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2003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dicators in Korea 2003
저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분류정보
기본사업(2003-06-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3.12.31
등록일
2003.12.31
머 리 말 Ⅰ
일러두기 Ⅲ
Ⅰ. 인적자원의 축적 The Stock of Human Resources 9
 Ⅰ-1.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 Total Population & Growth Rate 11
 Ⅰ-2. 생산가능 인구 및 구성비 Population in Working Ages & Distribution 12
 Ⅰ-3.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Dependency Ratios and Index of Aging 13
 Ⅰ-4. 수도권 인구수 및 인구비율 Population of Capital Area & Ratio 14
 Ⅰ-5. 학령인구수 Distribution of Schooling Age Population 15
 Ⅰ-6. 성ㆍ연령별 국민 평균교육년수 Average Years of Schooling by Sex and Age 16
 Ⅰ-7. 국민의 학력구성비(25세이상) Composition of Popul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25 Years Old & Over) 17
 Ⅰ-8. 고등교육기관별 학생수 Number of Students by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18
 Ⅰ-9. 인구 10만명당 고등교육기관 여학생수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Enrolled in High Educational Institutions, per 100,000 people 19
 Ⅰ-10. 교육수준별 경제활동인구 분포 Distribution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Educational Attainment 20
 Ⅰ-11. 계열별 학위(석사, 박사) 취득자 수 Number of Persons Granted with Masters Degrees & Doctorates 21
 Ⅰ-12. 국가기술자격 검정 현황(2002) National Skill Qualification, 2002 23
 Ⅰ-13. 외국인 근로자수 Number of Foreign Workers 24
 Ⅰ-14. 의료인력 1인당 인구수 Number of Population Per each Medical Personnel 25
 Ⅰ-15. 연령계층별 학생의 신장, 체중 및 신체중량지수 Average Height, Weight & Body Mass Index of Students by Age  26
 Ⅰ-16. 연령계층별 대학이상 고등교육이수자 비율(2001)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that has attained at least upper secondary education, by age group 28
 Ⅰ-17. 주요국의 25~64세 경제활동인구의 학력별, 성별 분포(2001) Labour force participation rates by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 and gender for 25 to 64-year-olds. 29
 Ⅰ-18. 외국인 노동력 및 고급기술인력 Foreign Labor Force & Foreign High-Skilled People 31
 Ⅰ-19.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 참가율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 Participation Rate 32
Ⅱ. 인적자원의 개발(과정)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33
 Ⅱ-1.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입학자수 Number of Vocational School Entrants by Education Level 35
 Ⅱ-2. 계열별 실업계고 입학자수 Vocational High School Entrants by Field of Study 36
 Ⅱ-3. 전문대 계열별 입학자수 Junior College Entrants by Field of Study 37
 Ⅱ-4. 교육기회의 미충족 및 이유 Levels of Dissatisfaction with Education Attainment & Reasons for Dissatisfaction 38
 Ⅱ-5. 직업교육기관별 교원1인당 학생수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by Education Level 39
 Ⅱ-6. 실업계고 학교유형별 교원 1인당 학생수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in Vocational High Schools by School Type 40
 Ⅱ-7. 일반계고 대 실업계고 학생비율 Ratio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o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41
 Ⅱ-8.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학생수 Number of Vocational School Students by Education Level 42
 Ⅱ-9.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수 Number of Voc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by Education Level 43
