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실업자 훈련-취업 직종을 기준으로 한 유형화 7
<표 2-1> 실업자 훈련 예산 추이 22
<표 2-2> 실업자 훈련인원 추이 23
<표 2-3> 내일배움카드 신청, 발급, 훈련 참여 추이 24
<표 2-4> 1인당 훈련비의 추계: 전직 및 신규 실업자 훈련 대상 25
<표 2-5> 훈련과정 평균 훈련기간 및 훈련비 25
<표 2-6> 내일배움카드제하 훈련생의 취업률 26
<표 2-7> 물량배정방식하 훈련생의 취업률 26
<표 2-8> 적합훈련과정 신청 및 승인 현황 27
<표 2-9>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시기관의 추이 28
<표 2-10> 실업자 내일배움카드제 적합훈련과정의 훈련기관유형별 분포: 2012년 승인 기준 29
<표 2-11> 실업자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에 대한 선행연구들 34
<표 2-12> 훈련-일자리 직종 일치도 변수의 훈련성과에 대한 영향추정결과 38
<표 2-13> 기업의 인력수급 상황: 부족인원, 구인인원, 미충원 인원 41
<표 2-14> 훈련 직종별 개설(가능)과정 수: 공급 44
<표 2-15> 직업능력개발계좌제하 실업자 훈련 직종별 인원 46
<표 2-16> 실업자 훈련 직종별 취업률 49
<표 2-17> 직종별 인력수급 불일치와 훈련공급 비교: 2012년 기준 51
<표 3-1> 분석 대상의 인적 속성 58
<표 3-2> 첫 훈련 직종 분포 60
<표 3-3> 성별·연령별 첫 훈련 직종 분포 62
<표 3-4> 학력 및 지역별 첫 훈련 직종 분포 63
<표 3-5> 주요 훈련 직종의 인적 속성 분포 65
<표 3-6> 첫 훈련 직종 및 이전 직종 분포: 전직실업자 67
<표 3-7> 이직 사유 및 이직-계좌발급 기간별 첫 훈련 직종 분포:전직실업자 69
<표 3-8> 이전 직종과 훈련 직종 일치 비중: 직종 중분류 71
<표 3-9> 직종별 이전 직종과 훈련 직종 일치 비중: 직종 중분류 72
<표 3-10> 이전 직종과 훈련 직종 일치 여부(직종 중분류) 로짓분석 74
<표 3-11> 전직실업자의 훈련 직종별 이전 직종 분포(열 비중) 77
<표 3-12> 인적 속성별 훈련 직종 변경 비중 79
<표 3-13> 훈련 직종별 훈련 직종 변경 비중 81
<표 3-14> 훈련 직종 변경자의 첫 훈련 직종별 훈련 직종 변경 분포 83
<표 3-15> 이전 직종–첫 훈련 직종–마지막 훈련 직종 비교:전직실업자 직종 변경 84
<표 3-16>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수료자의 인적 속성별 취업률 87
<표 3-17>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수료자의 훈련 직종별 취업률 88
<표 3-18>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수료자의 취업 결정 요인 로짓분석 89
<표 3-19>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수료자의 이직 특성별 취업률:전직실업자 90
<표 3-20>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수료자의 취업 결정 요인 로짓분석:전직실업자 91
<표 3-21> 인적 속성별 동일 직종 취업률: 직종 중분류 94
<표 3-22> 훈련 직종별 동일 직종 취업률: 직종 중분류 96
<표 3-23> 훈련 직종별 취업률과 동일 직종 취업률에 따른 구분 99
<표 3-24> 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 교차표(행 비중) 102
<표 3-25> 동일 직종 취업 결정 요인 로짓분석 103
<표 3-26> 훈련 참여 전직실업자의 훈련-직장이동 유형 105
<표 3-27> 인적 속성별 훈련-직장이동 유형: 직종 중분류 107
<표 3-28> 훈련 직종별 훈련-직장이동 유형: 직종 중분류 109
<표 3-29> 이전 직종별 훈련-직장이동 유형: 직종 중분류 110
<부표 1> 직업능력개발계좌제하 실업자 훈련 직종별 인원 135
<부표 2> KECO2005 소분류의 KECO2007 소분류 전환 연계표 136
<부표 3> 성별 및 연령별 첫 훈련 직종 분포: 전직실업자 138
<부표 4> 학력 및 지역별 첫 훈련 직종 분포: 전직실업자 139
<부표 5> 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 일치 비중: 직종 소분류 140
<부표 6> 훈련 직종별 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 일치 비중:직종 소분류 141
[그림 1-1] 제3장의 주요 분석 내용 8
[그림 2-1] 내일배움카드제의 사업체계 16
[그림 2-2] 내일배움카드 발급 절차 17
[그림 2-3]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사업 운영의 주체별 흐름도 20
[그림 2-4] 훈련 직종별 개설률: 2013년 9월 기준 45
[그림 2-5] 직업능력개발계좌제하 실업자 훈련의 성별 직종 선택:2012년 연인원 기준 48
[그림 3-1] 훈련 직종별 취업률과 동일 직종 취업률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