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준·고령자 취업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Program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to Improve the Employabilities of Aged Workers
저자
장명희 주인중 박윤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03-3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3.12.31
등록일
2003.12.3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과 범위 2
  3. 연구의 방법 3
  4. 연구의 제한 8
Ⅱ. 준·고령자 직업능력개발 실태 및 요구 분석 9
  1. 준·고령자의 특성 및 고용 현황 9
  2. 준·고령자를 위한 직업능력개발 정책 30
  3. 준·고령자 직업훈련 현황 37
  4. 준·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요구 분석 42
Ⅲ. 준·고령자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63
  1. 준·고령자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 동향 63
  2. 준·고령자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모형 수립 67
  3. 준·고령자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종선정 109
  4. 직종별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113
Ⅳ. 준·고령자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방안 225
  1. 프로그램 보급 및 활용 방안 225
  2. 프로그램 운영 방안 228
  3. 프로그램 운영 지원 방안 235
참고문헌 239
ABSTRACT 243
<부  록> 253
  본 연구의 목적은 준·고령자의 실질적인 고용을 촉진하고 취업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이들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질적인 운영 및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의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준·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한다.
  둘째, 준·고령자의 실질적인 고용촉진이 가능한 직종을 선정한다.
  셋째, 준·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 및 지원 방안을 제시한다.
  This paper was aimed at developing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aged in order to promote the vocational competency of aged workers. This paper also suggested measures to effectively manage and support thes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related literature and materials were analyzed, as were the present state of the employment of aged workers and of the development of their vocational competency. This paper also carried out consultations with specialists in order to select the potential occupations for which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to develop a model for these programs. Moreover, in order to collect their opinions on what occupations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aged workers,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aged workers who were seeking employment, as well as with the managers of enterprises that presently employed aged workers. Furthermore, interviews with specialist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llect opinions on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existing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on which measures should be introduced to fix these problems, as well as on how new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a job analysis of the occupations for which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aged workers will be developed was also used.  In cases where job analyses were already conducted for a particular occupation, this paper used the results of multiple consultations with specialists to develop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
