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I)
Developing a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 저자
- 임언 정윤경 백순근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3-4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3.12.31
- 등록일
- 2003.12.31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4 3. 연구 방법 6 4.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14 Ⅱ. 전공 및 진로 탐색 프로그램 개발 모형 17 1. 프로그램 개발 절차 모형 17 2. 전공 및 진로 탐색 프로그램 개발 모형 21 Ⅲ. 전공 및 진로 탐색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27 1. 대학생 진로 개발 실태 : 선행 연구 결과 27 2. 대학생 요구 조사 결과 34 3. 대학 진로 지도 담당자 요구 조사 결과 54 Ⅳ. 전공 및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63 1. 대학생 진로 개발의 목표 및 내용 63 2. 외국 대학의 전공 선택 서비스 내용 65 3. 컴퓨터 진로 지도 체제 74 4. 대학생 전공 및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요소 81 Ⅴ. 대학생의 자기 이해를 돕기 위한 검사 개발 방향 85 1. 진로 결정 준비도 진단검사 86 2. 진로 선택을 위한 검사 91 Ⅵ. 대학생의 진로 결정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 107 1. 진로 의사 결정에 관한 이론적 논의 107 2. 진로 의사 결정 관련 검사 117 3. 진로 의사 결정 프로그램 119 4. 대학생 진로 의사 결정 역량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 121 Ⅶ. 이공계 전공별 정보 개발 123 1. 전공 분류 체계 123 2. 전공별 진출 직업 132 3. 전공별 교육과정 142 4. 전공별 대표 직장 및 모델 직업인 145 5. 전공별 관련 적성 델파이 조사 결과 150 6. 전공별 정보의 수집 결과 요약 및 활용 계획 153 Ⅷ. 1차년도 연구 요약 및 2차년도 연구 방향 155 1. 1차년도 연구 결과 요약 155 2. 2차년도 연구 진행 계획 160 참고문헌 163 ABSTRACT 171 <부록 1> 전공별 교육과정 운영실태 175 <부록 2> 대학생 진로 탐색 프로그램 수요조사 대학생용 설문 185 <부록 3> 대학생 진로 탐색 프로그램 수요조사 기관용 설문 205 <부록 4> 이공계대학 전공군별 진로 및 교육과정 2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215 <부록 5> 이공계대학 전공군별 2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내용 발췌 221 <부록 6> 교과목 설명에 대한 검토지 263 <부록 7> 전공별 교과목 설명 273 <부록 8> 신기술 분야 소개 30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하고 진로를 탐색할 때 자기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대학생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의 방대함을 감안할 때, 모든 전공을 포괄하기 보다는 이공계와 인문 사회계로 나누어 개발하고자 하며, 이공계를 위한 정보 수집을 우선적으로 하고자 한다. 이공계를 우선적으로 선택한 이유는 현재 재학중인 학생 중에 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이공계 학생(2002년도 대학 신입생의 42.9%임, 교육통계연보)이라는 점에 있으며, 이공계 기피 현상을 해결하는 것은 이 프로그램의 범위를 넘는 것이라 판단된다. 