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2003)

Job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Curriculum
저자
주인중 박종성 변숙영
분류정보
기본사업(2003-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3.12.31
등록일
2003.12.31
Ⅰ. 서론 1
   1. 사업 필요성 및 목적 1
   2. 사업의 내용 2
   3. 사업의 추진 방법 3
Ⅱ. 직무분석에 대한 선행 내용 분석 9
   1. 직무분석 방법에 대한 선행 내용 분석 9
   2. 시사점 15
Ⅲ.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모형 19
   1. 직무분석 절차 및 방법의 개요 19
   2. 직무분석의 단계별 추진 내용 21
   3. 추진 단계별 내용의 구성 28
Ⅳ. 직무분석 대상 직업의 선정 33
   1.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 배경 33
   2.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 방법 39
Ⅴ. 직업별 직무분석 결과 요약 45
   1. 건설환경관리사 45
   2. 대기환경관리사 48
   3. 산업위생관리사 52
   4. 소음·진동관리사 57
   5. 자원재활용관리사 61
   6. 폐기물처리사 64
   7. 환경설비사 69
   8. 환경에너지관리사 72
   9. 환경GIS기술자 75
  10. 토양환경관리사 80
Ⅵ. 사업 결과 요약 및 활용 방안 85
   1. 사업 결과 요약 85
   2. 활용 방안 87
   3. 제언 88
참고 문헌 91
ABSTRACT 95
부록 101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 산업 분야 직업 중에서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 개발을 위해 선행으로 요구되는 10개 직업을 선정하고,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이들에 대한 교육 과정, 훈련 기준, 자격 검정의 출제 기준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작·보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Our Institute carried out a job analysis research project from 1998 to 2002 and developed a guidebook for job analysis. We analyzed 65 kinds of vocations and distributed the results to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rganizations.
  Thus, this project, as a continuation of "Job Analysis for developing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 executed from 1998, is aimed at complementing a guidebook for job analysis developed in 2002 to improve its usage in the areas of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and at making and distributing basic data to develop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 vocational training, and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in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10 kinds of vocations through job analysis, which were precedently selected, for the purpose, out of environment industry-related vocations drawn from  carried out together with this project by our Institute this year. The project contents and results suggested through this project are as following.
2. Project Contents
  The contents of this project are first, to analyze what have precedently been done for job analysis, second, to complement a guidebook for job analysis, third, to select vocations for which job analysis will be made, and fourth, to carry out job analysis for developing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and to distribute comprehensive data made on a basis of the results.
  Project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project are an analysis on literatures and data related to job analysis, questionnaire surveys and interviews at home and abroad for figuring out status on the usage of job analysis data developed in 2002, experts councils for complementing job analysis, selecting target vocations and conducting job analysis by the vocations, and job analysis applying DACUM method.
  In the first place, this report presents job analysis models by procedures for developing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first step is  preparation for job analysis(data research, interviews and selection of experts), the second step the establishment of job models(first expert council and site study), the third step the drawn-out of knowledge, skills, and tools(the second expert council and site study), the fourth step the selection of courses and subjects(the third expert council), the fifth step the specific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s(the fourth expert council), and the sixth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the fifth expert council and the third site study). In this project, job analysis for 10 vocation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se procedures.
...
<표 Ⅱ-1> 각 기관별 직무분석의 절차, 방법 및 개발 내용 비교 12
<표 Ⅱ-2> 국내 기관별 직무분석에 의해 개발된 내용의 구성 13
<표 Ⅱ-3> 국외 기관별 직무분석에 의해 개발된 결과의 구성 14
<표 Ⅱ-4> 직무분석의 절차 18
<표 Ⅲ-1> 추진 단계별 내용 구성 요소 30
<표 Ⅳ-1> 환경 산업 분류 34
<표 Ⅳ-2> OECD에서 제시한 환경 산업 범위 35
<표 Ⅳ-3> 환경 인력의 수요 추정 37
<표 Ⅳ-4> 환경 산업 분야의 유망 직업 33종 40
<표 Ⅳ-5>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대상 10개 직업  44
[그림 Ⅰ-1] 직무분석 사업 추진 흐름도 4
[그림 Ⅱ-1]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직무분석 자료의 활용도 16
[그림 Ⅲ-1]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절차 및 방법 20
[그림 Ⅲ-2] 직무분석과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과의 관계 27
[그림 Ⅳ-1] 직무분석 대상 직업 선정 과정 3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2003) 2003.01.01~200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