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의 연관성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The foundation study of analysing the association between career education performance and school education performance
저자
서유정 이지은 김수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2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0.31
등록일
2013.12.06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용어의 정리	5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8
제4절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14
제2장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의 연관성에 대한이론적 논의_15
제1절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의 연관성 논의	17
제2절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의 지표 선정 	20
제3절 진로교육 정책 변화 추이	27
제4절 소 결	43
제3장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의 연관성 분석: 양적 분석_45
제1절 연구내용 및 방법	47
제2절 진로교육 강화정책 분석	58
제3절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 시계열 분석	68
제4절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 연관성 분석	74
제5절 소 결	82
제4장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의 연관성 분석: 질적 분석_87
제1절 연구 개요	89
제2절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평가 등급별 비교 및 중점교/비중점교 분석: 진로진학상담교사	92
제3절 학교 유형별 분석: 타교과교사 및 학생	101
제4절 소 결	111
제5장 논의 및 제언_115
제1절 분석 결과 논의	117
제2절 제 언 	118
SUMMARY_127
참고문헌_131
부  록_139
1. 진로교육 강화정책과 학교교육성과 분석	141
2. 진로교육성과 시계열 분석(부표)	144
3. 면담지: 진로진학상담교사, 타교과교사, 학생	145
4. 기타 질적 분석	161
 진로교육 강화정책에 따른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의 연관성 분석을 위한 기초를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의 연관성 분석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성과지표와 자료를 제시한다.
 ·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의 연관성을 검토할 수 있는 다양한 양적?질적 분석 기법을 실행한다.
 · 향후 지속해서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를 평가하고, 두 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개선점을 제안한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areer Education Reinforcement Policy in 2011, the need has been raised for research to examine how career education may influence school education performance. However, due to the short period of time that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policy, it is too early to expect to obtain significant results. 
  Therefore, the aim of the study is to provide the basis for analysing the association between career education performance and school education performance and to analys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erformances with the existing data set. For that purpose, the report defined ‘performance’ as a multi-dimensional concept that can be measured in terms of the ‘output’ and ‘outcome’. The report also distinguished the concept of career education performance and school education performance by limiting their scope. Then, indices that could be used to represent the two performances were identified and their associations were analysed. ...
<표 1-1>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의 구분	6
<표 1-2>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 지표(예시)	8
<표 2-1> 2011년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평가 결과	21
<표 2-2> 2012년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평가 결과	22
<표 2-3> 진로교육성과 평가 선행 연구와 활용 지표	23
<표 2-4> 학교교육 성과평가를 위한 종합적 학교지표 체계	25
<표 2-5> 학교교육성과 평가 활용 지표	27
<표 2-6> 2011년 이전과 이후의 정책 변화 추이	28
<표 2-7> 2011년 이후 진로교육 정책 주요 추진 과제	29
<표 2-8> 진로진학상담교사 시․도별 배치 현황(2011~2013)	31
<표 2-9> 2013년도 교장․교사 대상 진로교육 연수 종류 및 인원	34
<표 2-10> 2012년 진로체험 유형별 참여 인원	38
<표 2-11> 시․도별 2012년 체험처 발굴 현황	39
<표 2-12> 2012년 진로캠프 유형별 참여 인원	41
<표 2-13> 진로교육 강화정책 지표 	43
<표 3-1> 양적 분석 개요	48
<표 3-2> 양적 분석 방법	49
<표 3-3> 양적 분석에 활용한 지표와 문항	50
<표 3-4> 진로교육성과 및 지표 조사 체계	52
<표 3-5> 진로교육성과와 교육환경 지표 및 해당 문항	53
<표 3-6> 교육성과 및 교육환경 지표와 학교알리미 문항	55
<표 3-7> 진로성숙도 검사 지표	56
<표 3-8> 4대 진로교육 강화정책 분석 대상	59
<표 3-9> 중학교 진로상담내용	60
<표 3-10> 중학교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61
<표 3-11> 중학교 진로교육 풀(Pool)	62
<표 3-12> 고등학교 진로상담내용	63
<표 3-13> 고등학교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63
<표 3-14> 고등학교 진로교육 풀(Pool)	64
<표 3-15> 연관성 분석에 사용된 변수	65
<표 3-16>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의 기초통계량	66
<표 3-17> 다변량 분산분석 결과	67
<표 3-18> 진로성숙도 검사 분석대상	68
<표 3-19> 진로성숙도 검사	69
<표 3-20> 동아리 참여율 시계열 분석 결과	71
<표 3-21> 학교교육성과 시계열 분석에 사용된 대상	72
<표 3-22> 학교알리미 자료 내 학교교육성과 지표	72
<표 3-23> 학교교육성과 시계열 분석 결과	74
<표 3-24> 위계적 회귀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의 기초통계량	76
<표 3-25> 학업중단율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78
<표 3-26> 진학률/취업률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81
<표 4-1> 지역별 면담 일정	90
<표 4-2> 대상별 면담 내용	91
<표 4-3> FGI 시행대상(진로진학상담교사)	93
<표 4-4> 유형별 비교 분석 대상(타교과교사, 학생)	101
[그림 1-1] 다차원적인 성과의 개념 	7
[그림 1-2] 연구 추진 전략 및 절차	13
[그림 2-1]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의 관계도	19
[그림 2-2] 2012 진로활동실 설치율	33
[그림 2-3] 2012 ‘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률 	35
[그림 2-4] 향후 참여하고 싶은 진로활동(중2, 고1)	37
[그림 2-5] 2012 진로활동별 경험과 만족도(중2, 고1)	42
[그림 3-1] 진로성숙도 시계열 비교 	7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진로교육성과와 학교교육성과의 연관성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2013.01.01~201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