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계 고등학교 체제 개편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 연수 운영 방안
Measures to Implement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the Vocational Teachers with Restructuring Vocational High Schools
- 저자
- 장명희 최동선 박동열 이광호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3-3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3.12.31
- 등록일
- 2003.12.3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과 범위 3 3. 연구의 방법 6 4. 용어의 정의 10 5. 연구의 제한 10 Ⅱ. 실업계 고등학교 체제 개편의 현황 및 방향 13 1. 실업계 고등학교 체제 개편의 배경 13 2. 실업계 고등학교 체제 개편의 추이 및 전망 20 3. 종합 및 시사점 66 Ⅲ.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 수급 정책 실태 및 사례 분석 75 1.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인력구조 실태 75 2. 전문교과 교사 수급 관련 정책 추진 실태 84 3. 전문교과 교사 수급 문제 해결의 사례 분석 91 4. 종합 및 시사점 138 Ⅳ.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 연수의 실태 및 요구 145 1. 전문교과 교사 연수 체제의 현황 및 문제점 145 2. 전문교과 교사의 자격연수 운영의 실태 및 요구 153 3. 실업계 고등학교 통합표시과목 관련 연수의 실태 및 요구 183 4. 전문교과 교사 연수의 지원체제 실태 및 요구 186 V. 실업계 고등학교 체제 개편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의 효과적인 연수 운영 방안 207 1.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효과적인 연수 운영을 위한 기본 방향 207 2. 실업계 고등학교 체제 개편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 연수 운영 방안 211 3. 연수 운영 방안의 종합 및 추진 주체별 내용 231 4. 제언 236 참고문헌 241 ABSTRACT 245 <부록 1> 실업계 고등학교 체제 개편 관련 실적 및 계획 조사표 253 <부록 2>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인력구조 현황 264 <부록 3> 현장방문을 위한 면담지 280 <부록 4> 부전공연수 운영 관련 질문지(개방형) 284 <부록 5> 교육대학원을 활용한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부전공 자격연수 사례 :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287
본 연구는 실업계 고교 체제 개편에 따른 교사의 수급 문제를 해결하고 이들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전문교과 교사 연수 운영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실업계 고교 체제 개편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의 수급 실태를 분석한다. 실업계 고교 전문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 운영 현황을 파악 하고,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요구를 진단한다. 실업계 고교 체제 개편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의 효과적인 연수 방안을 모색한다.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the social conditions have emerged as a serious challenge to the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system. Therefore, efforts to reform this system, as well as the various implementation types used, have been undertaken, with much of the focus being on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vocational high school units.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ill play a very important part of any effort to successfully reorganize the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system. However, assuring the steady supply of teachers who can teach specialized subjects, due to the lack of elasticity in the teaching market, has emerged as a new problem. This paper analyzed the state of the supply of teachers qualified to teach specialized subjects in the aftermath of the onset of the effort to reorganize the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system and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s. Furthermore,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effect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in the aftermath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demand for such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nd the nature of the current implementation system employed. To attain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1) related literature and materials were referred to. 2) The educational statistics DB was analyzed as part of an effort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tate of the human resources structure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have been reorganized. 3) A survey of city and provincial level educational officials was conducted, and consultations with specialists were held, in order to analyze the pres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system. 4) Field visits to actual school units, as well as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ir opinions on the training programs for those teaching specialized subjects. 5) A survey of the training organizations responsible for the teaching of secondary subject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these training programs, and to suggest ways through which these could be improved ...
