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제직업능력개발 캠퍼스 방향과 체제연구

A Study on Direction and System of Global Competency Campus
저자
정지선 김신영 김용련 유성상
분류정보
기본사업(2012-11-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2.31
등록일
2013.03.18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고등교육 개혁글로벌 인재양성해외사례·동향
요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제2절 연구 내용6
 제3절 연구 방법7
 제4절 연구의 제한점11
 제5절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12
제2장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고등교육개혁_15
 제1절 고등교육의 목적과 환경의 변화17
 제2절 고등교육 국제화와 글로벌 인재론20
 제3절 국가 인력수급 전망과 고등교육개혁28
 제4절 한국 고등교육 취업현황38
제3장 한국 대학의 국제직업능력개발_47
 제1절 한국외국어대학교50
 제2절 연세대학교62
 제3절 한양대학교72
 제4절 부경대학교89
 제5절 한동대학교103
 제6절 신라대학교117
 제7절 한국 대학사례의 시사점135
제4장 외국 대학의 국제직업능력개발_139
 제1절 일본 고베대학교의 글로벌 인재지원정책141
 제2절 싱가폴 난양기술대학교의 글로벌 인재지원정책161
 제3절 유럽연합의 볼로냐 프로세스와 글로벌 인재지원정책 176
 제4절 외국 대학사례의 시사점201
제5장 국제직업능력개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_205
 제1절 국제직업능력개발의 문제점207 
 제2절 국제직업능력개발의 정책 제언 및 결론213 
참고문헌_22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졸업자의 해외취업 활성화를 위한 대학교육 지원체계 확립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직업능력개발 캠퍼스의 방향과 체제구축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고등교육 개혁의 방향, 국내 대학의 국제직업능력개발 실태, 외국의 국제직업능력 개발 사례, 해외취업 역량 강화 및 국제직업능력개발 캠퍼스 구축을 위한 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한다.
<표 2-1> 고등교육 국제화에 대한 논의들	20
<표 2-2> 국제화의 개념과 요소 (정기오, 2006)	21
<표 2-3> 국가 인적자원개발 패러다임의 전환	29
<표 2-4> 국가별 전공자들의 기술 및 지식의 활용	32
<표 2-5>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추이	39
<표 2-6> 2011년 계열별 취업 현황	43
<표 2-7> 2011년 성별 취업 현황	44
<표 3-1> 한국외국어대학교 해외취업자 현황	52
<표 3-2>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과정	53
<표 3-3>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교류프로그램	54
<표 3-4> 한국외국어대학교 경력개발센터 업무	59
<표 3-5>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과목	60
<표 3-6> 연세대학교 교과과정	65
<표 3-7> 연세대학교 졸업인증요건	66
<표 3-8> 연세대학교 글로벌 역량 강화 관련 교과목	68
<표 3-9> 한양대 글로벌 인재양성 및 해외취업에 관련한 교육사업 내용	74
<표 3-10> 한양대 교과과정	75
<표 3-11> 한양대 국제교육프로그램	77
<표 3-12> 한양대 글로벌 역량강화를 위한 교양교과목	78
<표 3-13> 한양대 잡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83
<표 3-14> 한양대 취업교과목	83
<표 3-15> 한양대 해외인턴 프로그램	86
<표 3-16> 한양대학교 HELP 프로그램	87
<표 3-17> 부경대학교 교과과정 구성	93
<표 3-18> 부경대학교 졸업인증제	94
<표 3-19> 학점 인정 국제화 프로그램	95
<표 3-20> 부경대학교 글로벌 인재양성 관련 교양교과	97
<표 3-21> 비정규 국제화 프로그램	98
<표 3-22> 종합인력개발원의 업무내용	101
<표 3-23> 한동대 해외취업자 현황	106
<표 3-24> 한동대 교육과정	107
<표 3-25> 한동대 복수 전공이상 전공 정의	108
<표 3-26> 한동대 국제교류프로그램	109
<표 3-27> 한동대 교양교육 이수 원칙	111
<표 3-28> 한동대 해외취업 역량과 관련된 교양교과목	111
<표 3-29> 한동대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114
<표 3-30> 한동대 GEM 프로젝트	115
<표 3-31> 신라대학교 교육과정 구성	122
<표 3-32> 신라대학교 졸업요건	124
<표 3-33> 신라대학교의 해외 학생교류	124
<표 3-34> 외국대학과의 학생교류 현황(2010)	125
<표 3-35> 신라 핵심역량 강화 프로그램(Silla Power-Up Program)	126
<표 3-36> 신라 글로벌 리더십․인성 강화 프로그램(Silla Global Servant Program)	127
<표 3-37> 글로벌 역량 강화 프로그램	129
<표 3-38> 자기주도적 글로벌 학습역량 강화	130
<표 3-39> 21세기 신라 장보고 양성 프로그램	131
<표 3-40>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의 주된 업무	134
<표 4-1> 고베대학 학생 인원 수 개요	142
<표 4-2> 고베대학 취업 및 진학 현황	143
<표 4-3> 고베대학의 과별 졸업학점	146
<표 4-4> 고베대학의 과별 커리어 교양과목 중 국제화 관련과목(2011년도)	149
<표 4-5> 공동학위과정 협정대학	150
<표 4-6> 고베대학 학술교류협정을 맺은 대학 및 기관	151
<표 4-7> 해외유학 현황(2011년)	152
<표 4-8> 2012년도 커리어센터 주최행사 리스트	156
<표 4-9> GEM 발견자 프로그램 내용	165
<표 4-10> GEM 발견자 프로그램 현황	166
[그림 2-1] 인구구조 변동 전망	31
[그림 2-2] OECD 회원국내 국가간 학생 이동(2005)	37
[그림 2-3]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	40
[그림 3-1] 신라대학교 글로벌 인재 양성 계획	119
[그림 3-2] 신라대학교 해외취업 추진 조직도	133
[그림 4-1] 고베대학의 계열별 진학률 및 취업률	145
[그림 4-2] 일본인의 해외유학생 연도별 추이	160
[그림 4-3] 일본인의 해위취업관심도	160
[그림 4-4] 커리어 허브 웹사이트	171
[그림 4-5] 볼로냐 프로세스 연혁 및 활동개요	180
[그림 4-6] 볼로냐 프로세스 통합학위제 실행 체계	184
[그림 4-7] 광역 직업그룹 별 순고용 변동	191
[그림 4-8] 직업과 자격에 따른 순고용 변동	192
[그림 4-9] 학위이동의 유입과 유출 간 균형	194
[그림 4-10] 전체 등록 학생 수 대비 비유럽권 출신 국제학생의 국별 비율	195
[그림 4-11] 유럽권 밖으로 나가는 학생 숫자와 비중	19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국제기구 인재개발 협력사업(2012) 2012.01.01~201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