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창업동아리를 통한 지식창업 촉진 방안
A Study on Acceleration of Knowledge Start-ups through University Entrepreneurship Societies
- 저자
- 박동 김수진 이종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3-3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3.07.31
- 등록일
- 2013.09.24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7 제2장 청년 창업동아리 관련 이론적 논의 11 제1절 창업 및 창조성 관련 선행연구 흐름 13 제2절 집합적 창조성과 창업동아리 17 제3절 국내의 창업동아리 실태 및 청년 지식창업 26 제3장 정부의 대학 창업동아리 지원 현황과 문제점 35 제1절 정부의 청년 창업동아리 지원 정책 현황 39 제2절 정부의 창업동아리 지원 정책의 문제점 55 제4장 대학 창업동아리 실태 분석 59 제1절 조사 개요 61 제2절 청년 창업동아리 실태 조사 결과 66 제3절 청년창업 계획의 결정요인 분석과 시사점 84 제5장 국내외 창업동아리 우수사례 분석 97 제1절 미국의 대학 창업동아리 사례 99 제2절 핀란드 알토대학 창업동아리 사례 112 제3절 국내 대학 창업동아리 사례 123 제4절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분석 139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45 제1절 정부 차원의 정책과제 148 제2절 대학 차원의 정책과제 158 SUMMARY 163 참고문헌 167 부록 175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창업동아리 실태에 대한 분석 및 국내외 우수사례 발굴 등을 통해 학생 창업동아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이러한 학생들의 동아리 활동이 지식창업으로 연계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교육부, 중소기업청 등을 중심으로 대학 창업동아리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지만 학생 창업동아리 활동을 위한 전용공간 제공은 물론 창업동아리 조직 활동 전반에 대한 체계적 지원 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에 따라 여기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여하히 조기에 해소해 나갈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대안들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대학 창업동아리를 중심으로 지식창업을 위한 컨설팅 및 멘토링 강화 방안을 위한 구체적 대안을 찾아보도록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promote knowledge start-ups through student-led entrepreneurship societi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government policies for university entrepreneurship societies,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student-led entrepreneurship organizations and the excellent domestic and foreign cases. First, we reviewed the theoretical discussions related to the youth start-ups and the entrepreneurship societies. This study bases on the assumption that youth start-ups don’t depend on a small number of genius. That’s why we focused on the student-led organizations where students can engage in a collective creativity. Second, we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government’s policies for student-led entrepreneurship societies. The government’s policies for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societies were analyzed for each ministry, and their problems were assessed. Third, we conducted a survey related to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societies. The 900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questionnaire focused on the prospects of youth employment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youth start-ups, youth entrepreneurship societies,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the youth entrepreneurship societies, and mentoring systems for youth start-ups. Finally,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at could play a role model for the invigoration of the youth entrepreneurship societies were analyzed. By studying the actual woking mechanisms of the youth entrepreneurship societies in Stanford university, MIT university, US and Aaalto university in Finland, and Hoseo University in Korea, the implications for the activation of Korean university entrepreneurship societies were derived.
<표 2-1> 집합적 창조성과 관련된 국외 연구 현황 17 <표 2-2> 학교유형별 창업동아리 전문분야 현황 26 <표 3-1> 정부의 청년 창업동아리 지원 사업 운영 현황 38 <표 3-2> 창업선도대학 지원 프로그램 39 <표 3-3> 성장 단계별 지원 사업 예시(입소형 창업 지원 대학-연세대) 41 <표 3-4> 대학생 창업아카데미 연도별 지원 성과(2010~2012) 42 <표 3-5> 실전창업리그 지원 내용 43 <표 3-6> LINC 사업 유형별 지원 내용 45 <표 3-7> 네트워킹 파티형 멘토링 지원 진행순서 48 <표 3-8> 벤처1세대 멘토링 프로그램 49 <표 3-9> 전국 대학(원)생 기술사업화 경진대화 참가 부문 51 <표 3-10> 청년창업 1000프로젝트 모집 분야 52 <표 4-1> 설문조사 설계 개요 62 <표 4-2> 설문조사 세부 내용 62 <표 4-3> 응답자 표본의 특성 64 <표 4-4> 전공 분야로의 취업의 가능성 정도 67 <표 4-5> 창업관심 대학생의 향후 창업 계획 여부 71 <표 4-6> 창업관심 대학생의 창업 아이템 보유 여부 72 <표 4-7> 대학생의 청년창업 관심 분야 73 <표 4-8> 창업관심 대학생의 창업동아리 활동 경험 여부 74 <표 4-9> 창업관심 대학생의 창업동아리 경진대회 참여 경험 여부 76 <표 4-10>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84 <표 4-11> 청년창업 계획 여부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91 <표 5-1> 스탠포드 경영대학의 학생 창업동아리 조직 102 <표 5-2> MIT 대학의 주요 창업동아리 모임 105 <표 5-3> MIT 슬로안 경영대학의 창업 관련 동아리 모임 107 <표 5-4> 호서대학교의 벤처산업공학 전공 개설 교과목 125 <표 5-5> 대안적 캡스톤디자인 모델 운영 126 <표 5-6> 호서대학교 창업동아리 현황(2013년 6월 기준) 130 <표 6-1> 우리나라 엔젤투자 현황(2000~2011년) 156 [그림 2-1] 창업동아리 조직을 통한 청년창업 활성화 23 [그림 2-2] 집합적 창조성을 위한 학생 창업동아리 지원 체계 32 [그림 3-1] 창업동아리 운영 체계(예시) 40 [그림 3-2] 산학연계 동아리 지원 사업 운영 체계 예시(전북대) 46 [그림 4-1] 졸업 후 진로 설정 68 [그림 4-2] 청년 창업에 관심을 가진 이유 69 [그림 4-3] 창업동아리 활동 참여의 적극성 정도 75 [그림 4-4] 창업동아리의 적정 참여 인원 78 [그림 4-5] 대학 내에 창업동아리 활동을 위한 전용공간 유무 여부 79 [그림 4-6] 창업동아리 활동에 대한 외부 투자 정도 79 [그림 4-7] 창업동아리 활동 환경 80 [그림 4-8] 정부 지원 청년창업 사업 참여 경험 여부 81 [그림 4-9] 청년창업을 위한 교수 및 산업체 멘토링 필요성 여부 82 [그림 4-10] 창업관심자들의 멘토링 경험 여부 83 [그림 5-1] 호서대학교의 순환형 학생창업 지원 시스템 개념도 124 [그림 5-2] 호서대학교 학생창업보육센터 전경 및 동아리실 내부 127 [그림 5-3] 학생벤처창업관 전경 및 실내, 동아리실 내부 128 [그림 5-4] 호서대 학생창업보육센터의 종합 지원 체계 129 [그림 5-5] 호서대의 연도별 창업동아리 및 참여 학생 수 추이 131 [그림 5-6] 호서대의 연도별 창업동아리 지원금 추이 13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대학 창업동아리를 통한 지식창업 촉진 방안 | 2013.03.18~2013.07.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