<표 Ⅰ-1>	준․고령층 취업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요구 조사의 설문 조사 내용	6
<표 Ⅱ-1>	연령계층별 인구 및 구성비 추이	10
<표 Ⅱ-2>	개인의 주관적 건강평가	11
<표 Ⅱ-3>	2002년도 준․고령자의 구인 현황	17
<표 Ⅱ-4>	고용안정정보망에 집계된 구직자의 현황	18
<표 Ⅱ-5>	고령자 및 준․고령자 직종 대분류별 취업자 추이	19
<표 Ⅱ-6>	준․고령자의 직종 대분류별 구인배수 및 취업률	20
<표 Ⅱ-7>	50~54세의 구인ㆍ구직 및 취업이 많은 직종	22
<표 Ⅱ-8>	50~54세의 구인ㆍ구직 및 취업률	23
<표 Ⅱ-9>	55~59세의 구인ㆍ구직 및 취업이 많은 직종	25
<표 Ⅱ-10>	55~59세의 구인ㆍ구직 및 취업률	26
<표 Ⅱ-11>	60~64세의 구인ㆍ구직 및 취업이 많은 직종	27
<표 Ⅱ-12>	60~64세의 구인ㆍ구직 및 취업률	28
<표 Ⅱ-13>	65세 이상의 구인ㆍ구직 및 취업이 많은 직종	29
<표 Ⅱ-14>	65세 이상의 구인ㆍ구직 및 취업률	30
<표 Ⅱ-15>	노동부 고시 준․고령자 우선고용직종	33
<표 Ⅱ-16>	지역사회시니어클럽의 구성	36
<표 Ⅱ-17>	준․고령자 고용촉진 단기적응훈련	38
<표 Ⅱ-18>	대분류별 실업자 재취직 훈련성과	39
<표 Ⅱ-19>	보건복지부 지원 지역사회시니어클럽(C.S.C) 운영 현황	41
<표 Ⅱ-20>	업체의 일반적 특성	42
<표 Ⅱ-21>	하반기 서울시 실버취업박람회 참여업체 현황	43
<표 Ⅱ-22>	기업체의 고령자의 채용기준	46
<표 Ⅱ-23>	기업체들의 고령자 채용의 근본적인 이유(복수 선택)	47
<표 Ⅱ-24>	고령자 인력 채용 혹은 교육훈련 대상자 모집시 홍보방법(복수 선택)	48
<표 Ⅱ-25>	기업체의 고령자 인력 채용을 위한 별도의 교육훈련 계획 여부	48
<표 Ⅱ-26>	기업체들의 채용 고령자에 대한 교육훈련 계획 	49
<표 Ⅱ-27>	고령자 인력에 대해 제공할 근무 조건	50
<표 Ⅱ-28>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52
<표 Ⅱ-29>	응답자들의 취업 요구와 근무조건 및 관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53
<표 Ⅱ-30>	새로운 일자리에 대한 응답자의 현재직업 유무에 따른 견해 차이 	53
<표 Ⅱ-31>	취업 시 관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필요도 인식 차이	54
<표 Ⅱ-32>	응답자들의 현재 및 최근 종사직종 현황과 채용 희망직종에 대한 의견	55
<표 Ⅱ-33>	취업 준비 교육에 대한 응답자의 요구	57
<표 Ⅱ-34>	교육비 부담 및 교육 정보 취득 경험에 대한 응답자의 인식 	59
<표 Ⅲ-1>	선행 연구 분석	64
<표 Ⅲ-2>	학습 대상자 분석을 위한 질문사항	87
<표 Ⅲ-3>	요구분석 기법	90
<표 Ⅲ-4>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의 예	92
<표 Ⅲ-5>	목적과 목표 제시 양식	93
<표 Ⅲ-6>	내용 조직을 위한 가이드라인	94
<표 Ⅲ-7>	목표 중심 프로그램 내용 선정 양식	95
<표 Ⅲ-8>	우선순위 설정에 의한 프로그램 내용 선정 양식	96
<표 Ⅲ-9>	학습목표 작성 예시	97
<표 Ⅲ-10>	학습 성과별 교수․학습 방법의 사례	98
<표 Ⅲ-11>	평가의 9가지 지표	102
<표 Ⅲ-12>	개별 강좌 profile 양식	103
<표 Ⅲ-13>	수업에 대한 평가용 설문지 양식	103
<표 Ⅲ-14>	프로그램 운영 예산 및 비용 작성 양식	104
<표 Ⅲ-15>	프로그램 운영 계획 양식	105
<표 Ⅲ-16>	기자재 및 주의사항 양식	106
<표 Ⅲ-17>	교재 및 교구와 준비사항 양식	107
<표 Ⅲ-18>	마케팅 수립을 위한 고려 요소	108
<표 Ⅲ-19>	연령별 구인인원과 취업률을 만족하는 직종 	110
<표 Ⅲ-20>	직업훈련에서 모집인원과 취업률을 만족하는 직종	110
<표 Ⅲ-21>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고령자 직업훈련 프로그램 개설 현황	111
<표 Ⅲ-22>	전문가 협의회 및 현장 교육훈련 기관의 요구를 반영한 최종 직종 선정안	112
<표 Ⅲ-23>	2003년 전국 주유소 업체 현황	169
<표 Ⅲ-24>	2003년 전국 주유소 종사자 규모 예측 현황	170
<그림 Ⅰ-1> 연구 추진 절차에 따른 개념도 	7
<그림 Ⅱ-1> 연령대별 인구 비중 추이	15
<그림 Ⅱ-2> 연령대별 경제 활동 인구 비중 추이	15
<그림 Ⅱ-3> 연령대별 취업자 비중 추이	16
<그림 Ⅲ-1> 준․고령자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모형	8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준·고령자 취업 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2003.01.01~200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