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 모델 연구

A Research on Model for Development and Operating System of Training Courses within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
저자
김수원 정향진 나동만 한애리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1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0.31
등록일
2014.01.1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5
제3절 연구의 방법	6
제4절 선행연구 분석	10
제5절 연구의 기대효과 및 한계	13
제2장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 관련 이론 고찰_15
제1절 훈련과정 개발과 체계적 운영의 의의	17
제2절 훈련과정 개발 모델 관련 이론적 논의	24
제3절 훈련과정 운영 모델 관련 이론적 논의	35
제4절 시사점과 함의	41
제3장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과정의 현황 및 운영실태_45
제1절 훈련기관 및 훈련과정의 유형 및 특성	47
제2절 훈련과정 심사 기준 및 결과 분석	52
제3절 훈련과정 운영 현황 및 결과 분석	59
제4절 시사점과 함의	65
제4장 국내․외 직업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 사례 분석_67
제1절 우수사례 선정기준(안)	69
제2절 국내 우수사례 조사결과	72
제3절 해외 우수사례 조사결과	107
제4절 시사점과 함의	130
제5장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 모델_139
제1절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 개발방향	141
제2절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 모델(안)	144
제3절 훈련기관 현장 타당성 검토 결과	173
제6장 정책 제언 : 관련 정책 개선방향_179
SUMMARY_185
참고문헌_191
부  록_195
1. 우수사례 조사지	197
2. HRD-Net 자료 요청서	199
3. 현장 타당성 검토 체크리스트	201
  직업훈련과정의 품질관리를 위해 수행되고 있는 이와 같은 심사절차에서 매년 최종 적합률이 30%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적합훈련과정의 질적 수준에 대한 의문이 관련 이해당사자로부터 제기되고 있다. 이는 실업자 직업훈련시장의 진입장벽이 낮아지면서 직업훈련에 대한 이해나 경험이 부족한 신규훈련기관이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심사 및 훈련에 많이 참여하고, 기존 훈련기관들도 훈련과정 개발능력이나 실시능력에 관계없이 심사 통과만을 위한 훈련과정 개발 행태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또한, 적합훈련과정 심사에 통과했다 하더라도 직업훈련에 대한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자신들의 수익을 올리는 데만 급급한 일부 훈련기관에서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을 비체계적으로 소홀히 다루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로 인해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시행 6년차인 2013년 현재까지 적합훈련과정의 수준에 대해 논란이 거듭되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과정에 대한 개발·활용·사후관리 등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 모델을 개발하여 직업훈련기관에 제공하고 적합훈련과정 심사에 활용함으로써,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과정의 전반적인 수준을 향상시키고, 훈련생들에게 질 높은 직업훈련을 제공하며, 더 나아가 직업훈련 전반의 질적 수준을 개선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 특히, 산업현장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훈련과정 개발 등에 반영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원에서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 관련 이론 고찰과 훈련과정의 현황 및 운영실태, 그리고 우수한 훈련과정과 그것을 운영하는 훈련기관을 일정 기준에 따라 선정·분석하여 ‘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수요조사에서 수료생의 취업 및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의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직업능력개발계좌제에 참여하는 훈련기관들의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Now in 2013, whe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VCDAS) has been practiced for six years, the controversy over the level of Eligible Training Process(ETP) has continued.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training process and operating system of VCDAS by designing its development, application and follow-up management. Then, we can provide them to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nd use them to screen ETP. In other words, we should improve overall level of VCDAS training process, provide trainees with decent-quality vocational training, and further enhance overall standard of vocational training. ...
<표 1-1> 주요 선행연구 결과	11
<표 2-1>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내용과 방법	23
<표 2-2>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절차와 방법	27
<표 2-3>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른 교육과정 구성 체제	31
<표 2-4> 우편원격훈련과정 운영 표준(안)	36
<표 2-5> 교육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 모델 비교	43
<표 3-1> 훈련기관 유형별 신청 및 인정 현황	48
<표 3-2> 훈련직종별 인정 현황	49
<표 3-3> 훈련기관 유형별 취약계층 인정 현황	50
<표 3-4> 직종별 취약계층 훈련과정 인정 현황	51
<표 3-5> 직업능력개발계좌제 내용적합성 심사기준	54
<표 3-6>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심사 결과	57
<표 3-7> 직업능력개발계좌제 내용적합성 심사 결과	57
<표 3-8> 취약계층 대상별 적합현황	59
<표 3-9> KECO 중분류별 적합훈련과정 운영 현황	61
<표 3-10> KECO 중분류별 적합훈련과정 운영 실적	64
<표 4-1> 국내 우수사례 조사대상기관 현황	73
<표 4-2> 훈련생 관리체계	88
<표 4-3> 훈련과정 개발 프로세스 10단계	113
<표 4-4> 기술 및 지식의 선택기준	115
<표 4-5> 훈련과정 설계를 위한 구성요소와 성과기준	123
<표 4-6> 훈련과정 설계 시 관계자의 핵심 역량	125
<표 4-7> 국내 우수사례의 주요 내용	133
<표 4-8> 해외 우수사례의 주요 내용	137
<표 5-1> 2014년도 NCS 및 NCS 학습모듈 개발 계획	152
<표 5-2> 교수-학습계획서 양식(예시)	164
<표 5-3> 3단계 평가체제	169
<표 5-4> 훈련기관 현장 타당성 검토 조사항목별 평점	174
<표 5-5> 훈련기관 현장 타당성 검토 주요 의견	176
[그림 1-1] 연구의 접근방법	7
[그림 2-1]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기능	22
[그림 2-2] 국가직무능력과 교육과정 연계	24
[그림 2-3] Campbell(1996)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	26
[그림 2-4]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모델	29
[그림 2-5]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 모델	30
[그림 2-6] Finch ed al.(1997)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	33
[그림 2-7] 통합형 교육과정 개발 모델	34
[그림 2-8] 체계적 현장훈련의 표준모델	40
[그림 3-1] 내용적합성 부적합 판정내역 (2011년 기준)	58
[그림 4-1] 국내 우수사례 선정기준안	71
[그림 4-2] 국내 우수사례 분석틀	73
[그림 4-3] 강의지도안	76
[그림 4-4] 훈련과정 개발의 개요	91
[그림 4-5] 취업 및 사후관리의 흐름도	93
[그림 4-6] 훈련과정 개발 절차 및 방법	95
[그림 4-7] 교수-학습계획서	96
[그림 4-8] 해외사례 조사분석틀	108
[그림 5-1]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 모델(안)	145
[그림 5-2] NCS 및 학습모듈 구성체제	154
[그림 5-3] NCS-학습모듈-훈련과정의 연계	155
[그림 5-4] 훈련운영계획서 양식(예시)	158
[그림 5-5] 교재 개발 절차	17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 모델 연구 2013.01.01~201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