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Ⅱ- 1> 연령층별 경제활동참가율 변화추이(1997~2002) 10
<표 Ⅱ- 2> 중고령자 직업별 분포(2002) 13
<표 Ⅱ- 3> 중고령자의 노동시장 진입자 특성 19
<표 Ⅱ- 4> 중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자 특성 20
<표 Ⅱ- 5> 중고령자의 노동시장 진입 결정요인 분석(Logit) 24
<표 Ⅱ- 6> 중고령자의 노동시장 진입 결정요인 분석(Logit) 25
<표 Ⅲ- 1> 조사 응답기업의 특성 28
<표 Ⅲ- 2> 경력직원 채용(최근 3년 간) 29
<표 Ⅲ- 3> 연령제한의 범위 31
<표 Ⅲ- 4> 경력직원 채용시 50세 이상 고령자 채용 경험 32
<표 Ⅲ- 5> 고령자 채용 형태 33
<표 Ⅲ- 6> 고령자 채용 직종 33
<표 Ⅲ- 7> 고령자 채용 계획 34
<표 Ⅲ- 8> 고령자 채용 기피 이유 35
<표 Ⅲ- 9> 고령인력 채용의향에 대한 회귀 분석 결과 37
<표 Ⅲ-10> 고령근로자에 대한 태도 38
<표 Ⅲ-11> 재직자의 경력개발 지원 정도 40
<표 Ⅲ-12> 경력개발지원 체제 40
<표 Ⅲ-13> 경력개발지원 형태 41
<표 Ⅲ-14> 고령근로자 훈련기회 제공정도 43
<표 Ⅲ-15> 퇴직 예정자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 44
<표 Ⅲ-16> 퇴직 예정자 지원시 제약요인(1순위) 45
<표 Ⅲ-17> 정년제도 실시 여부 46
<표 Ⅲ-18> 직군별 정년 연령 47
<표 Ⅲ-19> 정년의 실제 의미 48
<표 Ⅲ-20> 정년제도 변경 유형 49
<표 Ⅲ-21> 정년제도와 고령자 채용의향 50
<표 Ⅲ-22> 고령화에 대한 인지도 51
<표 Ⅲ-23> 고령화 대비 실행 준비 프로그램 53
<표 Ⅲ-24> 임금피크제 인지도 54
<표 Ⅲ-25> 임금피크제 도입 54
<표 Ⅲ-26> 고령자 지원 제도 내용 55
<표 Ⅲ-27> 정부의 고령자 지원제도 실시 및 도입 56
<표 Ⅲ-28> 전직지원(아웃플레이스먼트) 장려금 제도에 대한 평가 57
<표 Ⅲ-29> 전직지원장려금제도 비활용 이유 58
<표 Ⅲ-30> 고령자 인력활용을 위한 정부의 지원 항목 59
<표 Ⅳ- 1> HRD-net 활용 변수 분류 67
<표 Ⅳ- 2> 연령계층별 재직자 훈련 참여자 특성 분포(2002) 69
<표 Ⅳ- 3> 연령계층별 HRD-Net 훈련참여자의 수료율 및 탈락률(2002) 70
<표 Ⅳ- 4> 연령계층별 훈련직종별 훈련참여자 분포(훈련과정 입학자, 2002) 71
<표 Ⅳ- 5> 연령계층별 훈련직종별 훈련참여자 분포(훈련과정 수료자, 2002) 72
<표 Ⅳ- 6> 수강장려금 지원인원 특성별 실적 74
<표 Ⅳ- 7> 전직지원장려금 제도 지원요건 및 지원내용 75
<표 Ⅳ- 8> 기업 규모별 전직지원 장려금 지원 실적 77
<표 Ⅳ- 9> 실업대책직업훈련 훈련생 성별 연령별 구성 현황 85
<표 Ⅳ-10> 연령계층별 훈련직종별 훈련참여자 분포(입학자, 2002) 87
<표 Ⅳ-11> 전 산업(직업) 및 훈련 후 산업(취업) 직업 비교 (40~49세) 88
<표 Ⅳ-12> 전 산업(직업) 및 훈련 후 산업(취업) 직업 비교 (50~64세) 89
<표 Ⅳ-13> 고령자 적합직종 유형별 특성 91
<표 Ⅳ-14> 준고령자 단기 적응 훈련 현황 92
<표 Ⅳ-15> 직업훈련 이수자 재취업 해자드 추정(40~49세) 95
<표 Ⅳ-16> 직업훈련 이수자 재취업 해자드 추정(50~59세) 96
<표 Ⅳ-17> 지역사회시니어클럽 사업 현황 99
<표 Ⅴ- 1> 고령노동자에게 적합한 훈련 유형 111
[그림 Ⅱ-1] 연령층별 경제활동참가 변화율 추이 11
[그림 Ⅱ-2] 연령층별 실업률 변화 추이 12
[그림 Ⅱ-3] 연령계층별 직업별 분포 변화 추이 15
[그림 Ⅱ-4] 연령계층별 종사상지위별 분포 변화 추이 16
[그림 Ⅲ-1] 경력직원 채용시 연령 제한 30
[그림 Ⅲ-2] 경력개발 미지원 이유(n=78) 42
[그림 Ⅳ-1] CDC 운영 프로세스 81
[그림 Ⅴ-1] 한국 직장인의 연령대별 정년과 정년 후 기간 비교 102
[그림 Ⅴ-2] 일본의 밀레니엄 프로젝트 개요(노동후생성)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