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미래숙련수요 분석을 위한 특허정보활용의 현실적합성 분석

Validity analysis on actuality of patent information use for the future skills needs outlook
저자
황규희 주인중 반가운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0.31
등록일
2014.01.1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3
제2절 연구 목적 	4
제3절 연구 체계 및 방법	5
제2장 기술과 미래숙련수요_9
제1절 기술과 숙련 	11
제2절 미래숙련수요	23
제3장 분석대상으로의 정보보안 기술_29
제1절 정보보안 범위	31
제2절 정보보안 기술변화	37
제4장 정보보안 부문 직무구성과 요구숙련_49
제1절 직무구성	51
제2절 정보보안 관련 숙련	63
제3절 소결	79
제5장 특허분석에 의한 숙련수요 전망_83
제1절 정보보안 관련 특허 추이	85
제2절 특허정보로부터 보안직무의 숙련수요 추이	99
제3절 보안직무의 숙련수요 전망 	117
제6장 결론: 특허분석을 통한 숙련전망 방법 활용_121
제1절 특허분석을 통한 숙련전망 방법론	123
제2절 연구의 한계와 타 부문으로의 확장	126
SUMMARY_129
참고문헌_143
부  록_151
제1절 정보보안 기술	153
제2절 정보보안산업 현황	156
제3절 정보보안 인력 현황과 전망	169
  본 연구에서는 특허를 이용한 미래숙련수요 전망의 현실적합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 숙련수요 전망방법론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특히 근래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정보보안 부문을 대상으로 하여 특허분석을 활용한 미래숙련수요 분석방법론의 현실적합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표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특허를 이용한 미래숙련수요 전망체계를 구축한다.
 둘째, 전망된 요구숙련에 대하여, 그 이전 시점에서 전망된 숙련전망치와 비교하여 전망결과의 현실적합성을 검토한다.
 셋째, 특허를 이용한 미래숙련수요전망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의 확장을 도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future skills needs outlook to actuality empirically by using patent and to develop the forecast methodology for skills needs. In particular, recently spotlighted information security area was targeted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future skills needs outlook analysis method to actuality by utilizing the patent analysis. This study entails the following 3 goals.
  First, it builds a future skills needs forecast methodology by using patent for information security.
  Second, it examines the validity of forecast result to actuality by comparing the realized skills with the expected skills based on the previous information.
Third, it presents the methodology of future skill needs outlook in general by using patent analysis.
<표 1-1> 전문가 참여 상세사항	8
<표 1-2> 전망결과의 현실타당성 조사	8
<표 2-1> 기술과 숙련과의 관계 국내외 선행연구 정리	20
<표 2-2> 국내외 미래숙련수요 연구 정리	27
<표 3-1> 지식경제부 IT기술경쟁력 분석 보고서의 IT기술 분류	31
<표 3-2> 지식경제부 IT기술경쟁력 분석 보고서의 지식정보보안	34
<표 3-3> 「대한민국 산업기술 비전 2020: 정보통신」에서의 정보보안 기술동향	35
<표 3-4> 보안 기술 이슈	45
<표 4-1> 정보보호관리사 직무 능력군	52
<표 4-2> 정보보호 분야 직무체계	54
<표 4-3> 직무분석을 통한 교과목 도출	56
<표 4-4> 통신보안 분류	60
<표 4-5> 정보보안 분류	61
<표 4-6> 정보시스템보안 분류	62
<표 4-7> 정보보안 직무분석 현황 정리	63
<표 4-8> 주 직무군에 따른 지식 및 기술	65
<표 4-9> 정보보호 필수요구지식	69
<표 4-10> 정보보안 직무분석 현황 정리	70
<표 4-11> 정보보안 관련 숙련 도출(국내)	71
<표 4-12> IT 보안 역량 분야	77
<표 4-13> 정보보안 관련 숙련 도출(미국)	78
<표 4-14> 2010년 도출된 정보보안 숙련	80
<표 5-1> 정보보안 특허검색 결과(2013.9.30. 기준)- 등록사항 및 최종처분내용에 따른 분류	89
<표 5-2> 2013년까지 누적출원 상위 20개 기업	95
<표 5-3> 전체대비 누적출원 상위 20개 기업 특허 추이	97
<표 5-4> 직무별 요구숙련과 IPC의 대응	101
<표 5-5> 범용기술 관련 IPC 포함, 전체 출원특허에서의 요구숙련 대응 IPC 출현도수	103
<표 5-6> 범용기술 관련 IPC 포함, 전체 요구숙련 상대빈도(%)	104
<표 5-7> 범용기술 관련 IPC 포함, 20대 출원기업 요구숙련 상대빈도(%)	109
<표 5-8> 범용기술 관련 IPC 제외, 전체 요구숙련 상대빈도(%)	112
<표 5-9> 범용기술 관련 IPC 제외, 20대 출원기업 요구숙련상대빈도(%)	115
<표 5-10> 숙련수요 전망	118
<표 5-11> 숙련수요 전망 타당성 조사	120
<부표 1> 네트워크 보안기술	153
<부표 2> 시스템 보안 기술	154
<부표 3> 정보보안 제품 및 서비스 분류	158
<부표 4> 수요전망조사 : 향후 유망분야	159
<부표 5> 국내 지식정보보안산업 모집단 일반 현황 	161
<부표 6> 정보보안기업의 중분류 품목별 취급 기업 현황	162
<부표 7> 정보보안산업 중분류 매출현황 	163
<부표 8> 정보보안산업 업종별(수요처별) 매출현황 	164
<부표 9> 정보보안산업 중분류 매출 전망 	166
<부표 10> 지식정보보안시장 현황 및 전망	166
<부표 11> 전공별 성별 인력현황	170
<부표 12> 정보보안 인력 수준별 종사자 현황	171
<부표 13> 분야별 인력 채용 현황	172
<부표 14> 기업형태별 인력 채용 현황	172
<부표 15> 지식정보보안인력 수요 전망	173
<부표 16> 지식정보보안인력 공급 전망 및 수급차 분석	174
[그림 1-1] 연구 체계	6
[그림 2-1] 기술과 숙련과의 관계	11
[그림 2-2] 기술이 숙련에 미치는 영향	19
[그림 5-1] 정보보안 특허출원	92
[그림 5-2] 한국 제외 상위 5개 다출원 국가의 출원특허 수 추이	93
[그림 5-3] 상위 20위 출원기업의 특허추이	96
[그림 5-4] 범용기술 관련 IPC 포함 전체 출원특허에서의 숙련수요 추이	107
[그림 5-5] 범용기술 관련 IPC 포함, 20대 출원기업 숙련수요 추이	110
[그림 5-6] 범용기술 관련 IPC 제외, 전체 숙련수요 추이	113
[그림 5-7] 범용기술 관련 IPC 제외, 20대 출원기업숙련수요 추이	116
[부록 그림 1] 전 세계 지식정보보안 산업 시장 규모(2007기준)	167
[부록 그림 2] 지식정보보안 시장 비중	16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미래숙련수요 분석을 위한 특허정보활용의 현실적합성 분석 2013.01.01~201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