ- 6>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관련 웹사이트의 내용상 문제점	116
<표 Ⅴ- 7>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관련 웹사이트의 기술상 문제점 유무	116
<표 Ⅴ- 8>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관련 웹사이트의 기술상 문제점	117
<표 Ⅴ- 9> 직업교육훈련 관련 교수․학습 자료의 기관별 활용 정도	118
<표 Ⅴ-10>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 구축의 현실적 필요성	119
<표 Ⅴ-11> 통합정보사이트 구축․운영 시 웹사이트의 활용 및 자료 공유 의사	120
<표 Ⅴ-12> 자료를 공유하고 싶지 않은 주된 이유	120
<표 Ⅴ-13>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 내용의 중요 정도	121
<표 Ⅴ-14>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 메뉴구성 및 검색
<표 Ⅴ-14> 방법의 분류기준	122
<표 Ⅴ-15>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우선순위)	122
<표 Ⅴ-16>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의 자료 및 프로그램 서비스의 형태	123
<표 Ⅴ-17>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 개발 시 자료 및 정보 갱신기간	124
<표 Ⅴ-18> 내용상 질 관리에서의 중요한 사항	124
<표 Ⅴ-19> 기술상 질 관리에서의 중요한 사항	125
<표 Ⅴ-20>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의 효과적인 질 관리 방안	126
<표 Ⅴ-21>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 질 관리 주체의 주된 역할	126
<표 Ⅴ-22>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의 효과적인 홍보 방법	127
<표 Ⅴ-23>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관련 웹사이트의 개인 변인별 활용 정도	128
<표 Ⅴ-24>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 구축의 개인 변인별 필요성	130
<표 Ⅴ-25> 연령에 따른 통합정보사이트 구축․운영 시 웹사이트의 활용 및 자료 공유 의사	131
<표 Ⅴ-26> 지역에 따른 통합정보사이트 구축․운영 시 웹사이트의 활용 및 자료 공유 의사	132
<표 Ⅴ-27> 소속에 따른 통합정보사이트 구축․운영 시 웹사이트의 활용 및 자료 공유 의사	133
<표 Ⅴ-28> 연령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 메뉴 구성 및 검색방법의 분류 기준	134
<표 Ⅴ-29> 지역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 메뉴 구성 및 검색방법의 분류 기준	135
<표 Ⅴ-30> 소속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 메뉴 구성 및 검색방법의 분류 기준	135
<표 Ⅴ-31> 연령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 자료 제공 선호 형태	136
<표 Ⅴ-32> 지역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 자료 제공 선호 형태	137
<표 Ⅴ-33> 소속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 자료 제공 선호형태	138
<표 Ⅴ-34> 연령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의 자료 및 프로그램 서비스의 형태 선호도	139
<표 Ⅴ-35> 지역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의 자료 및 프로그램 서비스의 형태 선호도	139
<표 Ⅴ-36> 소속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의 자료 및 프로그램 서비스의 형태 선호도	140
<표 Ⅴ-37> 연령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의 효과적인 홍보 방법	141
<표 Ⅴ-38> 지역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의 효과적인 홍보 방법	142
<표 Ⅴ-39> 소속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사이트의 효과적인 홍보 방법 	143
<표 Ⅵ- 1> 정보 공유 및 연동 체제 역할 분담표	166
<표 Ⅵ- 2> KERIS의 18개의 메타데이터 핵심기술요소	167
<표 Ⅵ- 3> 우수 교수‧학습자료 질 관리 및 평가기준표	172
<표Ⅵ- 4> 한국직업능력개발원『직업과정교수‧학습센터』운영 3단계(2004~2009)사업추진 계획(안)	178
<표 Ⅵ- 5> 연구기관 간 교수․학습센터 역할분담 내역 및 주요기능	181
[그림 Ⅰ- 1] 연구의 추진 절차	14
[그림 Ⅱ- 1] Fleming의 웹사이트 개발의 프로세스	25
[그림 Ⅲ- 1] 에듀넷 메인화면	33
[그림 Ⅲ- 2] 클래스룸 메인화면	35
[그림 Ⅲ- 3] Viva 실고 메인화면	36
[그림 Ⅲ- 4] HRD-Net 메인화면	37
[그림 Ⅲ- 5] 중앙인력개발센터 메인화면	39
[그림 Ⅲ- 6] 사이언스올 메인화면	40
[그림 Ⅲ- 7] AFFIS 메인화면	42
[그림 Ⅲ- 8]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메인화면	43
[그림 Ⅲ- 9] 울산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메인화면	44
[그림 Ⅲ-10] 양평교육청 교수․학습 지원 센터 메인화면	45
[그림 Ⅲ-11] 경기도농업교과연구회 메인화면	46
[그림 Ⅲ-12] 대덕대학 메인화면	47
[그림 Ⅲ-13] 안동과학대학 메인화면	48
[그림 Ⅲ-14] 기능대학 메인화면	50
[그림 Ⅲ-15] 경기인력개발원 메인화면	51
[그림 Ⅲ-16] OpenEducation.co.kr 메인화면	53
[그림 Ⅲ-17] 직업기초교육교사 포럼 메인화면	54
[그림 Ⅲ-18] 전문대학 교수-학습 지원체제의 구조	57
[그림 Ⅲ-19] 교수-학습 센터 체계도	59
[그림 Ⅲ-20] 진로정보센터 및 커리어넷의 기능	62
[그림 Ⅳ- 1] VETNET의 메인화면	85
[그림 Ⅳ- 2] VETNET의 하위메뉴 중 Online Curriculum 메인화면	87
[그림 Ⅳ- 3] Education Queensland의 메인화면	88
[그림 Ⅳ- 4] VECO의 메인화면	90
[그림 Ⅳ- 5] NTIS의 메인화면  	93
[그림 Ⅳ- 6] Inforoute FPT의 메인화면	96
[그림 Ⅳ- 7] Virtual Visit의 메인화면	98
[그림 Ⅳ- 8] VETNET.CH의 메인화면	100
[그림 Ⅳ- 9] GatewaySM의 검색 초기화면	102
[그림 Ⅳ-10] OVAE 항목 중 Sitelink 화면	104
[그림 Ⅵ- 1]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정보공유체제 확장 개념도	150
[그림 Ⅵ- 2]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시스템 웹사이트 맵 (안)	161
[그림 Ⅵ- 3] 지역단위 기존 서비스와 공유체제 연동 개념도	163
[그림 Ⅵ- 4]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통합정보 시스템 구성도(안)	165
[그림 Ⅵ- 5] 직업과정 교수‧학습센터 관련 정보망과의 연계	177
[그림 Ⅵ- 6] 중앙단위 교수․학습 연구지원 시스템	18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 교수ㆍ학습 통합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 방안 2003.01.01~2003.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