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단계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지도 현황 및 정책과제
Career Guidance for Middle &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Students: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 저자
- 이지연 김은주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3-3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3.12.31
- 등록일
- 2003.12.31
I.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연구 접근 틀 6 3. 연구방법 8 4. 연구 한계 17 Ⅱ. 장애와 진로교육 19 1. 장애 정의와 유형 19 2. 장애와 진로개발이론 22 3. 장애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과 진로지도 30 4. 장애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이 진로지도에 주는 함의 38 Ⅲ. 중등단계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지도 41 1. 중등단계 특수교육 패러다임의 이동과 특징 41 2. 중등단계 특수교육기관의 운영형태와 특징 47 3. 중등단계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졸업 후 진로방향 52 4. 중등단계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지도관련 활동현황 59 5. 중등단계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지도체제 69 Ⅳ. 미국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지도 75 1. 법.제도적 지원체제 75 2. 진로지도 프로그램 사례 및 특징 87 3. 미국 진로지도 사례를 통한 함의 111 Ⅴ. 중등단계 진로지도 공급자 현황 및 요구 115 1.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진로지도 현황 115 2. 중등단계 특수교육 교사의 진로지도인식 및 요구 143 3. 학부모의 자녀 진로결정개입 및 진로지도 요구 165 Ⅵ. 진로지도 수요자 측면의 진로개발현황 및 요구 193 1. 응답자 특성 193 2. 진로인식 195 3. 진로탐색 218 4. 진로결정 225 5. 진로준비 235 6. 개인 특성 변인 241 7. 기타 분석 246 Ⅶ.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지도 정책 과제 251 1. 정책제안을 위한 연구 결과 요약 251 2. 정책 과제 제안 262 3. 제언 272 참고문헌 273 ABSTRACT 279 <부록 1> 학교대상 설문지 285 <부록 2> 교사대상 설문지 287 <부록 3> 학부모대상 설문지 290 <부록 4> 학생대상면담조사지 293 <부록 5> 특수학교진로지도지원체제현황 308 <부록 6> 학생면담조사 변인간 상관계수표 317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중등단계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지도 현황을 최종 수혜자인 학생과 공급자인 학교 ·교사 ·학부모 측면에서 학교 유형 · 학교 단위, 그리고 장애 유형별 분석을 하고, 그 의미 있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진로지도서비스의 개입전략을 제시하며, 궁극적으로 진로지도 활성화 를 위한 국가 정책의 장·단기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Having a narrower range of choice for their careers than others, those students who require special education should plan their careers well ahead of time by carefully taking into account such factors as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aptitude and the kind of jobs available for them. Therefore, they are in need of career education of the sort whose contents and delivery are more specifically targeted for them. In recognition of this need, the research looks at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s available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hen seeks to propose policy measures to strengthen career guidance for them. Chapter 1 gives an outline of the research by describing that the research (1) draws on existing researches tha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areer development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to highlight the need to identify relevant policy measures, (2) surveys and interviews both suppliers (schools, teachers and parents) and users (students) of career guidance, and (3) analyzes the outcomes comprehensively to propose nation-wide policy measures. Chapter 2 examines theories to reaffirm a link between disabilities and career guidance and reviews preceding researche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in terms of development, cognition, psychology, emotions and behavior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Chapter 3 explains the status quo of middle- & high-school special education by looking into how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are operated, how their students find and develop their careers after graduation and what activities and systems are available for career guidance for those students. Chapter 4 describes the situation in the U.S: it first looks into several cases to explain how American special education students receive career guidance; then it reviews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ive systems such as 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 (STWOA), Perkins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Ac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and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 as well as outlines several career guidance programs such as CHOICE and TASSEL. Chapter 4 also draws three lessons from the American examples: (1) seamless links among related institutions,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2) enough experts for effective career guidance; and (3) continuous assessments of career guidance programs ...
