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 체계 구축방안
Establishing a Vocational Training Program Evaluation System
- 저자
- 김미숙 김안국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3-3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3.12.31
- 등록일
- 2003.12.31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기대효과 4 Ⅱ.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의 이론적 배경 7 1. 프로그램 평가인정의 정의 7 2. 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의 시장활성화 효과 12 3. 프로그램 평가인정체계의 유형화 17 4.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의 핵심 요소 24 5. 프로그램 평가인정 실행 준거 27 Ⅲ.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 사례 35 1. ISO9000 인증 36 2. 학점인정제 44 3. 미국 건설교육연구센터 50 4. 미국 직업교육협회 67 5. 영국 교육훈련제공자의 평가인정서비스 85 6. 호주 훈련품질인증체계 98 7. 사례 비교 및 시사점 104 Ⅳ.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에 대한 조사 109 1. 설문조사 개요 109 2. 조사내용 분석 113 Ⅴ.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체계 구축 방안 149 1.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 체계 구축 틀 149 2.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 기준 개발 153 3. 평가인정 절차 및 방법 156 4. 평가기관 및 평가자의 훈련 160 참고문헌 161 <부록> 의견조사지 163
본 연구는 직업교육훈련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직업교육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인정 체계를 국가적 차원에서 수립하고, 이에 적절한 평가인정 기준을 국제적 품질 기준에 맞추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의 목적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훈련 기관이 직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기술과 지식을 중심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품질 보증(Quality Assurance) 체계를 구축하며, 둘째, 평가인정 기준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도록 외국의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 기준 및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프로그램 평가인정 등과 비교하여 표준화된 평가인정기준을 제시하고, 셋째, 이를 통해, 일-교육훈련-자격이 연계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교육훈련 수요자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평가인정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표 Ⅱ-1> 평가인정과 관련된 개념 정의 9 <표 Ⅱ-2> 기업체 훈련에서의 CIPP 평가 영역과 항목 31 <표 Ⅲ-1> ISO9000인증제도 운영 현황 38 <표 Ⅲ-2> 교육훈련기관의 법적 기준 충족 여부 평가 기준 47 <표 Ⅲ-3> 교육훈련기관의 대학(교) 수준의 교유과정 운영여건 평가 기준 48 <표 Ⅲ-4> 학습과목들의 학점 부여 기준 도달 여부 평가 기준 49 <표 Ⅲ-5> 평가인정 자격증 59 <표 Ⅲ-6> 평가인정제도 유형 비교 105 <표 Ⅲ-7> 평가인정 사례 비교 106 <표 Ⅳ-1> 시설유형 109 <표 Ⅳ-2> 소재지역 110 <표 Ⅳ-3> 교육인원 111 <표 Ⅳ-4> 운영예산 112 <표 Ⅳ-5> 교육과정 수 112 <표 Ⅳ-6> 교육훈련 영역 113 <표 Ⅳ-7> 평가인정대상 114 <표 Ⅳ-8> 평가인정의 목적 116 <표 Ⅳ-9> 평가인정의 주체 118 <표 Ⅳ-10> 평가인정위원회 구성 120 <표 Ⅳ-11> 평가인정주체의 기타역할 121 <표 Ⅳ-12> 평가인정의 방법 123 <표 Ⅳ-13> 시범운영기간 124 <표 Ⅳ-14> 평가인정된 프로그램의 모니터링 횟수 125 <표 Ⅳ-15> 인정된 프로그램 유효기간 127 <표 Ⅳ-16> 프로그램 내용 영역 운영방식 128 <표 Ⅳ-17> 프로그램 평가인정의 결과 활용 방식 130 <표 Ⅳ-18> 외부품질관리시스템 도입의사 132 <표 Ⅳ-19> 프로그램 평가인정 제도의 필요성 134 <표 Ⅳ-20> 프로그램 평가인정제도 불필요 이유 135 <표 Ⅳ-21> 준거 - 기관에 관한 사항 138 <표 Ⅳ-22> 준거 - 프로그램 내용에관한 사항 140 <표 Ⅳ-23> 준거-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사항 142 <표 Ⅴ-1>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 기준 154 <표 Ⅴ-2>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관리체계 인증제도 157 [그림 Ⅰ-1] 연구 내용과 방법 4 [그림 Ⅱ-1] 프로그램 평가인정 수요공급함수 15 [그림 Ⅱ-2] 체제상의 특징을 구분하기 위한 차원 19 [그림 Ⅱ-3] 평가인정 절차 및 방법에 따른 분류 22 [그림 Ⅱ-4] 감독과 기준설정 과정에서의 통제유형 23 [그림 Ⅱ-5] 표준화된 능력 중심 훈련 프로그램의 시스템 26 [그림 Ⅱ-6] 프로그램 평가 실행 기준 28 [그림 Ⅲ-1]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 유형 35 [그림 Ⅲ-2] 품질시스템 인증제도 운영 체제 37 [그림 Ⅲ-3] ISO인증 제도의 전체 운영 시스템(영국의 경우) 41 [그림 Ⅲ-4] 품질시스템 인증 절차 42 [그림 Ⅲ-5] ISO 인증제도 사후 관리 절차 43 [그림 Ⅲ-6]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절차 46 [그림 Ⅲ-7] NVQ에 관련된 조직체계도 87 [그림 Ⅲ-8] NVQ 설정 절차 88 [그림 Ⅲ-9] 훈련기관에 있어서 훈련센터와 평가센터 89 [그림 Ⅲ-10] 강좌개발에서 자격부여까지의 절차 90 [그림 Ⅲ-11] 평가 주요 내용 91 [그림 Ⅴ-1] 평가인정 개념 150 [그림 Ⅴ-2]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 제도 151 [그림 Ⅴ-3] 평가기준 개발 절차 153 [그림 Ⅴ-4] 프로그램 평가인정 운영 흐름도 156 [그림 Ⅴ-5] 프로그램 평가인정 절차 158 [그림 Ⅴ-6] 평가인정 정보 관리 체계 15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인정 체계 구축 방안 | 2003.05.15~2003.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