다만, 이공계 학생들의 전공 탐색을 도움으로써 이공계 학생들의 진로 개발에 기여하고 이로 인하여 이공계 인적 자원 개발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rapid change of the world of work, to cope flexibly with the changing society the importance of life-l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Life-long career development is essential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a nation as well a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In the span of life-long career development, the period of postsecondary education can be characterized as the period where career exploration and choice is unavoidable. Despite the urgency for career development during college education, the help provided by institutions are not sufficient, neither satisfac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which can facilitate college students to explore and choose their career in self-directed way. In this study, the first part of two-year project, we assessed the needs for program, decided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and the structure of each component, and collected data on major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
<표 Ⅰ-1> 연구 내용별 연구 방법 7 <표 Ⅰ-2> 대상별 면담 내용 8 <표 Ⅰ-3> 대학생 진로 개발 현황 및 요구 조사 내용 9 <표 Ⅰ-4> 이공계 대학생 표본 설계 및 응답 학교 분포 9 <표 Ⅰ-5> 연구 대상자의 성별․계열별 구성 10 <표 Ⅰ-6> 대학 진로 지도 서비스 현황 및 프로그램 요구 조사 내용 11 <표 Ⅰ-7> 기관 유형별 응답자의 성별 분포 11 <표 Ⅰ-8> 델파이 조사 응답자 특성별 분포 12 <표 Ⅰ-9> 델파이 조사 내용 13 <표 Ⅲ-1> 대학 재학중 진로 및 취업 관련 대학 내 시설이나 기구 활용도와 만족도 28 <표 Ⅲ-2> 계열별 전공 만족도 29 <표 Ⅲ-3> 대학생의 진로 결정 시기 30 <표 Ⅲ-4> 대학 재학중 더 경험하기를 희망하는 것 31 <표 Ⅲ-5> 졸업 후 진로와 현재 전공의 일치 여부 32 <표 Ⅲ-6> 진로 및 취업 관련 정보 출처 32 <표 Ⅲ-7> 성별․학년별 전공 결정유형 34 <표 Ⅲ-8> 희망 전공과의 일치 여부 35 <표 Ⅲ-9> 입학시 희망 전공과 다른 전공을 선택한 이유 35 <표 Ⅲ-10> 전공 결정 과정의 유형 36 <표 Ⅲ-11> 전공 결정 유형별 전공 결정 고려 요인 37 <표 Ⅲ-12> 전공 선택과정에서 도움 여부 37 <표 Ⅲ-13> 전공 결정에 도움을 준 사람 또는 기관 38 <표 Ⅲ-14> 전공 결정 유형에 따른 전공에 대한 이해 39 <표 Ⅲ-15> 계열별․학년별 전공 만족도 40 <표 Ⅲ-16> 복수 전공 및 편입 현황 및 계획 41 <표 Ⅲ-17> 고려하고 있는 직업의 수별 분포 41 <표 Ⅲ-18> 계열별 고려하고 있는 직업의 수 42 <표 Ⅲ-19> 학년별 졸업 후의 진로 계획 42 <표 Ⅲ-20> 대학원 진학시 계열별 전공 전환 여부 43 <표 Ⅲ-21> 취업시 전공 관련 여부 43 <표 Ⅲ-22> 미결정의 주된 이유 44 <표 Ⅲ-23> 진로 지도나 취업 관련 서비스 경험 유무 및 원하는 정도 45 <표 Ⅲ-24> 성별․계열별․학년별 진로 지도나 취업 관련 서비스 선호 정도 평균비교 46 <표 Ⅲ-25> 전공 결정 유형에 따른 전공 결정에 필요한 것 47 <표 Ⅲ-26> 성별․계열별․학년별 진로 결정 효능감 48 <표 Ⅲ-27> 전공 결정에 필요한 활동 49 <표 Ⅲ-28> 진로 준비를 위하여 하고 있는 것 50 <표 Ⅲ-29> 성별․계열별․학년별 진로 준비 여부 50 <표 Ⅲ-30> 개발될 프로그램의 이용 의향 정도 51 <표 Ⅲ-31> 성별․계열별․학년별 개발될 