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소년보호기관 직업훈련 실태 및 개선 방안

The actual condition of vocational trainingin juvenile protection agencies and remedies
저자
변숙영 이수경 김지수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3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07.19
등록일
2013.09.30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제3절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14
제2장 보호소년의 특성과 직업능력개발훈련_15
제1절 보호소년의 특성	17
제2절 직업능력개발훈련을 통한 보호소년의 교정ㆍ교화의 의의	32
제3절 소년원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 현황	58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70
제3장 보호소년 특성과 직업능력개발훈련 실태_73
제1절 직업훈련교사 측면	75
제2절 보호소년 측면	117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47
제4장 보호소년 직업능력개발훈련 만족도 및 개선 요구_151
제1절 직업훈련교사 측면	153
제2절 보호소년 측면	167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89
제5장 보호소년 직업능력개발훈련 개선 방안_197
제1절 보호소년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전제	199
제2절 보호소년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개선 방안	200
SUMMARY_215
참고문헌_241
부록_245
[부록 1] 직업훈련교사용 설문지	247
[부록 2] 보호소년용 설문지	252
[부록 3] 사후분석 표	257
 본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약자인 보호소년의 직업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보호소년의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실태를 
분석 및 진단하고, 성공적인 사회 복귀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내용>
 본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보호소년의 특성과 직업능력개발훈련
 1) 보호소년의 특성
 2) 직업능력개발훈련을 통한 보호소년의 교정교화의 의의
 3) 소년원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 현황
 나. 보호소년 특성과 직업능력개발훈련 실태
 1) 보호소년 특성 파악, 보호소년의 사회정서적, 기초직업능력수준
 2) 직업훈련교사 대상으로 보호소년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 실태 및 요구 분석  
 다. 보호소년 직업능력개발훈련 만족도 및 개선사항
 1)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 만족도
 2) 직업능력개발훈련 개선사항 및 취업관련 요구
 라. 보호소년 직업능력개발훈련 개선 방안
 1) 보호소년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전제
 2) 보호소년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개선 방안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sis and diagnosis the actual condition of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for juveniles under protection for occupational capability development of juveniles who are assorted as a socially disadvantaged group and to suggest the remedies for their successful return to normal social life.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 of the research, we collated the relevant literature materials by cooperation from the Ministry of justice, and we also accomplished both of complementar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such as interviews, FGI, and surveys for convergence of opinions and mutual agreement related to the actual condition, request, and satisfaction level of operating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for juveniles. ...
<표 1-1> 면담 및 FGI 참여자 특성	10
<표 1-2> 면담조사 및 FGI 분석 틀	11
<표 1-3>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 실태와 만족도 조사	12
<표 2-1> 보호처분의 유형	20
<표 2-2> 비행청소년들에게 나타나는 개인 특성	23
<표 2-3> 전체범죄인원 중 소년범죄인원의 구성비율 현황	24
<표 2-4> 소년범죄의 연령별 현황	25
<표 2-5> 소년범죄의 성별 현황	25
<표 2-6> 소년범죄의 유형별 현황	26
<표 2-7> 소년범죄 범행동기 현황	28
<표 2-8> 소년범죄의 전과별 현황	29
<표 2-9> 소년범 재범기간 현황	30
<표 2-10> 소년범 공범관계 현황	31
<표 2-11> 소년분류심사원 현황	36
<표 2-12> 청소년비행예방센터 현황	36
<표 2-13> 소년원별 보호대상 및 교육과정	40
<표 2-14> 발전기 소년원 직업훈련 과정	46
<표 2-15> 도약기 소년원 직업훈련 과정	48
<표 2-16> 학교화기 직업전문학교 직업훈련 과정	49
<표 2-17> 특성화기 정보산업학교 직업훈련 과정	50
<표 2-18> 소년원 기능조정 후 직업훈련 과정	51
<표 2-19> 소년원 현재인원	59
<표 2-20> 소년원 수용인원	59
<표 2-21> 소년원 출원인원	60
<표 2-22> 교육 참여인원	60
<표 2-23> 경시대회 입상	61
<표 2-24> 자격취득	62
<표 2-25> 기능경기대회 입상	62
<표 2-26> 교과교육 실적	63
<표 2-27> 보호소년 입원 당시 연령	64
<표 2-28> 보호소년 입원 당시 최종학력	65
<표 2-29> 소년원별 직업능력개발훈련 및 교사 인원	66
<표 2-30> 직업훈련 시설 현황	67
<표 2-31> 연도별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적	68
<표 2-32>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 수료 보호소년 인원	68
<표 2-33> 취업 및 자립지원 현황	69
<표 2-34> 소년원생의 출원 후 생활계획	69
<표 3-1> 직업훈련교사 면담대상 현황	76
<표 3-2> 직업훈련교사 주요 조사 내용	77
<표 3-3> 보호소년 면담대상 현황	118
<표 3-4> 보호소년(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 면담 분석 틀	119
<표 3-5> 보호소년(진학반) 면담 분석 틀	119
<표 4-1> 직업훈련교사 현황 	154
<표 4-2> 직업훈련교사 설문지 문항 구성표	155
<표 4-3> 직업훈련교사 주요 업무	156
<표 4-4> 보호소년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참여 동기	157
<표 4-5>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 시 애로사항	158
<표 4-6> 직업능력개발훈련 관련 유관기관 간의 연계협력 정도	159
<표 4-7> 직업능력개발훈련 이수 후 취업 지원 프로그램 현황	159
<표 4-8> 소년원 인력 실태	160
<표 4-9> 소년원 인력 증원 이유	161
<표 4-10> 소년원 인력 재교육 실태와 애로사항	162
<표 4-11> 재교육 및 연수 내용별 요구도	163
<표 4-12> 정부의 예산 지원에 대한 충분 정도	163
<표 4-13>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위한 예산 지원 필요 부분	164
<표 4-14> 직업능력개발훈련 이수 후 취업 지원 프로그램 효과	165
<표 4-15> 소년원 직업능력개발훈련 정부 지원 요구도	166
<표 4-16> 소년원 직업능력개발훈련 인프라 및 제도 개선 요구 사항	167
<표 4-17> 보호소년 현황	168
<표 4-18> 보호소년 설문지 문항 구성표	170
<표 4-19> 보호소년의 참여 직업능력개발훈련 관련 정보 인지도	171
<표 4-20> 보호소년의 특성별 참여 직업능력개발훈련 관련 정보 인지도	172
<표 4-21> 직업능력개발훈련 참여 목적	174
<표 4-22> 배우고 싶은 과정	175
<표 4-23> 보호소년의 직업능력개발훈련 만족도	176
<표 4-24> 보호소년의 특성별 직업능력개발훈련 만족도	177
<표 4-25> 보호소년의 직업능력개발훈련 도움 정도	179
<표 4-26> 보호소년의 특성별 직업능력개발훈련 도움 정도	180
<표 4-27> 직업능력개발훈련 개선 요구	182
<표 4-28> 보호소년의 특성별 진로결정	184
<표 4-29> 보호소년의 특성별 진로결정 여부	185
<표 4-30> 진로 미결정 요인	187
<표 4-31> 직업에 대해 알고 싶은 정보	188
<표 4-32> 진로나 취업 시 애로점	189
<표 5-1> 관련부처 및 기관 협력 사안	212
[그림 1-1] 연구의 접근 틀	13
[그림 2-1] 소년원 교육단계	21
[그림 2-2] 소년원 수용ㆍ교육 절차	4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소년보호기관 직업훈련 실태 및 개선방안 2013.02.20~2013.07.19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