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전문가 참여 상세사항 8
<표 1-2> 전망결과의 현실타당성 조사 8
<표 2-1> 기술과 숙련과의 관계 국내외 선행연구 정리 20
<표 2-2> 국내외 미래숙련수요 연구 정리 27
<표 3-1> 지식경제부 IT기술경쟁력 분석 보고서의 IT기술 분류 31
<표 3-2> 지식경제부 IT기술경쟁력 분석 보고서의 지식정보보안 34
<표 3-3> 「대한민국 산업기술 비전 2020: 정보통신」에서의 정보보안 기술동향 35
<표 3-4> 보안 기술 이슈 45
<표 4-1> 정보보호관리사 직무 능력군 52
<표 4-2> 정보보호 분야 직무체계 54
<표 4-3> 직무분석을 통한 교과목 도출 56
<표 4-4> 통신보안 분류 60
<표 4-5> 정보보안 분류 61
<표 4-6> 정보시스템보안 분류 62
<표 4-7> 정보보안 직무분석 현황 정리 63
<표 4-8> 주 직무군에 따른 지식 및 기술 65
<표 4-9> 정보보호 필수요구지식 69
<표 4-10> 정보보안 직무분석 현황 정리 70
<표 4-11> 정보보안 관련 숙련 도출(국내) 71
<표 4-12> IT 보안 역량 분야 77
<표 4-13> 정보보안 관련 숙련 도출(미국) 78
<표 4-14> 2010년 도출된 정보보안 숙련 80
<표 5-1> 정보보안 특허검색 결과(2013.9.30. 기준)- 등록사항 및 최종처분내용에 따른 분류 89
<표 5-2> 2013년까지 누적출원 상위 20개 기업 95
<표 5-3> 전체대비 누적출원 상위 20개 기업 특허 추이 97
<표 5-4> 직무별 요구숙련과 IPC의 대응 101
<표 5-5> 범용기술 관련 IPC 포함, 전체 출원특허에서의 요구숙련 대응 IPC 출현도수 103
<표 5-6> 범용기술 관련 IPC 포함, 전체 요구숙련 상대빈도(%) 104
<표 5-7> 범용기술 관련 IPC 포함, 20대 출원기업 요구숙련 상대빈도(%) 109
<표 5-8> 범용기술 관련 IPC 제외, 전체 요구숙련 상대빈도(%) 112
<표 5-9> 범용기술 관련 IPC 제외, 20대 출원기업 요구숙련상대빈도(%) 115
<표 5-10> 숙련수요 전망 118
<표 5-11> 숙련수요 전망 타당성 조사 120
<부표 1> 네트워크 보안기술 153
<부표 2> 시스템 보안 기술 154
<부표 3> 정보보안 제품 및 서비스 분류 158
<부표 4> 수요전망조사 : 향후 유망분야 159
<부표 5> 국내 지식정보보안산업 모집단 일반 현황 161
<부표 6> 정보보안기업의 중분류 품목별 취급 기업 현황 162
<부표 7> 정보보안산업 중분류 매출현황 163
<부표 8> 정보보안산업 업종별(수요처별) 매출현황 164
<부표 9> 정보보안산업 중분류 매출 전망 166
<부표 10> 지식정보보안시장 현황 및 전망 166
<부표 11> 전공별 성별 인력현황 170
<부표 12> 정보보안 인력 수준별 종사자 현황 171
<부표 13> 분야별 인력 채용 현황 172
<부표 14> 기업형태별 인력 채용 현황 172
<부표 15> 지식정보보안인력 수요 전망 173
<부표 16> 지식정보보안인력 공급 전망 및 수급차 분석 174
[그림 1-1] 연구 체계 6
[그림 2-1] 기술과 숙련과의 관계 11
[그림 2-2] 기술이 숙련에 미치는 영향 19
[그림 5-1] 정보보안 특허출원 92
[그림 5-2] 한국 제외 상위 5개 다출원 국가의 출원특허 수 추이 93
[그림 5-3] 상위 20위 출원기업의 특허추이 96
[그림 5-4] 범용기술 관련 IPC 포함 전체 출원특허에서의 숙련수요 추이 107
[그림 5-5] 범용기술 관련 IPC 포함, 20대 출원기업 숙련수요 추이 110
[그림 5-6] 범용기술 관련 IPC 제외, 전체 숙련수요 추이 113
[그림 5-7] 범용기술 관련 IPC 제외, 20대 출원기업숙련수요 추이 116
[부록 그림 1] 전 세계 지식정보보안 산업 시장 규모(2007기준) 167
[부록 그림 2] 지식정보보안 시장 비중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