<표 Ⅰ-1> 본 연구의 모집단 9 <표 Ⅰ-2> 조사방법 및 대상 10 <표 Ⅰ-3> 학생 학부모 대상의 유목적 표집안 (총 300명 예상) 10 <표 Ⅰ-4> 학교 교사 학부모대상 설문조사도구 구조 11 <표 Ⅰ-5> 학생대상 면담조사도구 구조 13 <표 Ⅰ-6> 전문가 자문 협의 안건 16 <표 Ⅱ-1> 장애개념의 정의와 특징 21 <표 Ⅱ-2> 경력개념모형 25 <표 Ⅱ-3> 생애주기에 따른 장애인의 발달적 특성과 진로지도에서의 대처방안 33 <표 Ⅱ-4> 장애 유형별 인지 심리 정서 행동적 특성요약 37 <표 Ⅲ-1> 서비스와 지원의 발전과정 45 <표 Ⅲ-2> 교육과정 선택권 48 <표 Ⅲ-3> 특수학교 현황 50 <표 Ⅲ-4> 특수학급 현황 51 <표 Ⅲ-5> 특수학급 미설치교의 통합학급 현황 52 <표 Ⅲ-6> 중학교 졸업생 진로현황 54 <표 Ⅲ-7> 고등학교 졸업생 진로현황 55 <표 Ⅲ-8> 장애유형별 특수학교 전공과 현황 57 <표 Ⅲ-9> 특수학교 졸업자의 진로 및 취업 현황 58 <표 Ⅲ-10> IEP 작성 및 실천상의 문제점 61 <표 Ⅲ-11> 지역사회자원 활용분야 64 <표 Ⅲ-12> 특수학교의 직업교육 중점지도 영역 66 <표 Ⅲ-13> 교육인적자원부의 진로관련 부서 및 업무분장 71 <표 Ⅲ-14>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보건과 진로지도관련 지원업무 현황 72 <표 Ⅲ-15>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직업재활 지원체제 73 <표 Ⅳ-1> 미국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준비 법안의 예 76 <표 Ⅳ-2> 노동력 투자법(WIA)과 장애인 교육법(IDEA) 비교 85 <표 Ⅳ-3> 노동력 투자법(WIA)의 구성 86 <표 Ⅳ-4> 미국 교육부지원 STOWOP의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91 <표 Ⅴ-1> 학교설문지 회수율 115 <표 Ⅴ-2> 설립주체에 따른 학교의 유형 116 <표 Ⅴ-3> 학교의 유형별 교육대상 장애유형 117 <표 Ⅴ-4> 학교유형별 진로상담실, 진로교사, 진로교사자격의 유무 118 <표 Ⅴ-5> 진로지도에 관한 정규과정상의 운영현황 119 <표 Ⅴ-6> 특수학교 정규과정에서 운영되고 있는 진로지도 내용의 예 120 <표 Ⅴ-7> 특수학급 정규과정에서 운영되고 있는 진로지도 내용의 예 120 <표 Ⅴ-8> 진로지도자료 및 장애특성에 따른 소프트웨어 구비현황 121 <표 Ⅴ-9> 특수학교의 장애유형별 특성화 교육 소프트웨어(프로그램) 예 122 <표 Ⅴ-10> 정규교육과정외 진로관련 프로그램 현황 122 <표 Ⅴ-11> 특수학교 비정규 교육과정의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예시 123 <표 Ⅴ-12> 특수학급 비정규 교육과정의 진로관련 프로그램의 예시 123 <표 Ⅴ-13> 진로지도 지원체제 유형 분류 126 <표 Ⅴ-14> Shutt의 진로상담 지원체계 3요소에 의한 유형분류 129 <표 Ⅴ-15> 정신지체, 정서장애 대상 진로지도활동의 내용과 특징 130 <표 Ⅴ-16> 정신지체, 정서장애 대상 직업보도활동 내용 131 <표 Ⅴ-17> 청각장애 대상 진로지도활동의 내용과 특징 132 <표 Ⅴ-18> 청각장애 대상 직업보도활동 내용 133 <표 Ⅴ-19> 시각장애 대상 진로지도활동의 