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가 인력수급 전망과 정책과제(Ⅲ) : 서비스산업분야

Projections and Policy Issues for National Human Resources(Ⅲ) -Service Industry-
저자
이상돈 윤여인 이진면
분류정보
기본연구(2003-3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3.12.31
등록일
2003.12.3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한계 5
Ⅱ. 서비스산업 현황 7
    1. 서비스의 정의와 서비스산업의 범위 7
    2. 국내 서비스산업 동향 12
    3. 해외 서비스산업 동향 20
Ⅲ. 인력수요 전망 25
    1. 전망절차 25
    2. 산업별 인력수요 전망 26
    3. 직업별 인력수요 전망 34
    4.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성장산업 및 직업 43
Ⅳ. 서비스산업 인력수요 및 취업구조 전망 71
    1. 서비스산업 분류 71
    2. 서비스산업 인력수요 전망 93
    3. 서비스산업 취업구조 전망 102
Ⅴ. 정책적 시사점 119
    1. 서비스산업 인력수급 정책의 기본방향 119
    2. 서비스산업 인력수급 정책의 추진과제 122
참 고 문 헌 125
ABSTRACT 131
부    표 137
  본 연구는 1·2차 년도에 개발한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모형에 기초하여 서비스 분야별 수급전망을 실시함으로써 국가 인적자원개발정책의 시사점과 함의를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향후 지식기반사회에 대비하기 위하여 국내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서비스산업에 초점을 맞춰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2003년~2010년)을 실시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분야별 인력양성과 활용을 위한 노동정책 및 교육훈련정책 수립ㆍ집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과거자료에 의존한 획일화 된 전망보다는 지식기반경제로 빠르게 이전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향후 우리 경제의 성장을 주도해 나갈 서비스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중장기 인력수요전 망의 틀을 수립하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ervice industry to analyze the predicted demand for human resources across all industries, thus striving to reach consensus o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and to incorporat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to this policy. Given the current trend in which the manufacturing-based economy is rapidly being transformed into a knowledge-based one, this study has also focused on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the mid to long-term demand for human resources within the service industry, the sector which will lead our economy in the future.
...
<표 Ⅰ-1> 1․2차 년도 연구의 주요 내용	2
<표 Ⅱ-1> Elfring의 기능에 따른 서비스산업 분류	8
<표 Ⅱ-2> 미국의 서비스산업 분류체계	9
<표 Ⅱ-3> 한국의 서비스산업 분류표	10
<표 Ⅱ-4> 산업별 생산 추이(1995년 불변가격 기준)	12
<표 Ⅱ-5> 산업별 취업자 추이	14
<표 Ⅱ-6> 산업별 취업자 1인당 생산액(1995년 불변가격)	16
<표 Ⅱ-7> 주요국의 품목별 소비자물가상승률 비교(1986~2000년)	17
<표 Ⅱ-8> 서비스업종별 부가가치 생산액(1995년 불변가격 기준)	19
<표 Ⅱ-9> OECD국가의 서비스산업 부가가치 생산 비중(2000년)	21
<표 Ⅱ-10> OECD국가의 서비스산업 고용비중 추이	23
<표 Ⅲ-1> 산업대분류 취업자 전망	28
<표 Ⅲ-2> 산업대분류 취업자 비중 전망	29
<표 Ⅲ-3> 산업중분류 취업자 전망	30
<표 Ⅲ-4> 직업 대분류별 취업자 전망 	35
<표 Ⅲ-5> 직업 대분류별 취업자 비중 전망 	37
<표 Ⅲ-6> 직업 중분류별 취업자 전망 	39
<표 Ⅲ-7> 직업 중분류별 취업자 비중 전망 	40
<표 Ⅲ-8> 산업-직업별 취업자의 추이와 전망	42
<표 Ⅲ-9> 산업-직업별 취업자의 비중 추이와 전망	43
<표 Ⅲ-10> 산업별 고용관련 기초통계조사의 비교	46
