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강국건설을 위한 국가인적자원개발(Ⅱ) : 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 방안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o Build a Knowledge-based Society (Ⅱ): Measures to Help Disadvantaged Groups
- 저자
- 나영선 고혜원 전재식 강일규 김봉환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3-30-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3.12.31
- 등록일
- 2003.12.31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내용 7 3. 연구 방법 9 Ⅱ. 취약계층의 인적자원개발의 분석 틀 11 1. 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의 필요성과 의의 11 2.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와 교육훈련의 역할 13 3. 취약계층의 직업능력개발 정책 및 프로그램의 실효성 15 Ⅲ. 목표집단별 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 현황 및 정책방안 19 1. 장기실업자의 재취업촉진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방안 19 2. 저소득층 자활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취업·복지서비스 연계방안 38 3.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준비 실태분석 및 취업지원방안 56 4. 학령기 장애인의 직업적성개발을 위한 교육훈련기회 확충방안 79 5. 성인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을 통한 고용연계 방안 96 6. 수용자의 사회복귀지원을 위한 직업능력개발방안 116 7.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촉진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방안 135 Ⅳ. 정책과제와 추진 체계 155 1. 개요 155 2. 세부정책과제와 추진체계 157 ABSTRACT 173
본 연구에서는 지식, 정보화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교육훈련, 고용 등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인적자원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취약계층의 다양성과 공통성 확인을 통해 인적자원개발 이슈를 정립하고 지속 가능한(sustainable) 사회건설을 위해 취약계층 목표집단별 인적자원개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strived to suggest measures to help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disadvantaged groups who run a high risk of being excluded from edu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programs. As a result, this paper suggested the following measures, based on the concept of social integration,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disadvantaged: First, the human resources of the disadvantaged should be developed from a welfare policy standpoint in order to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engage in independent economic activities. Second, the human resources of the disadvantaged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a long-term approach to labor market policy. Third,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resources of the disadvantaged need to be established, with the main features clearly spelled out during the policy-making process. ...
<표 Ⅰ-1> 취약계층의 범위 및 특징 3 <표 Ⅰ-2> 최근 국제기구 등의 보고서에서 취약계층의 범위 4 <표 Ⅰ-3> 최근 국내 취약계층 관련연구에서 나타난 취약계층의 범위 5 <표 Ⅲ-1> 학교급별연도별 중퇴자 분포(휴학자 포함) 62 <표 Ⅲ-2> 연도별 장애인 훈련인원 및 기관 101 <표 Ⅲ-3> 장애인 훈련기관유형별 직업훈련 현황(2002년도) 102 <표 Ⅲ-4> 장애인 훈련사업에 대한 연도별 지원액 및 직업훈련사업 총액 103 <표 Ⅲ-5> 장애인 훈련시설간 훈련효과 비교 109 <표 Ⅲ-6> 수용자에 대한 기관별과정별 연간훈련인원현황(2003년도) 122 <표 Ⅲ-7> 수용자에 대한 기술분야별 훈련직종과 내용 123 <표 Ⅳ-1> 장기실업자 직업능력개발방안: 세부 추진과제와 추진체계(2004∼2009년) 158 <표 Ⅳ-2> 저소득층 자활역량 강화를 위한 직업훈련 ㆍ취업 ㆍ복지 연계방안: 세부 추진과제와 추진체계(2004∼2009년) 160 <표 Ⅳ-3> 학업중단 청소년의 지원방안: 세부 추진과제와 추진체계(2004∼2009년) 162 <표 Ⅳ-4> 학령기 장애인의 직업적성 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기회 확충 방안: 세부 추진과제와 추진체계(2004∼2009년) 164 <표 Ⅳ-5> 성인 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을 통한 고용연계 방안: 세부 추진과제와 추진체계(2004∼2009년) 166 <표 Ⅳ-6> 수용자 사회복귀 지원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방안: 세부 추진과제와 추진체계(2004∼2009년) 168 <표 Ⅳ-7>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촉진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방안: 세부 추진과제와 추진체계(2004∼2009년) 171 [그림 Ⅰ-1] 연구범위 취약계층 분류도표 7 [그림 Ⅱ-1] 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의 분석 틀 1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지식강국건설을 위한 국가인적자원개발(II) -취약계층 인적자원개발 방안- | 2003.01.01~2003.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