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 기피현상의 사회문화적 접근

Socio-Cultural Approach to the Phenomenon of Evading Vocational Education Phenomenon
저자
박태준 오성철 이상학 조혜영 김승연 박병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03-4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3.12.31
등록일
2003.12.31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
  제3절  연구의 범위 5
  제4절  연구의 틀 5
제2장  직업교육의 기피실태
  제1절  실업계고등학교 및 전문대학의 학생 현황 11
  제2절  실업계고등학교 입학생의 급격한 감소 13
  제3절  실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질적 수준 저하 16
  제4절  실업계고등학생의 취업률 감소 및 진학률 증가 18
제3장  기피현상에 대한 다양한 접근들
  제1절  교육학적 접근 23
    1. 지식기반사회에서 산업 및 직업구조의 변화 23
    2. 사회ㆍ문화적 환경의 변화 27
    3. 학력중심 사회의 형성과 교육열 30
    4. 시사점 36
  제2절 역사학적 접근 43
    1. 식민지 시기 중등 직업교육 44
    2. 해방 이후 중등 직업교육 63
    3. 소결 73
  제3절  경제학적 접근 74
    1. 직업교육 현황 74
    2. 직업교육 수요의 위축요인 78
    3. 소결 85
  제4절  사회학적 접근 85
    1. 위기의 원인과 이에 대한 접근 86
    2. 직업교육의 사회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 95
    3. 가정과 개인적 수준에서의 직업교육에 대한 기피: 자녀의 가치와 체면 109
    4. 소결 114
  제5절  문화인류학적 접근 115
    1. 문화인류학적 접근의 특성 116
    2. 실업계고등학교 졸업자 대학진학 담론 확산 및 진학 현실화 메카니즘 119
    3. 소결 139
제4장  한국문화의 특성과 직업교육
  제1절  최근의 사회현상 분석 141
    1. 반미촛불시위 142
    2. 2002년 한일 월드컵 경기 144
    3. 제 15대 대통령 선거 149
    4. 대형 안전사고 152
    5. 이혼율 증가 154
    6. 출산율 저하 160
    7. 청소년의 소비문화 163
  제2절  한국문화의 특성 171
    1. 관계 중심문화 - ‘우리’, ‘정’, ‘체면’, ‘눈치’ 기제들 171
    2. 자존심 177
    3. 화병(火病) 182
    4. 불안감 186
    5. 가족 중심주의 193
  제3절  소결 199
제5장  면담 분석
  제1절  면담 조사 개요 201
  제2절  면담 결과 분석 206
    1. 기피 실태 206
    2. 직업교육 실태 213
    3. 실업계고등학교에 대한 이미지 219
    4. 실업계고등학교 졸업생의 사회적 차별 223
    5.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 232
  제3절  소결 244
제6장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253
 ※ 본 자료는 Issue 보고서로 선정되어 2004년에 재발간된 보고서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교육을 기피하는 현상에 접근하는 데 있어서 직업교육기관의 기능 자체를 진단하는 것이 아니라 직업교육을 둘러싼 사회의 다양한 수준들(사회계급, 문화, 이데올로기, 경제 등)과 직업교육의 관계를 분석하여 기피현상의 원인과 조건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기피현상과 관련되 여러 연구에서 제시한 원인들을 정리하였고, 둘재, 기피현상과 관련된 몇 개의 학문 분야들의 입장을 통해 기피현상을 분석하여 원인들의 구조를 파악하였으며, 셋째,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분석들을 통해서 기피현상의 원인과 조건을 포착하였다.
<표 Ⅱ- 1> 학교 수 및 학생 수 현황 12
<표 Ⅱ- 2> 입학자 수 변동 추이 13
<표 Ⅱ- 3> 실업계고등학교 학생의 중도탈락률 14
<표 Ⅱ- 4> 시 도별 학업중단 학생 수 15
<표 Ⅱ- 5> 학생들의 교과서 내용 이해 정도 17
<표 Ⅱ- 6> 실업계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 현황 20
<표 Ⅱ- 7> 실업계고등학교 학생의 희망 진로 유형 21
<표 Ⅲ- 1> 산업별 GDP 기여도 변화 추이, 1962~1998년 24
<표 Ⅲ- 2> 산업별 취업자 변화, 1965~2002년 25
<표 Ⅲ- 3> 직종별 취업자 수 변화, 1995~2002 26
<표 Ⅲ- 4> 학교급별 학령인구 추계 29
<표 Ⅲ- 5> 교육열 관련 이론들의 분류 31
<표 Ⅲ- 6> 학력별 임금격차 34
<표 Ⅲ- 7> 식민지기 학교급별 한국인 취학자: 1912~1942년 46
<표 Ⅲ- 8> 중등학교 입학 경쟁: 1927~1939년 49
<표 Ⅲ- 9> 식민지기 공립 고등보통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27~1936년 50