 Ⅱ-10. 실업계고 학교유형별 학교수 Number of Vocational High Schools by School Type 44 
 Ⅱ-11. 실업계고 학교유형별 교실당 학생수 Number of Students per Classroom in Vocational High Schools by School Type 45
 Ⅱ-12. 전문대 및 산업대 학생 1인당 강의실 면적 Classroom Area per Student at Junior Colleges & Industrial Universities 47
 Ⅱ-13. 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 GDP vs Public Educational Expenditures Ratio 48
 Ⅱ-14. 기능대 및 직업전문학교 훈련생 1인당 연간 훈련비 및 실습비 Annual Training and Practice Cost per Student in Polytechnic Colleges &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49
 Ⅱ-15. 가구당 교육비 지출률 Percentage of Expenditure on Education per Household 50
 Ⅱ-16. 분야별 사설학원 수강자수 Graduates from Private Institutes by Field 51
 Ⅱ-17. 교육수준별 취업자 수 Employed Persons by Educational Attainment 52
 Ⅱ-18. 입사이후 직무관련 훈련 참여율 및 평균일수(2001) Participation Rate & Average Days on the Job Training, 2001 53
 Ⅱ-19. GDP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율 Ratio of Research & Development Expenditures to GDP 54
 Ⅱ-20. 기업의 교육훈련비용 추이(상용근로자 30인 이상) Investment in Employee Training of Cooperates(Comanies with 30 regular employees or more) 55
 Ⅱ-21. 기업규모별 교육훈련비(상용근로자 10인 이상):2002년 Employee Training Cost by Size of companies(Companies with 10 employees or more), 2002 56
 Ⅱ-22. 직업훈련기관 유형별 기능사양성실적 Number of Vocational Trainees by Type of Institutions 57
 Ⅱ-23. 실업계고 학생의 중도탈락률 Discontinuation Ratio of Study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58
 Ⅱ-24. 기능정도별 직업훈련 인원수 Number of Vocational Trainees by Skill Level 59
 Ⅱ-25. 직업교육 실시 일반계 고교학생수 및 비율 Ratio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by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60
 Ⅱ-26. 직업훈련실적 Outcomes of Vocational Training 61
 Ⅱ-27. 학교정보화 School Informatization 62
 Ⅱ-28. 컴퓨터 사용능력(2003) Ability of Using PC, 2003 63
 Ⅱ-29. 교육의 경쟁사회의 요구 부합정도 The Degree of meeting the needs of a competitive Economy 64
 Ⅱ-30. 인터넷 사용자수(2001) 및 보안 서버수(2000) Internet Users(2001) & Secure Servers(2000) 65
 Ⅱ-31. PC보급대수 및 인터넷 호스트수(2002) PC Supply & Number of Internet Host, 2002 66
Ⅲ. 인적자원의 이행 The Transition of Human Resources 67
 Ⅲ-1. 국공립 및 민간 직업안정기관수 Number of Employment Security Offices 69
 Ⅲ-2. 직업안정기관의 취업알선 실적 Job Placement by Type of Employment Security Offices 70
 Ⅲ-3. 성별, 학력별 직업선택요인 Reasons for Job Selection by Sex & Educational Attainment 71
 Ⅲ-4. 전문대 학생의 이동상황 Annual Mobility of Junior College Students 72
 Ⅲ-5.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의 진학률 Advancement Rate of Vocational School Graduates to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74
 Ⅲ-6.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수 Number of Graduates by Vocational Education Level 75
 Ⅲ-7. 실업계고 졸업자의 진학률 Advancement Rat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o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76
 Ⅲ-8. 전문대 졸업자의 진학률 Advancement Rate of Junior College Graduates to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77
 Ⅲ-9. 산업대 졸업자의 진학률 Advancement Rate of Industrial University Graduates to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78
 Ⅲ-10. 교육단계별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by Vocational Education Level 79
