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 취업지도 강화 대책 연구
Policy Study on Career Guidance of Two-Year Professional Colleges in Korea
- 저자
- 장석민 윤형한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3-4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3.12.31
- 등록일
- 2003.12.31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 3. 연구의 방법 및 기간 3 Ⅱ. 취업지도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 11 1.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조직 및 운영 11 2. 전문대학 학생들의 취업준비 21 3. 전문대학 취업지도의 내용 및 방법 29 4. 취업지도를 위한 산업체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 35 5. 취업지도 촉진 및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 및 제도 36 6. 전문대학 취업지도에 있어서 개선 요구사항 40 Ⅲ. 외국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43 1. 미국의 초급대학 및 지역사회대학 43 2. 일본의 단기대학 54 3. 우리나라 전문대학 취업지도에 주는 시사점 72 Ⅳ. 전문대학 취업지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 77 1.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지원 체제 77 2. 전문대학 학생들의 취업준비 86 3. 취업지도의 내용 및 방법 91 4. 전문대학 취업지도 강화에 대한 의견 105 Ⅴ. 전문대학 취업지도 강화 대책 및 방안 109 1. 전문대학 자체의 취업지도 강화 방안 109 2. 산업체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 강화 125 3. 정부의 취업지도 촉진 및 지원 대책 131 Ⅵ. 요약 및 제언 139 1. 요약 139 2. 제언 145 참고문헌 167 ABSTRACT 171 <부록 1> 취업부서 담당 직원용 설문지 175 <부록 2> 학과(부) 교수용 설문지 187 <부록 3> 전문대학 재학생용 설문지 193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강화 대책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조직및 운영, 취업지도의 내용 및 방법, 학생들의 취업준비 경험 및 요구,취업지도를 위한 산업체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 관계, 정부의 취업지도 지원 정책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선행 연구 및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고 교수, 취업부서 직원 및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을 실시하였다. 취업지도 강화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 협의회도 개최하였다. 미국과 일본 등 외국의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개선에 주는 시사점도 살펴보았다.
This research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best policy measures on career guidance of two-year professional colleges in Korea. Since IMF economic crisis in 1997, two-year colleges have faced high rate of it's graduate unemployment because of no appropriate mechanism to cope with changing labor market demand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areer guidance mechanism and policies for elevating employment rate of two-year college graduates in Korea. Document analysis including previous research articles was applied to identify problems, status, and innovative policy ideas of two-year professional college's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terview method were applied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innovative policy ideas of two-year college's career guidance. The consultation meeting of career guidance specialists and experts was held to formulate new policy measures for innovating college's existing career guidance practices. Depending upon previous research studies, three major facts were confirmed as follows ; 1) Career guidance of two-year professional colleges puts more emphasis on job placement of graduates. However, it should be extended from entrance admission to graduation for better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2) Most of colleges are providing career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their own computer network system. But it is not well used by students as well as enterprises because of inconvenient low quality services. 3) More than half of college students want to have a job after graduation, but most of them has no chances to experience work and job in their fields.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on students, professors, officers in charge of career guidance were conducted for finding current status, problems, policy ideas of the college's career guidance throughout the na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bout 64% of career guidance offices are belong to department of college-enterprise cooperation, but most of questionnaire respondents agree to that it should be upgraded for its appropriate function. 2) Most of students are preparing thei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but not satisfied with college's career guidance services. 3) Most of students are wanting more services on finding vocational aptitudes, interests and making career plan. 4) Most of students want to have more chances to contact experts on the job. 5) More than 80% colleges are providing their own computer network services for career guidance, but these services are not satisfied with most of students and enterprises. 6) About one third of colleges are providing educational courses on career guidance, but facing difficulties of the course management including lack of experts and curriculum development. 7) Professors of two-year colleges are recognizing their educational responsibility as 42.1% of lecture, 26.1% of research, 24.7% of career guidance, and 7.1% of others. This research study suggests policy ideas for innovating current career guidance practices of the colleges, depending upon results of survey research. The major policy ideas suggested by the study are as follows ; 1) Career guidance office should be leveled up as a professional organization of college system. Role division system should be also introduced between career guidance office and academic departments for more effective students guidance. 2) Career guidance services should be diversified in contents and methods for various demands of students. Computer network services for career guidance should be leveled up especially in information and guidance programs to reflect labor market demands. 3) A collaborative partnership system between college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including Businesses and enterprises should be introduced to provide job experience opportunities with students. 4) Curriculum and program development, specialist training and evaluation program development of career guidance should b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in terms of finance and policies.