내용과 특징 133 <표 Ⅴ-20> 지체장애 대상 진로지도활동의 내용과 특징 134 <표 Ⅴ-21> 지체장애 대상 전환교육활동 내용 135 <표 Ⅴ-22> 중학부 교육과정 내 진로 지도 내용 영역(청각장애, 시각장애, 지체장애 영역) 136 <표 Ⅴ-23> 정신지체 중, 고등부 교육과정 내 진로 지도 내용영역 140 <표 Ⅴ-24> 설문지 회수율 143 <표 Ⅴ-25> 특수교사의 인구학적 특성 144 <표 Ⅴ-26> 특수교사가 가르치는 학생의 장애유형 145 <표 Ⅴ-27> 진로지도의 필요성 인식과 전담진로교사 배치현황 146 <표 Ⅴ-28> 교사의 진로지도 전달 내용요소 147 <표 Ⅴ-29> 특수교사가 선호하는 진로지도방법 148 <표 Ⅴ-30> 특수교사가 선호하는 기타 진로지도 방법 150 <표 Ⅴ-31>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내용의 필요성 151 <표 Ⅴ-32> 특수학교 교사의 진로지도 어려움 152 <표 Ⅴ-33> 특수학급 교사의 진로지도 어려움 154 <표 Ⅴ-34> 특수학교 교사의 내실있는 진로지도 지원 요소 156 <표 Ⅴ-35> 특수학급 교사의 진로지도시 필요한 지원 157 <표 Ⅴ-36> 특수학교 교사가 학부모에게 바라는 사항 159 <표 Ⅴ-37> 특수학교 교사의 학교에 바라는 사항 159 <표 Ⅴ-38> 특수학교 교사의 정부에 바라는 사항 161 <표 Ⅴ-39> 특수학급 교사가 학부모에게 바라는 사항 162 <표 Ⅴ-40> 특수학급 교사의 학교에 바라는 사항 163 <표 Ⅴ-41> 특수학급 교사의 정부에 바라는 사항 164 <표 Ⅴ-42> 학부모 설문지 회수율 165 <표 Ⅴ-43>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166 <표 Ⅴ-44> 장애 유형에 따른 자녀의 소질 적성파악 168 <표 Ⅴ-45> 장애 발생시기에 따른 자녀의 소질 적성파악 169 <표 Ⅴ-46> 자녀의 장애유형, 장애급수 장애발생시기에 따른 희망상급학교 170 <표 Ⅴ-47> 졸업 후 희망 진로방향 172 <표 Ⅴ-48> 시각 장애자녀 학부모의 희망직업 175 <표 Ⅴ-49> 청각 장애자녀 학부모의 희망직업 177 <표 Ⅴ-50> 정신지체자녀 학부모의 희망직업 178 <표 Ⅴ-51> 지체부자유 장애자녀 학부모의 희망직업 180 <표 Ⅴ-52> 정서 장애자녀 학부모의 희망직업 181 <표 Ⅴ-53> 기타 장애 자녀 학부모의 희망직업 182 <표 Ⅴ-54> 장애 유형에 따른 자녀의 진로결정 관여 182 <표 Ⅴ-55> 장애급수에 따른 진로결정관여 183 <표 Ⅴ-56> 장애 발생시기에 따른 진로결정관여 184 <표 Ⅴ-57> 장애유형에 따른 진로지도 활동 185 <표 Ⅴ-58> 장애급수에 따른 진로지도 활동 186 <표 Ⅴ-59> 진로지도 필요성 인식 188 <표 Ⅴ-60> 학교 진로지도 필요성 인식에 대한 단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189 <표 Ⅴ-61> 장애발생시기에 따른 학부모의 진로상담처 191 <표 Ⅵ-1> 면접학생의 일반적 특성 193 <표 Ⅵ-2> 장애유형별 자기이해 195 <표 Ⅵ-3> 장애정도에 따른 자기이해 196 <표 Ⅵ-4> 학교단위에 따른 자기이해 197 <표 Ⅵ-5> 시각 장애학생의 희망직업 199 <표 Ⅵ-6> 청각 장애학생의 희망직업 201 <표 Ⅵ-7> 정신지체학생의 희망직업 203 <표 Ⅵ-8> 지체부자유 장애학생의 희망직업 206 <표 