 Ⅲ-11. 직업교육기관 졸업자의 전공분야 취업률 Employment Rates of Vocational School Graduates 80
 Ⅲ-12. 기능대 및 직업전문학교 졸업생의 취업률 Employment Rates of Polytechnic College & V.T.I. Graduates 81
 Ⅲ-13. 계열별 실업계고 학생의 국가기술자격 취득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quired b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82
 Ⅲ-14. 전문대 학생의 국가기술자격 취득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quir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83
 Ⅲ-15. 기능자격증 소지자수 Technical Certificate Holders84
 Ⅲ-16. 산업별 이직률 Employment Separation Rate85
 Ⅲ-17. 취업알선률 및 구인배율 Job Opening & Placement Rate86
Ⅳ. 인적자원의 활용 Th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87
 Ⅳ-1. 경제활동인구 및 참가율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89
 Ⅳ-2-1. 연령계층별, 성별 경제활동 참가율(남)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by Age & Sex(Male) 90
 Ⅳ-2-2. 연령계층별, 성별 경제활동 참가율(여)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by Age & Sex(Female) 91
 Ⅳ-3-1.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의 구성(남) Not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Activity Type(Male)92
 Ⅳ-3-2.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의 구성(여) Not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Activity Type(Female) 93
 Ⅳ-4. 직업별 취업자의 구성비 Distribution of the Employed by Occupation 94
 Ⅳ-5.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구성비(전산업) Distribution of the Employed by Worker Status(Whole Industry) 95
 Ⅳ-6. 생산가능인구(15~64세) 대비 연구원 비율 R&D Personel as a percentage of 15~64 years population 96
 Ⅳ-7. 사업체 규모별 인력부족률 Shortage Ratio by Establishment Size 97
 Ⅳ-8. 성별, 산업별 고령취업자(55세 이상) 비율 Percentage of Employed Persons Aged 55 & over by Sex & Industry 98
 Ⅳ-9. 산업별 일자리 창출과 소멸(전년대비) Employment Creation and Extinction by Industry 99
 Ⅳ-10. 연령계층별 실업자수 및 구성비 The Number & Distribution of the Unemployed by Age100
 Ⅳ-11. 여성취업자의 취업사유 Reasons for Employment of Females 102
 Ⅳ-12. 여성취업에 관한 태도(견해) Attitudes toward Female Employment 103
 Ⅳ-13. 여성 전문ㆍ관리직 종사자 비율 Percentage of Professional Workers among Females Employed 104
 Ⅳ-14. 정부부분의 여성인력 비중 Total Government Employees & Percentage of Female Senior Government Officials 105
 Ⅳ-15. 성별, 산업별 주당 평균근로시간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by Sex and Industry 106
 Ⅳ-16. 산업별 월평균 근로일수 Average Working Days per Month by Industry 108
 Ⅳ-17. 산업별 월평균임금수준 및 임금격차 Monthly Wages by Industry & Wage Differences 110
 Ⅳ-18. 직종별 월평균임금수준 및 임금격차 Monthly Wages by Occupation & Wage Differences 112
 Ⅳ-19. 학력별 임금격차 Wage Differences by Educational Attainment 114
 Ⅳ-20. 사업체규모별 임금 Wages by Establishment Size 115
 Ⅳ-21.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 추이 Change of Labour Cost per Regular Employee 116
 Ⅳ-22-1. 근로여건에 대한 만족도 1 Levels of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1 117
 Ⅳ-22-2. 근로여건에 대한 만족도 2 Levels of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2 119
 Ⅳ-23. 성차별에 대한 인식(2002) Percep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2002 121
 Ⅳ-24. 노동시장ㆍ기술적 효용(2003) Labor MarketㆍAvailability of Skills, 2003 122
 Ⅳ-25. 여성의 정치 참여(2001)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2001 123
Ⅴ. 인적자원 활용의 결과 The Result of Human Resources Utilization 125