<표 Ⅰ- 1> 연구내용별 연구의 방법 3 <표 Ⅰ- 2> 설문조사의 대상자(직원, 교수 및 학생) 4 <표 Ⅰ- 3> 대상별 설문 조사 내용 6 <표 Ⅰ- 4> 설문 결과 분석 대상 7 <표 Ⅰ- 5> 설문지에 응답한 취업부서 직원의 특성 8 <표 Ⅰ- 6> 설문지에 응답한 학생들의 특성 9 <표 Ⅰ- 7> 대상별 면접 내용 및 시기 10 <표 Ⅱ- 1>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관련 주체들간 협조 실태 17 <표 Ⅱ- 2> 취업지도 담당부서의 업무 내용(D대학의 사례) 18 <표 Ⅱ- 3>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생들의 졸업 후 계획 비교 22 <표 Ⅱ- 5> 전문대학 학생들의 취업준비 경험 23 <표 Ⅱ- 4> 전문대학생들의 취업준비 방법 23 <표 Ⅱ- 6> 전문대학 학생들의 취업 관련 서비스 경험 여부 26 <표 Ⅱ- 7>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업시기별 특성과 진로개발 과제 30 <표 Ⅱ- 8> 4년제 대학 취업전산망의 주요 콘텐츠 33 <표 Ⅱ- 9> 전문대학과 타 기관과의 협조 실태 36 <표 Ⅱ-10> 청년층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운영상 어려움 38 <표 Ⅱ-11> 청년실업 대책의 주요 프로그램 39 <표 Ⅲ- 1> 취업까지의 타임 스케쥴(사노단기대학의 사례) 60 <표 Ⅲ- 2> 신입생을 위한 취업지원 강좌계획(치쿠시여자단기대학의 사례) 61 <표 Ⅲ- 3> 취업지도 연간스케줄(오사카학원 단기대학의 사례) 64 <표 Ⅲ- 4> 취업지도 프로그램의 내용(오사카학원 단기대학의 사례) 65 <표 Ⅲ- 5> 취업지도 연간스케쥴(아시아단기대학의 사례) 71 <표 Ⅲ- 6> 1학년 대상 취업지도 프로그램 계획(아시아단기대학의 사례) 72 <표 Ⅳ- 1>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부서 명칭 78 <표 Ⅳ- 2> 전문대학 취업지도 부서 조직 개편에 관한 의견 78 <표 Ⅳ- 3>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업무 담당 인력 79 <표 Ⅳ- 4> 전문대학 취업부서 인원수별 인력 부족에 대한 견해 79 <표 Ⅳ- 5> 취업지도 업무 담당 인력의 적정 추가 인원 수 80 <표 Ⅳ- 6> 전문대학 취업지도 부서의 예산에 대한 견해(직원) 80 <표 Ⅳ- 7>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업무의 시행 여부 및 중요도 82 <표 Ⅳ- 8> 취업지도 업무 담당 직원의 전문성에 대한 견해 84 <표 Ⅳ- 9> 취업지도 담당직원 전문성 향상 방안에 대한 견해 86 <표 Ⅳ-10> 전문대학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계획 87 <표 Ⅳ-11> 전문대학 졸업생의 취업경로에 대한 교수들의 견해 91 <표 Ⅳ-12> 졸업생의 취업분야-전공 일치도에 대한 교수의 인식 91 <표 Ⅳ-13>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내용 포함 여부 92 <표 Ⅳ-14> 전문대학 취업지도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93 <표 Ⅳ-15>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방법 실시 여부 95 <표 