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상담의 실태와 과제
The Actual state and task of training counseling within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account system.
- 저자
- 나현미 윤혜준 정란 심지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3-1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3.10.31
- 등록일
- 2014.01.07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7 제3절 용어의 정의 16 제2장 이론적 배경_19 제1절 직업능력개발훈련과 상담 21 제2절 내일배움카드제와 훈련상담 27 제3절 해외 훈련상담 사례 39 제3장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상담 수행기관 실태분석_63 제1절 훈련상담 운영현황 65 제2절 훈련상담 수행기관 질적 분석 98 제3절 시사점 139 제4장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상담 피상담자 실태분석_143 제1절 피상담자의 훈련참여 실태분석 145 제2절 훈련상담 피상담자 질적 분석 168 제3절 시사점 203 제5장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상담 장애요인_207 제1절 제도적 차원 210 제2절 훈련상담 내용 차원 216 제3절 훈련상담 운영 및 관리 차원 220 제6장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상담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_227 제1절 정책과제 도출 229 제2절 제언 243 SUMMARY_247 참고문헌_251 부 록_255 <부록 1> 훈련상담 담당자 의견조사지 257 <부록 2> 훈련생 파일럿 조사 설문지 262
선행 연구에서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상담의 중요성에 관하여 강조해 왔고,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상담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검토하여 훈련상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훈련상담과 관련한 다음의 문제에 관한 답을 찾기는 어렵다. 첫째, 내일배움카드제 관련 법령 및 규정에 나타난 훈련상담의 목적과 그에 따른 훈련 상담원의 권한 및 역할이 실제 고용센터에서 수행되고 있는 훈련상담의 업무 내용 및 상담원의 현실적인 권한과 일치하는가이다. 이에 대한 해답은 현재 내일배움카드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일부 선호직종으로의 편중 현상과 훈련대상 선별기능 미흡 문제가 실제로 훈련상담을 통해 해결 가능한지 결정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둘째, 훈련상담의 주체가 되는 상담원과 피상담자인 구직자의 기대수준이 일치하는가이다. 상담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는 상담의 주체가 되는 상담원과 피상담자, 그리고 상담이 이루어지는 조직의 관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왕은자 외, 2009), 그동안 직업능력개발 훈련상담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피상담자의 인식을 분석한 선행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훈련상담 본연의 기능을 제고하고 구직자의 책무성을 강화할 수 있는 현실적인 개선안을 마련하기 위해 구직자가 상담을 통해 기대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고용센터의 훈련상담을 통해 실제로 얻을 수 있는지 분석하고, 상담을 구성하는 두 주체간의 역할기대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훈련상담이 수행되고 있는 고용센터는 그 규모나 특성에 따라 훈련상담 인프라, 상담인력의 역량, 상담 및 취업지원 시스템이 상이하다. 따라서 양적자료에 근거한 고용센터의 상담현황 분석뿐 아니라 현장방문을 통하여 각각의 고용센터에서 수행되고 있는 상담 프로세스, 상담인력에 대한 교육 및 지원체계, 취업현황 등 다른 고용서비스와의 연계시스템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상담의 실태를 파악하고 훈련상담 수행기관인 고용센터, 훈련 상담원, 피상담자인 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훈련상담의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을 중점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 to analyze training counseling implemented in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Account System and suggest future improvements. One of the barriers that hinders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counseling is job seeker''s misunderstanding of training counseling. Also, the expectation ga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job seeker stands as an obstacle. These gaps and misunderstandings make it more harder for the purpose and the function to be realized. Furthermore, there rises confusion as the training vouchers is being issued not only via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account system but also through Employment Success program, a different employment support system. The major issue here is that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account system strictly manages the issuance of the voucher through counseling and selects the trainees carefully whereas the Employment Success program issues card easily without any limitation. ...