 Ⅴ-1. 지적재산권의 등록건수 Grants of Industrial Property 127
 Ⅴ-2. 노동소득분배율 Ration of Compensation of Employees to NI 128
 Ⅴ-3.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입 추이(전년대비 증가율) Trend of Monthly Income of Urban Wage Earner’s Households 129
 Ⅴ-4. 소득 10분위별 분포 및 소득집중도(도시 근로자 가구) Distribution of Income Decile & Index of Concentration(Urban Wage Earner’s Households) 130
 Ⅴ-5. 노동생산성 지수 Labor Productivity Indexes 131
 Ⅴ-6. 생산구조 Production Structrue 132
 Ⅴ-7. 사회적 이동 가능성에 대한 태도 Attitudes toward Social Mobility 134
 Ⅴ-8. 독서인구비율 Percentage of People Who Read Books 135
 Ⅴ-9. 인구만명당 좌석수 및 장서수 Number of Seats and Volumes per 10,000 persons137
 Ⅴ-10. 인터넷 이용자수 및 인구 1,000명당 PC수/인터넷 도메인수 Number of Internet User & PC/Domain per 1,000 Persons 138
 Ⅴ-11. 1인당 국내총생산(당해년가격) GDP per Capita 139
 Ⅴ-12. 국가별 남녀평등, 여성권한, 평등기회 지수 GDI, GEM, Equal Opportunity Index 140
 Ⅴ-13. 국가정보화 지수 National Informatization Index 141
 Ⅴ-14-1. 부문별 국가경쟁력 순위 1 World Competitiveness Rank 1 142
 Ⅴ-14-2. 부문별 국가경쟁력 순위 2 World Competitiveness Rank 2 144
 Ⅴ-15. 산업생산 지수 Industrial Production Index 146
 Ⅴ-16. 과학환경지수(2003) Scientific Environment Index, 2003 147
 Ⅴ-17. 기술관리 지수(2003) Technology Management Index, 2003 148
 Ⅴ-18. 지적재산권(2000) Intellectual Property, 2000 149
 Ⅴ-19. 인간개발지수(2001) Human Development Index, 2001 150
 Ⅴ-20. 첨단기술수출(2001) High-Tech Exports, 2001151
Ⅵ. 인적자원의 유출과 상실 The Outflow and Loss of Human Resources 153
 Ⅵ-1. 인구천명당 해외이민자수 Number of Emigration Permission per 1,000 Population 155
 Ⅵ-2. 사망자수 및 사망률 The Number of Deaths and Mortality Rate 156
 Ⅵ-3. 사인별 사망자수 및 구성비 The Death Toll & Composition by Cause of Death 157
 Ⅵ-4. 주요 성인질환 유병률 Morbidity Rates on Adult Diseases 158
 Ⅵ-5. 직업병 유병근로자비율 Rates of Health Examination & Occupational Disease 159
 Ⅵ-6. 산업재해 발생률ㆍ강도율ㆍ사망만인률 Rates of Frequency, Severity & Death in Industrial Accidents 160
 Ⅵ-7. 교통사고로 인한 인적자원의 손실 Traffic Accidents & Death by Means of Transport 161
 Ⅵ-8. 경제활동인구대비 범죄자비율 Rate of Offenders to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162
 Ⅵ-9. 주요범죄자수(소년범죄자 비율) Number of Major Criminal Offenders (Percentage of Juvenile Offenders)163
  지식기반사회로 이행하면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적자원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도 크게 증가하였다. 정부의 정책에 있어서도 인적자원과 관련된 정책의 중요성이 점증하는 추세에 있다.
  인적자원개발지표는 인적자원개발정책의 수립 및 추진에 있어서 정책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로써 정책 담당자에게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의 경제 수준이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국가적 관심에 비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통계정보나 지표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본 원에서는 이러한 인적자원과 관련한 정책수립 및 관련 연구의 토대가 될 지표 생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98년『직업교육훈련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시작으로 1998년부터 2001년까지『한국의 직업교육훈련지표』를 발간하였다. 2001년에는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지표집 발간을 위해 지표 체계 구성과 개별지표를 선정하는 기초 연구인『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를 수행하였다. 이후『한국의 인적자원개발지표 2002』는 기존 직업교육훈련지표와의 연계성을 중시하여 작성하였다. 특히 본 자료는 지표의 연속성뿐만 아니라 거시적인 인적자원개발지표들을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적자원 종합정보 DB 구축사업(Ⅱ) 2003.01.01~200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