Ⅵ-9> 발달 장애학생의 희망직업 207 <표 Ⅵ-10> 중복 장애학생의 희망직업 209 <표 Ⅵ-11> 기타 장애학생의 희망직업 209 <표 Ⅵ-12> 장애유형별 직업인지범위 208 <표 Ⅵ-13> 장애유형에 따른 직업정보에 대한 이해 212 <표 Ⅵ-14> 진로정보이해에 대한 장애유형별 사후분석 결과표 213 <표 Ⅵ-15> 학교단위에 따른 직업정보에 대한 이해 215 <표 Ⅵ-16> 장애유형에 따른 희망직업과 개인특성간의 일치도 217 <표 Ⅵ-17> 장애유형에 따른 진로탐색행동 219 <표 Ⅵ-18> 학교단위에 따른 진로탐색행동 221 <표 Ⅵ-19> 장애유형에 따른 자기탐색행동 222 <표 Ⅵ-20> 장애정도에 따른 자기탐색행동 223 <표 Ⅵ-21> 진로탐색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 224 <표 Ⅵ-22> 장애유형별 진로결정상태 226 <표 Ⅵ-23> 학교단위별 진로결정상태 226 <표 Ⅵ-24> 장애유형 정도별 진로 결정의 주요 영향 요인 1순위 229 <표 Ⅵ-25> 장애유형별 진로 결정 영향 인물 230 <표 Ⅵ-26> 진로에 관한 정보 출처 1순위 232 <표 Ⅵ-27> 장애유형별 합리적 의사결정 정도 233 <표 Ⅵ-28> 장애유형 정도별 진로추구 유형 234 <표 Ⅵ-29> 장애유형 정도별 진로준비행동 235 <표 Ⅵ-30> 장애유형 정도별 희망소득, 고용형태 및 근무형태 238 <표 Ⅵ-31> 장애유형별 구직기준 240 <표 Ⅵ-32> 장애정도별 구직기준 241 <표 Ⅵ-33> 장애유형 정도별 구직효능감 242 <표 Ⅵ-34> 장애유형 정도별 일에 대한 몰입 243 <표 Ⅵ-35> 장애유형 정도별 경력활성화 의지 243 <표 Ⅵ-36> 장애유형 정도별 자존감 수준 244 <표 Ⅵ-37> 장애유형 정도별 삶에 대한 만족도 245 <표 Ⅵ-38> 장애유형별 정서 경험 246 <표 Ⅵ-39> 합리적 의사결정 수준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중다회귀분석 247 <표 Ⅵ-40> 진로 결정 여부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248 <표 Ⅵ-41> 삶의 만족과 관련된 변인들간 상관관계 249 <표 Ⅶ-1> 진로지도 공급자 수요자 측면의 문제점 및 대응 과제 270 <표 Ⅶ-2> 세부 정책과제 영역별 추진 주체 구분 271 [그림 Ⅰ-1] 연구의 틀 7 [그림 Ⅱ-1] 생애교육이 교육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 29 [그림 Ⅲ-1] 중등단계에서의 일반학교 진로지도 체제 70 [그림 Ⅴ-1] 특수학교의 진로지도 128 [그림 Ⅴ-2] Shutt의 진로상담 지원체계 3요소에 의한 유형분류 128 [그림 Ⅴ-3] 특수교사가 선호하는 진로지도방법 149 [그림 Ⅶ-1] 「장애 진로지도」개입 전략 모형 263 [그림 Ⅶ-2] 중등단계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지도 개입프로그램 모형 26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중등단계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진로지도 현황 및 정책과제 | 2003.05.01~2003.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