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실업자 직업훈련과 직장이동 : 훈련-취업 직종 연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tch between Training Fields of the Unemployed and Their Post-training Occupations in Korea
저자
정재호 정원호 김미란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0.31
등록일
2014.01.17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5
제2장 실업자 훈련의 추이와 성과에 대한 검토_9
제1절 실업자 내일배움카드제 추이: 변화와 실적	14
제2절 실업자 훈련성과에 대한 선행연구	29
제3절 직종별 인력수급과 훈련 공급	39
제3장 실업자 훈련과 취업 직종_53
제1절 분석 개요	55
제2절 실업자의 훈련 직종 선택	59
제3절 훈련 직종의 변경	78
제4절 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	85
제5절 실업자 훈련과 직장이동 유형	104
제4장 결 론_113
제1절 요약 및 정책 제언	115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23
SUMMARY_127
참고문헌_131
부  록_135
  본 연구에서는 훈련 직종의 선택과 훈련 후 취업 과정에 대해 직종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실업자 직업훈련제도의 취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훈련 참여자들의 취업 성과를 제고하여 취약계층의 자립을 지원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를 촉진함으로써 경제 전체의 고용률 제고에도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vocational training for the unemployed in terms of the match between the fields of training and those of occupations. The Korean training program for the unemployed is called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account system’ or ‘My work learning card system’. Training fields and occupation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at the sub-major group level according to the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KECO). ...
<표 1-1> 실업자 훈련-취업 직종을 기준으로 한 유형화	7
<표 2-1> 실업자 훈련 예산 추이	22
<표 2-2> 실업자 훈련인원 추이	23
<표 2-3> 내일배움카드 신청, 발급, 훈련 참여 추이	24
<표 2-4> 1인당 훈련비의 추계: 전직 및 신규 실업자 훈련 대상	25
<표 2-5> 훈련과정 평균 훈련기간 및 훈련비	25
<표 2-6> 내일배움카드제하 훈련생의 취업률	26
<표 2-7> 물량배정방식하 훈련생의 취업률	26
<표 2-8> 적합훈련과정 신청 및 승인 현황	27
<표 2-9>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시기관의 추이	28
<표 2-10> 실업자 내일배움카드제 적합훈련과정의 훈련기관유형별 분포: 2012년 승인 기준	29
<표 2-11> 실업자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에 대한 선행연구들	34
<표 2-12> 훈련-일자리 직종 일치도 변수의 훈련성과에 대한 영향추정결과	38
<표 2-13> 기업의 인력수급 상황: 부족인원, 구인인원, 미충원 인원	41
<표 2-14> 훈련 직종별 개설(가능)과정 수: 공급	44
<표 2-15> 직업능력개발계좌제하 실업자 훈련 직종별 인원	46
<표 2-16> 실업자 훈련 직종별 취업률	49
<표 2-17> 직종별 인력수급 불일치와 훈련공급 비교: 2012년 기준	51
<표 3-1> 분석 대상의 인적 속성	58
<표 3-2> 첫 훈련 직종 분포	60
<표 3-3> 성별·연령별 첫 훈련 직종 분포	62
<표 3-4> 학력 및 지역별 첫 훈련 직종 분포	63
<표 3-5> 주요 훈련 직종의 인적 속성 분포	65
<표 3-6> 첫 훈련 직종 및 이전 직종 분포: 전직실업자	67
<표 3-7> 이직 사유 및 이직-계좌발급 기간별 첫 훈련 직종 분포:전직실업자	69
<표 3-8> 이전 직종과 훈련 직종 일치 비중: 직종 중분류	71
<표 3-9> 직종별 이전 직종과 훈련 직종 일치 비중: 직종 중분류	72
<표 3-10> 이전 직종과 훈련 직종 일치 여부(직종 중분류) 로짓분석	74
<표 3-11> 전직실업자의 훈련 직종별 이전 직종 분포(열 비중)	77
<표 3-12> 인적 속성별 훈련 직종 변경 비중	79
<표 3-13> 훈련 직종별 훈련 직종 변경 비중	81
<표 3-14> 훈련 직종 변경자의 첫 훈련 직종별 훈련 직종 변경 분포	83
<표 3-15> 이전 직종–첫 훈련 직종–마지막 훈련 직종 비교:전직실업자 직종 변경	84
<표 3-16>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수료자의 인적 속성별 취업률	87
<표 3-17>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수료자의 훈련 직종별 취업률	88
<표 3-18>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수료자의 취업 결정 요인 로짓분석	89
<표 3-19>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수료자의 이직 특성별 취업률:전직실업자	90
<표 3-20>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수료자의 취업 결정 요인 로짓분석:전직실업자	91
<표 3-21> 인적 속성별 동일 직종 취업률: 직종 중분류	94
<표 3-22> 훈련 직종별 동일 직종 취업률: 직종 중분류	96
<표 3-23> 훈련 직종별 취업률과 동일 직종 취업률에 따른 구분	99
<표 3-24> 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 교차표(행 비중)	102
<표 3-25> 동일 직종 취업 결정 요인 로짓분석	103
<표 3-26> 훈련 참여 전직실업자의 훈련-직장이동 유형	105
<표 3-27> 인적 속성별 훈련-직장이동 유형: 직종 중분류	107
<표 3-28> 훈련 직종별 훈련-직장이동 유형: 직종 중분류	109
<표 3-29> 이전 직종별 훈련-직장이동 유형: 직종 중분류	110
<부표 1> 직업능력개발계좌제하 실업자 훈련 직종별 인원	135
<부표 2> KECO2005 소분류의 KECO2007 소분류 전환 연계표	136
<부표 3> 성별 및 연령별 첫 훈련 직종 분포: 전직실업자	138
<부표 4> 학력 및 지역별 첫 훈련 직종 분포: 전직실업자	139
<부표 5> 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 일치 비중: 직종 소분류	140
<부표 6> 훈련 직종별 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 일치 비중:직종 소분류	141
[그림 1-1] 제3장의 주요 분석 내용	8
[그림 2-1] 내일배움카드제의 사업체계	16
[그림 2-2] 내일배움카드 발급 절차	17
[그림 2-3]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사업 운영의 주체별 흐름도	20
[그림 2-4] 훈련 직종별 개설률: 2013년 9월 기준	45
[그림 2-5] 직업능력개발계좌제하 실업자 훈련의 성별 직종 선택:2012년 연인원 기준	48
[그림 3-1] 훈련 직종별 취업률과 동일 직종 취업률	9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실업자 직업훈련과 직장이동 : 훈련-취업 직종 연계를 중심으로 2013.01.01~201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