<표 Ⅰ-1> 부전공 과목 연수기관 대상의 설문 조사의 내용 구조 9 <표 Ⅱ-1> 연도별 고교 입학생 수 현황 및 예측 14 <표 Ⅱ-2> 실업계 고교 입학 경쟁률 및 정원 확보율 14 <표 Ⅱ-3> 실업계 고교와 일반계 고교의 비율 변화 추이 15 <표 Ⅱ-4> 실업계 고등학생의 계열별 진학률 및 취업률 변화추이 16 <표 Ⅱ-5> 실업계 고교 취업자의 전공관련 분야 진출 변화 추이 17 <표 Ⅱ-6> 전공과 직업과의 일치 정도 18 <표 Ⅱ-7> 실업계 고교 졸업자의 계열별 산업체 수요 전망 19 <표 Ⅱ-8> 장래 희망직업을 갖기 위한 필요 교육수준 20 <표 Ⅱ-9> 시도별 특성화 고등학교 설치 현황 22 <표 Ⅱ-10> 특성화 고등학교 현황(2003년) 23 <표 Ⅱ-11> 통합형 고등학교의 운영 현황(2003년 5월 기준) 27 <표 Ⅱ-12> 실업계열 특수목적 고등학교 현황(2003년 현재) 28 <표 Ⅱ-13> 실업계 고교의 인문계 고교로의 전환 현황(2002년 1월 현재) 30 <표 Ⅱ-14> 향후 3년간의 실업계 고교 체제개편 계획(2004∼2006년) 31 <표 Ⅱ-15> 농업계 고등학교 학과개편 실적 34 <표 Ⅱ-16> 공업계 고등학교 학과개편 실적 37 <표 Ⅱ-17> 상업계 고등학교 학과개편 실적 42 <표 Ⅱ-18> 수산 해운계 고등학교 학과개편 실적 46 <표 Ⅱ-19> 가사계 고등학교의 학과개편 실적 47 <표 Ⅱ-20> 농업계 고등학교 학과개편 계획 49 <표 Ⅱ-21> 공업계 고등학교 학과개편 계획 51 <표 Ⅱ-22> 상업계 고등학교 학과개편 계획 55 <표 Ⅱ-23> 수산 해운계 고등학교 학과개편 계획 57 <표 Ⅱ-24> 가사 실업계 고등학교 학과개편 계획 58 <표 Ⅱ-25> 실업계 고교 학급 수 조정 내용 및 계획 59 <표 Ⅱ-26> 실업계 고교 학급당 학생 수 조정 내용 및 계획 60 <표 Ⅱ-27> 계열별 학급당 교사정원의 현황 및 적정 규모 61 <표 Ⅱ-28> 계열별 전문교과 교사 1인당 주당 수업 시수의 현황 및 적정규모 62 <표 Ⅱ-29> 실업계 고교 전문교과 교사 수요 추이 및 예측 64 <표 Ⅱ-30> 신설이 요청되는 교사자격 65 <표 Ⅱ-31> 2004년도 전문교과 임용인원 현황(2003년 11월 현재) 71 <표 Ⅲ-1> 중등학교 정교사 및 준교사의 표시과목 구분 76 <표 Ⅲ-2> 실업계 고교 교사의 자격증 과목별 분포 현황 77 <표 Ⅲ-3> 실업계 고교 교사의 자격과목별 성별 분포 79 <표 Ⅲ-4> 실업계 고교 교사의 자격과목별 연령별 분포 81 <표 Ⅲ-5> 실업계 고교 교사의 자격과목별 출신기관별 분포 83 <표 Ⅲ-6> 新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에서의 실업계 고교 전문교과 교사 관련 사항 85 <표 Ⅲ-7> 교육발전 5개년 계획(시안)에서의 실업계 고교 전문교과 교사 관련 사항 86 <표 Ⅲ-8> 실업계 고등학교 육성대책에서의 실업계 고교 전문교과 교사 관련 사항 87 <표 Ⅲ-9>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직발전방안 88 <표 Ⅲ-10> 시 도 교육청의 실업계 고교 전문교과 교사 과부족 문제의 해결 실태 89 <표 Ⅲ-11> 시 도 교육청의 실업계 고교 전문교과 교사 과부족 문제의 해결 계획 91 <표 Ⅲ-12> A고등학교의 학생 현황(2003년 7월 현재) 93 <표 Ⅲ-13> A고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현황 95 <표 Ⅲ-14> B고등학교의 학생 및 학과 현황(2003년 3월 현재) 98 <표 Ⅲ-15> B고등학교의 학과별 학년별 교육과정 편성표 99 <표 Ⅲ-16> B고등학교의 과목별 교사 현황(2003년 3월 현재) 104 <표 Ⅲ-17> C고등학교의 학과별 학생 수 현황(2003년 3월 현재) 107 <표 Ⅲ-18> C고등학교의 학과별 학년별 교육과정 편성표 108 <표 Ⅲ-19> C고등학교 교사의 과목별 현황(2003년 3월 현재) 112 <표 Ⅲ-20> D고등학교의 학과별 학생 수 현황(2003년 3월 현재) 114 <표 Ⅲ-21> D고등학교의 학과별 학년별 교육과정 편성표 116 <표 Ⅲ-22> D고등학교 교사의 과목별 현황(2003년 3월 현재) 121 <표 Ⅲ-23> E고등학교의 학생 및 학과 현황(2003년 