<표 1-1> 훈련상담 수행기관 실태분석 세부 내용 10 <표 1-2> 훈련상담 피상담자 실태분석 세부 내용 11 <표 1-3> 훈련 상담원 대상 실태조사 주요 문항 12 <표 1-4> 훈련상담 피상담자 대상 파일럿 조사 주요 문항 13 <표 2-1> 상담유형의 구분 26 <표 2-2> 기초상담의 주요내용 32 <표 2-3> 실질적 요건 측정내용 33 <표 2-4> 발급상담의 주요내용 34 <표 2-5> 합의제 상담의 주요내용 37 <표 2-6> 훈련상담의 수행목적과 구직자 참여목적 38 <표 2-7> ITA의 세 가지 상담 유형 44 <표 2-8> ITA의 상담 유형별 주요 특징 45 <표 2-9> 일본 구직자 지원제도 상담 프로세스 55 <표 2-10> 구직자 지원제도 훈련생 현황 57 <표 2-11> 구직자 지원제도 취업현황(훈련 종료 3개월 후 기준) 57 <표 2-12> 훈련 분야별 취업현황(2011년 10월~2012년 3월) 58 <표 2-13> 훈련 분야별 취업현황(2012년 4월~2012년 11월) 58 <표 3-1> 지역별 고용센터 현황 66 <표 3-2> 고용센터의 유형에 따른 조직체계 67 <표 3-3> 고용센터 Ⅰ유형에서 수행하는 업무 68 <표 3-4> 구직자 지원 사업별 내일배움카드 발급 및 상담 현황 70 <표 3-5> 지방고용노동관서별 내일배움카드 발급 및 훈련상담 현황 71 <표 3-6> 고용센터 신청자 규모별 내일배움카드 발급 현황 72 <표 3-7> 고용센터 신청자 규모별 내일배움카드 훈련상담 현황 73 <표 3-8> 고용센터 유형별 내일배움카드 신청 및 발급 현황 75 <표 3-9> 고용센터 유형별 내일배움카드 훈련상담 현황 75 <표 3-10> 훈련상담보조원의 훈련상담 현황(2012) 77 <표 3-11> 내일배움카드 신청자 규모별 훈련상담보조원 현황 78 <표 3-12> 훈련 상담원 대상 실태조사 주요 문항 80 <표 3-13> 훈련 상담원 조사 응답자 특성 81 <표 3-14> 고용형태별 주요 업무현황(복수응답 가능) 82 <표 3-15> 고용센터 내 훈련상담 담당자 수의 적정성 83 <표 3-16> 고용센터 유형에 따른 훈련상담 근무강도, 스트레스,구직자민원의 차이 84 <표 3-17> 고용센터 유형에 따른 일원분산분석 결과 85 <표 3-18> 고용센터 유형에 따른 근무강도, 스트레스, 구직자민원 정도의 사후비교분석 86 <표 3-19> 고용센터 유형에 따른 1일 업무시간, 방문구직자 수,대기시간 87 <표 3-20> 1일 평균 훈련상담 구직자 수가 적정하지 않은 이유 88 <표 3-21> 고용센터 유형에 따른 훈련상담의 적정성 여부 90 <표 3-22> 고용형태에 따른 훈련상담 업무의 적정성 여부 91 <표 3-23> 훈련상담 담당자로서 업무가 적정하지 않은 이유 91 <표 3-24> 고용센터 유형에 따른 훈련상담 영향 92 <표 3-25> 고용센터 유형에 따른 훈련상담의 도움 정도 93 <표 3-26> 고용센터 유형에 따른 훈련상담의 훈련직종 및훈련기관 선택 도움 정도에 대한 일원분산분석결과 94 <표 3-27> 고용센터 유형에 따른 훈련상담의 훈련직종 및훈련기관 선택 도움 정도에 대한 사후비교분석 94 <표 3-28> 훈련상담 업무 수행에서 겪는 어려움(복수응답 가능) 95 <표 3-29> 고용센터 유형에 따른 훈련상담 업무능력 보유 여부 95 <표 3-30> 고용형태에 따른 훈련상담 업무능력 보유 여부 96 <표 3-31> 훈련상담 업무개선을 위한 의견 97 <표 3-32> 훈련 상담원 대상 심층 면담 참여자 99 <표 3-33> 훈련 상담원 심층면담 항목별 세부내용 100 <표 3-34> 훈련 상담원 업무권한의 변화 117 <표 4-1> 피상담자 현황 분석자료 147 <표 4-2> 내일배움카드 신청 현황 - 지역 148 <표 4-3> 내일배움카드 신청 현황 - 연령 149 <표 4-4> 내일배움카드 신청 현황 - 성별 150 <표 4-5> 내일배움카드 신청 현황 - 학력 150 <표 4-6> 내일배움카드 신청 현황 - 훈련직종 151 <표 4-7> 내일배움카드 훈련 현황 - 지역 153 <표 4-8> 내일배움카드 훈련 현황 - 연령 154 <표 4-9> 내일배움카드 훈련 현황 - 성별 155 <표 4-10> 내일배움카드 훈련 현황 - 학력 155 <표 4-11> 내일배움카드 훈련 현황 - 훈련직종 156 <표 4-12> 내일배움카드 취업 현황 - 지역 157 <표 4-13> 내일배움카드 취업 현황 - 연령 158 <표 4-14> 내일배움카드 취업 현황 - 성별 159 <표 4-15> 내일배움카드 취업 현황 - 학력 160 <표 4-16> 내일배움카드 취업 현황 - 훈련직종 161 <표 4-17> 훈련상담 피상담자 응답자 특성 162 <표 4-18> 내일배움카드제에 참여하게 된 이유(복수응답 가능) 163 <표 4-19> 훈련직종 및 훈련과정 선택 시기 163 <표 4-20> 훈련과정 참여 전 알고 있었던 정보 164 <표 4-21> 훈련과정 선정 시 고려한 항목(복수응답 가능) 165 <표 4-22> 훈련상담 참여 횟수 165 <표 4-23> 1회당 평균 훈련상담 시간 166 <표 4-24> 훈련상담 내용에 대한 만족도(5점 척도) 166 <표 4-25> 훈련상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5점 척도) 167 <표 4-26> 훈련상담에 추가적으로 바라는 점(복수응답 가능) 168 <표 4-27> 상담 종료 후 훈련참여 중인 피상담자 169 <표 4-28> 훈련상담 진행 중인 피상담자 174 <표 4-29> 피상담자 심층면담 항목별 세부내용 181 <표 5-1> 구직자 내일배움카드제와 취업성공패키지 지원사업 비교 211 <표 5-2> 합의제 직종의 내일배움카드 운영현황 213 <표 5-3> 취업성공패키지와 통합된 내일배움카드 훈련운영에따른 문제점 215 <표 5-4> 훈련직종 및 훈련과정 선택을 위한 실제적인 상담부족에따른 문제점 220 <표 5-5> 내일배움카드 훈련상담 운영 및 관리의 어려움에 따른문제점 225 [그림 1-1] 연구 내용 및 방법 15 [그림 2-1] 직업능력개발 사업체계 22 [그림 2-2] 내일배움카드제 대면상담 절차 30 [그림 3-1] 질적 자료 분석의 단계 101 [그림 3-2] 상담자 질적 연구 주요 코딩항목 102 [그림 4-1] 피상담자 실태분석의 연구 흐름 146 [그림 4-2] 피상담자 질적 연구 주요 코딩항목 182 [그림 6-1]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상담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도출 230 [그림 6-2] 구직자 훈련상담프로세스(안) 23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능력개발 계좌제 훈련상담의 실태와 과제 | 2013.01.01~2013.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