<표 Ⅲ-11> 직업별 고용관련 기초통계조사의 비교	47
<표 Ⅲ-12> 고용증가가 빠른 산업(20위)	50
<표 Ⅲ-13> 고용감소가 빠른 산업(20위)	52
<표 Ⅲ-14> 고용규모가 확대된 산업(20위)	53
<표 Ⅲ-15> 고용규모가 감소된 산업(20위)	55
<표 Ⅲ-16> 고용증가가 빠른 직업(20위)	56
<표 Ⅲ-17> 고용감소가 빠른 직업(20위)	58
<표 Ⅲ-18> 고용규모가 확대된 직업(20위)	59
<표 Ⅲ-19> 고용규모가 감소된 직업(20위)	61
<표 Ⅲ-20> 미국에서 고용증가가 빠른 산업(20위)	62
<표 Ⅲ-21> 미국에서 고용감소가 빠른 산업(20위)	63
<표 Ⅲ-22> 미국에서 고용증가가 빠른 직업(10위)	64
<표 Ⅲ-23> 일본에서 고용증가가 빠른 산업(20위)	65
<표 Ⅲ-24> 일본에서 고용감소가 빠른 산업(20위)	66
<표 Ⅲ-25> 일본에서 고용증가가 빠른 직업(20위)	67
<표 Ⅲ-26> 일본의 직업소분류별 고용감소가 빠른 직업(20위)	68
<표 Ⅳ-1> 국제표준분류상의 OECD 서비스산업 분류체계 차이	72
<표 Ⅳ-2> OECD 회원국들의 GDP 대비 지식기반서비스산업 비중(2000년)	75
<표 Ⅳ-3> 장석인(1998)의 지식기반서비스업 분류	76
<표 Ⅳ-4> 정진화 외(2000)의 지식기반서비스업 분류	78
<표 Ⅳ-5> 강순희 외(2000)의 지식기반서비스업 분류	80
<표 Ⅳ-6> 통계청의 지식기반서비스 분류	81
<표 Ⅳ-7> 서비스산업 분류유형	82
<표 Ⅳ-8> 서비스산업의 세부산업별 생산 추이 및 전망	83
<표 Ⅳ-9> 성장 측면에서의 산업분류	84
<표 Ⅳ-10> 산업 대분류별 노동탄력성 추이	87
<표 Ⅳ-11> 서비스산업의 노동탄력성 추이	88
<표 Ⅳ-12> 노동탄력성 측면에서의 산업분류	89
<표 Ⅳ-13> 서비스산업의 고용증가율 추이	90
<표 Ⅳ-14> 고용증가율 측면에서의 산업분류	91
<표 Ⅳ-15> 노동탄력성과 고용증가율간의 관계에 따른 산업분류 유형	92
<표 Ⅳ-16> 노동탄력성과 고용증가율간의 관계에 따른 산업분류	92
<표 Ⅳ-17> 지식기반 서비스산업의 취업자 전망	94
<표 Ⅳ-18> 지식기반 서비스산업의 취업자 비중 전망	95
<표 Ⅳ-19> OECD분류에 의한 직업별 취업자수 추이와 전망	96
<표 Ⅳ-20> OECD분류에 의한 직업별 취업자 비중	97
<표 Ⅳ-21> 성장성기준 산업분류별 취업자수 전망	98
<표 Ⅳ-22> 성장성기준 산업분류별 취업자 비중 전망	99
<표 Ⅳ-23> 노동탄력성과 고용증가율간의 관계로 분류한 산업의 취업자수 전망	100
<표 Ⅳ-24> 노동탄력성과 고용증가율간의 관계로 분류한 산업의 취업자수 비중 전망	101
<표 Ⅳ-25> 서비스산업 세부업종의 직업대분류별 취업구조 전망	105
<표 Ⅳ-26> 서비스산업 세부업종의 직업집중도 전망	107
<표 Ⅳ-27> 직업소분류별 취업구조 전망 : 부동산업 및 임대업(상위 10위)	110
<표 Ⅳ-28> 직업소분류별 취업구조 전망 : 사업서비스업(상위 10위)	111
<표 Ⅳ-29> 직업소분류별 취업구조 전망 : 교육 서비스업(상위 10위)	111
<표 Ⅳ-30> 직업소분류별 취업구조 전망 :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상위 10위)	112
<표 Ⅳ-31> 직업소분류별 취업구조 전망 : 도소매업(상위 10위)	113
<표 Ⅳ-32> 직업소분류별 취업구조 전망 : 숙박 및 음식점업(상위 10위)	114
<표 Ⅳ-33> 직업소분류별 취업구조 전망 : 통신업(상위 10위)	115
<표 Ⅳ-34> 직업소분류별 취업구조 전망 : 금융 및 보험업(상위 10위)	116
<표 Ⅳ-35> 직업소분류별 취업구조 전망 : 오락 문화 및 운동관련 	116
<표 Ⅳ-36> 직업소분류별 취업구조 전망 : 기타 공공, 수리 및 개인	117
<표 Ⅳ-37> 직업소분류별 취업구조 전망 : 운수업(상위 10위)	118
<부표 1> 사업체기초통계조사 산업소분류별 고용비중 	137
<부표 2>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직업소분류별 고용비중 	141
<부표 3> 산업소분류별 취업자수 전망 	144
<부표 4> 직업소분류별 취업자수 전망 	148
<부표 5> 미국의 산업소분류별 취업자수 전망 	151
<부표 6> 일본의 산업중분류별 취업자수 전망	156
<부표 7> 일본의 직업소분류별 취업자수 전망 	157
<부표 8> KDI 서비스산업과 표준산업분류 연계표 	163
[그림 Ⅱ-1] GDP대비 산업별 생산비중 추이(1995년 불변가격)	13
[그림 Ⅱ-2] 산업별 취업자비중 추이	15
[그림 Ⅱ-3] 서비스산업의 부가가치 비중 OECD 상하위 6개국(2000년)	20
[그림 Ⅲ-1] 빠른 성장이 전망되는 중분류 산업(2000~2010년)	32
[그림 Ⅲ-2] 고용규모 확대 중분류 산업(2000~2010년)	33
[그림 Ⅲ-3] 빠른성장이 전망되는 중분류 직업(2000~2010년)	41
[그림 Ⅲ-4] 고용규모 확대 중분류 직업(2000~2010년)	41
[그림 Ⅲ-5] 고용증가 산업	51
[그림 Ⅲ-6] 고용규모 확대 산업	54
[그림 Ⅲ-7] 고용증가 직업	57
[그림 Ⅲ-8] 고용규모 확대 직업	6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국가 인력수급 전망과 정책과제(Ⅲ) -서비스산업분야- 2003.01.01~200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