3월 현재) 123 <표 Ⅲ-24> E고등학교의 학과별 학년별 교육과정 편성표 124 <표 Ⅲ-25> E고등학교 교사의 과목별 현황(2003년 3월 현재) 126 <표 Ⅲ-26> F고등학교의 과정별 학년별 교육과정 편성 현황 129 <표 Ⅳ-1> 교원연수기관 현황 147 <표 Ⅳ-2> 학교 중심 교사 연수의 사례 : 부산자동차고등학교 149 <표 Ⅳ-3> 자격연수와 직무연수의 구분 151 <표 Ⅳ-4> 복수자격제도의 특성 : 부전공과 복수전공의 비교 154 <표 Ⅳ-5> 시도별 일반적인 부전공 연수 대상자 선정 기준(2002년 현재) 156 <표 Ⅳ-6> 공통사회 부전공 연수대상자 선정기준(2002년 현재) 158 <표 Ⅳ-7> 정보 컴퓨터 부전공 연수대상자 선정기준 159 <표 Ⅳ-8> 부전공 연수기관 운영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161 <표 Ⅳ-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능력개발교육원의 2002년도 동 하계 신기술 연수 참가자의 소속기관별 분포 163 <표 Ⅳ-10> 부전공 연수 프로그램 개설 이유 164 <표 Ⅳ-11> 연수 프로그램 개발 인적 구성 165 <표 Ⅳ-12> 교육감 지정 연수기관을 통한 기술 교과 부전공 연수(예) 166 <표 Ⅳ-13> 부전공 연수 프로그램 불만족 이유 167 <표 Ⅳ-14> 실업계 고교 전문교과 교사의 부전공 자격연수 운영 현황 169 <표 Ⅳ-15> 농업 수산해운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부전공자격 취득 현황(2001년) 170 <표 Ⅳ-16>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부전공자격 취득 현황(2001년) 171 <표 Ⅳ-17> 상업 가사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부전공자격 취득 현황(2001년) 172 <표 Ⅳ-18> 부전공과목 연수이수자 심화 직무연수 지원 현황 173 <표 Ⅳ-19> 부전공과목 연수이수자의 인사배치 정책 173 <표 Ⅳ-20> 전문교과 교사의 부전공 연수 문제점 종합 174 <표 Ⅳ-21> 복수자격 취득을 위한 자율연수 현황 : 교육대학원 176 <표 Ⅳ-22> 복수자격 취득을 위한 자율연수 현황 : 학사편입 및 기타 177 <표 Ⅳ-23> 실업교과 통합표시과목 현황 184 <표 Ⅳ-24> 실업계 통합표시과목 관련 연수 현황 184 <표 Ⅳ-25> 교사 자격증 부여 관련 규정 188 <표 Ⅳ-26> 복수전공 관련 규정 190 <표 Ⅳ-27> 부전공 관련 규정 192 <표 Ⅳ-28> 복수자격 요건 및 학과 범위 193 <표 Ⅳ-29> 실업계 고교 전문교과 교사 신규 양성을 위한 법 개정 194 <표 Ⅳ-30> 중등교사 연수 관련 규정 195 <표 Ⅳ-31> 휴직 사유별 휴직 기간 202 <표 Ⅴ-1> 복수자격 취득을 위한 연수 유형에 따른 연수비용의 비교 229 <표 Ⅴ-2> 실업계 고교 체제 개편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 연수 운영방안의 종합 232 <표 Ⅴ-3> 효과적인 전문교과 교사 연수 운영을 위한 추진 주체별 내용 235 [그림 Ⅰ-1] 연구의 전체적인 흐름도 7 [그림 Ⅳ-1] 교원 연수의 구조 및 조직 146 [그림 Ⅳ-2] 교원승진 반영 요소별 배점 149 [그림 Ⅳ-3] 부전공과목 취득과정 흐름도 155 [그림 Ⅴ-1] 실업계 고교 체제 개편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 연수의 모형 208 [그림 Ⅴ-2] 실업계 고교에서의 인적자원개발과 전문교과 교사 연수의 관계 212 [그림 Ⅴ-3] 실업계 고교 체제 개편과 전문교과 교사 연수 유형의 관계 214 [그림 Ⅴ-4] 중 장기 교원수급계획에 따른 연수 프로그램 개발 흐름도(안) 22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실업계 고등학교 체제 개편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 연수 운영 방안 | 2003.05.15~2003.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