프로그램의 이용 의향 51 <표 Ⅲ-32> 선호하는 프로그램 활용 형태 52 <표 Ⅲ-33> 전공 선택을 위하여 필요한 정도와 효능감 수준의 차이 비교 53 <표 Ⅲ-34> 주요 업무에 따른 기관(센터)의 유형 55 <표 Ⅲ-35> 학년별․기관유형별 이용 비율 55 <표 Ⅲ-36> 전공 및 부전공 관련 서비스 제공 여부 56 <표 Ⅲ-37> 재학생의 전공 및 부전공 선택을 위한 서비스 56 <표 Ⅲ-38> 기관 유형별 진로 관련 개인 상담 제공 정도 57 <표 Ⅲ-39> 진로 상담의 평균 회기수 57 <표 Ⅲ-40> 진로 상담의 평균 회기수 57 <표 Ⅲ-41>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 탐색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각 내용의 필요 정도 59 <표 Ⅲ-42> 제시된 것 외에 추가로 필요한 내용 60 <표 Ⅲ-43> 프로그램의 보급 방법으로 좋다는 반응 정도 61 <표 Ⅲ-44> 프로그램 개발시 활용 방법 61 <표 Ⅳ-1> NOICC 및 NACE에서 규정한 대학생의 진로 개발 역량 64 <표 Ⅳ-1> 플로리다 주립 대학의 진로 정보 서비스 모듈 제목 및 목표 67 <표 Ⅳ-2> FSU의 전공별 직업 안내 내용 예시 70 <표 Ⅳ-3> 대학생용 컴퓨터 진로 지도 시스템 77 <표 Ⅳ-4> 전공 및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요소 검토 종합표 82 <표 Ⅴ-1> 진로 결정성 및 정체감 관련 검사의 하위 요소 분석 91 <표 Ⅴ-2> 홀랜드 이론에 기초한 흥미 검사에서의 직업 분류 102 <표 Ⅴ-3> 대학전공 선택TEST의 전공 분야별 계열 및 학과 104 <표 Ⅵ-1> 갈등 모델 의사 결정의 단계 111 <표 Ⅵ-2> CASVE 모델과 의사 결정이론 비교 114 <표 Ⅵ-3> 의사 결정 유형 분류 116 <표 Ⅶ-1> 대표적 전공 분류 124 <표 Ⅶ-2> 7개 대학의 이공계 학과 분류 체계 126 <표 Ⅶ-3> 과학기술 분류 체계 비교 128 <표 Ⅶ-4> 설성수 외(1999)의 과학기술분류 체계 129 <표 Ⅶ-5> 국가과학기술분류 체계 (KISTEP) 131 <표 Ⅶ-6> 이공계 대학생 전공 탐색 프로그램의 전공 분류 132 <표 Ⅶ-7>『미래의 직업 세계』에 제시된 전공별 진출 직업 134 <표 Ⅶ-8> 한국직업 정보망(KNOW) 자료에 근거한 전공별 진출 직업 137 <표 Ⅶ-9> 델파이 조사 결과 전공군별 직업 140 <표 Ⅶ-10> 전공군별 필수 교과 143 <표 Ⅶ-11> 전공별 진출 직장명 145 <표 Ⅶ-12> 전공군별 모델 직업인 145 <표 Ⅶ-13> 전공별 요구되는 능력의 중요성 평정 결과 151 [그림 Ⅱ-1] 프로그램 개발 모형(변창진, 1994,) 18 [그림 Ⅱ-2] 김진화․정지웅(1997)의 사회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통합적 모델 20 [그림 Ⅱ-3] 한국청소년개발원, 프로그램 평가와 운영 모델 21 [그림 Ⅱ-4] 이공계 대학생 전공 및 진로 탐색 프로그램 개발 모형 23 [그림 Ⅳ-1] 플로리다 주립 대학 웹상의 전공 선택 및 변경을 위한 내용 구조 69 [그림 Ⅳ-2] 노스웨스턴 대학 웹상의 전공 선택을 위한 내용 구조 71 [그림 Ⅳ-3] 미주리 대학 웹상의 전공 선택을 위한 내용 구조 72 [그림 Ⅳ-4] 미네소타대학 웹상의 전공 선택을 위한 내용 구조 73 [그림 Ⅳ-5] ‘대학생‘전공 및 진로 탐색 프로그램’에 포함될 영역별 요소 83 [그림 Ⅴ-1] Bandura가 설명하는 자기 효능감의 근원 및 행동 방식 101 [그림 Ⅴ-2] 흥미 검사와 유능감 검사 종합 방안 106 [그림 Ⅵ-1] 진로 선택 과정의 위계 112 [그림 Ⅵ-2] 정보 처리 영역 피라미드 113 [그림 Ⅵ-3] CASVE의 5단계 113 [그림 Ⅵ-4] 향후 개발될 대학생 의사 결정 프로그램의 구조 및 내용 122 [그림 Ⅶ-1] 이학계열 전공별 요구되는 능력의 중요성 평정 결과 152 [그림 Ⅶ-2] 공학계열 전공별 요구되는 능력의 중요성 평정 결과 152 [그림 Ⅷ-1] 1차년도 프로그램 단계별 연구 진행 내용 156 [그림 Ⅷ-2] 2차년도 프로그램 단계별 연구 진행 내용 16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Ⅰ) | 2003.01.01~2003.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