Ⅳ-16>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방법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95 <표 Ⅳ-17> 전문대학 취업전산망 운영 현황 97 <표 Ⅳ-18> 학생과 구인기업체의 대학 취업전산망 이용 98 <표 Ⅳ-19> 대학 취업전산망 운영상 문제 99 <표 Ⅳ-20> 전문대학의 취업 관련 과목 개설ㆍ운영 현황 99 <표 Ⅳ-21> 취업 관련 과목의 바람직한 운영 형태(직원) 101 <표 Ⅳ-22> 취업 강좌의 운영 형태에 대한 직원-학생간 비교 101 <표 Ⅳ-23> 전문대학 취업 관련 강좌 개설 운영의 어려움 102 <표 Ⅳ-24> 교수의 고유업무 중 취업지도가 차지하는 비중 102 <표 Ⅳ-25> 교수의 취업지도에 대한 직원-교수간 인식 차이 103 <표 Ⅳ-26> 전문대학 교수의 취업지도 운영 방식 104 <표 Ⅳ-27> 학과 교수와 취업부서의 역할 분담에 대한 견해 104 <표 Ⅳ-28> 교수의 취업지도 지원 사항 시행 여부 및 중요성 105 <표 Ⅳ-29> 전문대학 취업지도 강화를 위한 대학의 지원 방안 106 <표 Ⅳ-30> 취업지도를 위한 지역사회, 산업체와의 협력 정도 107 <표 Ⅳ-31> 취업지도 강화를 위한 정부ㆍ지역사회의 지원 방안 108 <표 Ⅴ- 1> 취업부서와 학과간 담당 역할 배분(예시) 118 <표 Ⅴ- 2> 학업시기별 취업지도 개입 방안 120 [그림 Ⅰ- 1] 설문지에 응답한 교수들의 전공계열 비율 8 [그림 Ⅱ- 1] 취업지도 기능 수행 전문대학 부서조직 현황 12 [그림 Ⅱ- 2] 학업시기별 취업교육 내용(M대학의 사례) 19 [그림 Ⅱ- 3] 전문대학 졸업후 2년 이내에 한 일 22 [그림 Ⅱ- 4] 전문대학생들의 취업 방법 24 [그림 Ⅱ- 5] 전문대학 졸업 실업자의 취업실패 사유 25 [그림 Ⅱ- 6] 전문대학 학생들의 취업 분야에서의 일 경험 26 [그림 Ⅱ- 7] 전문대학생들의 대학 취업지도 서비스에 대해 요구사항 27 [그림 Ⅱ- 8] 전문대학에서의 진로지도 영역 30 [그림 Ⅱ- 9] 전문대학에서의 진로지도 개념 32 [그림 Ⅳ- 1] 전문대학 취업지도 업무의 시행 정도 대비 중요도 인식 83 [그림 Ⅳ- 2]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업무의 중요도 대비 시행 정도 84 [그림 Ⅳ- 3] 전문대학 취업부서 직원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법 85 [그림 Ⅳ- 4] 전문대학생들의 취업준비 방법 88 [그림 Ⅳ- 5] 전문대학 학생들의 일 경험 유무 및 경험한 일의 유형 88 [그림 Ⅳ- 6] 전문대학 학생들의 취업지도 서비스 경험 여부 89 [그림 Ⅳ- 7] 전문대학 학생들의 취업지도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90 [그림 Ⅳ- 8] 학생-교수-직원간 전문대학 취업지도 내용의 중요도 인식차이 94 [그림 Ⅳ- 9] 학생-교수-직원간 전문대학 취업지도 방법의 중요도 인식차이 96 [그림 Ⅳ-10] 전문대학의 취업전산망 미운영 이유 97 [그림 Ⅳ-11] 학생-기업의 취업전산망 이용이 낮은 이유 98 [그림 Ⅳ-12] 전문대학과 지역사회, 산업체의 협력 장애요인 107 [그림 Ⅴ- 1] 현장체험 산업체에 대한 지원 135 [그림 Ⅴ- 2] 취업통계 확보의 내실화 13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전문대학 취업지도 강화 대책 연구 | 2003.06.01~2003.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