<표 Ⅲ-10> 식민지기 사립 고등보통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27~1936년 51
<표 Ⅲ-11> 식민지기 공립 농업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27~1936년 51
<표 Ⅲ-12> 식민지기 공립 상업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27~1936년 52
<표 Ⅲ-13> 식민지기 사립 상업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27~1936년 52
<표 Ⅲ-14> 식민지기 공립 상공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29~1936년 53
<표 Ⅲ-15> 식민지기 공립 농업보습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27~1936년 53
<표 Ⅲ-16> 식민지기 공립 상업보습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27~1936년 54
<표 Ⅲ-17> 식민지기 공립 공업보습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27~1936년 54
<표 Ⅲ-18> 식민지기 관립 전문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27~1936년 56
<표 Ⅲ-19> 식민지기 사립 전문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27~1936년 56
<표 Ⅲ-20> 식민지기 사범학교 고등보통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31, 1932년 58
<표 Ⅲ-21> 식민지기 실업학교 입학 졸업 상황: 1931, 1932년 60
<표 Ⅲ-22> 해방 이후 각급 학교 학생 수: 1945~2000년 64
<표 Ⅲ-23> 해방 이후 각급 학교 취학률: 1960~2000년 65
<표 Ⅲ-24> 고등학교, 일반계, 실업계 구성비: 1954~2000년 67
<표 Ⅲ-25> 일반계고등학교 졸업 후 진로: 1966~2000년 69
<표 Ⅲ-26> 일반계고등학교 졸업 후 진학 경향: 1966~2000년 70
<표 Ⅲ-27> 실업계고등학교 졸업 후 진로: 1966~2000년 70
<표 Ⅲ-28> 실업계고등학교 졸업 후 진학 경향: 1966~2000년 71
<표 Ⅲ-29> 실업계고등학교 전공별 진로: 1966~2000년 72
<표 Ⅲ-30> 인적자원의 국제경쟁력 순위(2002년) 75
<표 Ⅲ-31> 고등 교육기관 졸업자 수 및 증가율 추이 77
<표 Ⅲ-32> 고등학교 입학자 및 졸업자 증가율 78
<표 Ⅲ-33>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학률 및 취업률 78
<표 Ⅲ-34> 교육투자수익률 비교: 임금근로자 82
<표 Ⅲ-35> 산업별 고용비중의 변화(1983~2000년) 83
<표 Ⅲ-36> 산업별 취업자중 대졸자 비중의 변화(1983~2000년) 83
<표 Ⅲ-37> 직업별/학력별 임금격차의 변화 84
<표 Ⅲ-38> 1975년, 2001년의 학력에 따른 월 평균 수입 105
<표 Ⅲ-39> B디자인고등학교의 진학률 122
<표 Ⅲ-40> D전자공예고등학교의 진학률 123
<표 Ⅲ-41> D원예고등학교의 진학률 123
<표 Ⅲ-42> B컴퓨터과학고등학교의 진학률 124
<표 Ⅳ- 1> 월드컵 응원에 참여한 주된 이유 146
<표 Ⅳ- 2> 혼인 수 및 이혼 수 155
<표 Ⅳ- 3> 동거기간별 이혼 수 156
<표 Ⅳ- 4> 이혼사유별 이혼 수 및 구성비 156
<표 Ⅳ- 5> 조출생률 160
<표 Ⅳ- 6> 기대자녀 수 161
<표 Ⅳ- 7> 2002년 여성취업 장애요인 162
<표 Ⅳ- 8> 가정형편에 따른 IMF 전후 용돈 변화 164
<표 Ⅳ- 9> 청소년들의 용돈 지출내역 164
<표 Ⅳ-10> 호출기 소유 및 이용 실태 165
<표 Ⅳ-11> 카드 소유여부 및 소유한 카드 종류 165
<표 Ⅳ-12> 청소년들이 생각하는 주변 친구들의 과소비 품목 166
<표 Ⅳ-13> 청소년들의 소비성향 특성 166
<표 Ⅳ-14> 중요한 생활 관심사 189
<표 Ⅳ-15> 실업자 및 실업률 190
<표 Ⅳ-16> 연령계층별 취업자 191
<표 Ⅴ- 1> 1차 면담내용 203
<표 Ⅴ- 2> 수정된 학생 면담 내용(실업계고등학생을 중심으로) 204
<표 Ⅴ- 3> 종합 면담 내용 205
[그림 Ⅰ-1] 직업교육 기피현상에 관여하는 제영역(문화, 경제, 역사, 사회, 교육) 6
[그림 Ⅰ-2] 연구의 틀 9
[그림 Ⅱ-1] 각 학교별 입학자 수 변동 추이 14
[그림 Ⅱ-2] 실업계고등학교 졸업생의 취업률과 진학률 19
[그림 Ⅲ-1] 교육전쟁론의 기본 골격 33
[그림 Ⅲ-2] 식민지기 학교급별 한국인 취학자 규모 47
[그림 Ⅲ-3] 해방 이후 각급 학교 취학자 64
[그림 Ⅲ-4] 실업계고등학생의 대학진학을 위한 인터넷 카페 130
[그림 Ⅳ-1] 한국인과 캐나다인의 ‘우리’ 개념 비교 197
[그림 Ⅴ-1] 직업교육 기피현상의 배경 202
[그림 Ⅵ-1] 직업교육 기피현상의 원인들의 구조와 작동조건 25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 기피현상의 사회문화적 접근 2003.01.01~200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