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신생직업 개척자의 경력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areer development: cases of new occupation pioneers
저자
한상근 장주희 윤수린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2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0.31
등록일
2014.01.17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추진 방법	5
제2장 선행연구 분석 및 연구방법_9
제1절 신생직업에 관한 선행연구	11
제2절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경력개발 연구	17
제3절 연구방법	31
제3장 신생직업인의 탄생과정 분석_45
제1절 면담 조사 현황	47
제2절 신생직업의 특성	56
제3절 직업의 선택 과정	66
제4장 신생직업인의 정착과정 분석_85
제1절 고난과 역경	87
제2절 고난과 역경의 극복	102
제3절 직업인으로 입지를 다짐	119
제5장 신생직업인의 필요역량과 경력개발 과정_135
제1절 신생직업의 필요역량	137
제2절 신생직업의 교육 프로그램	157
제3절 신생직업인의 경력개발 과정분석	167
제6장 신생직업의 정책대안_183
제1절 정부정책 활용	185
제2절 정부정책 한계	192
제3절 정책대안	197
SUMMARY_215
참고문헌_217
부록_225
1. 피면담자 동의서	227
2. 생애이력표	228
3. 면담 질문지	229
4. 신생직업 목록	231
  본 연구에서는 신생직업 개척자는 어떠한 동기로 신생직업 분야에 진출하여 신생직업 분야에 입직하였고, 자신의 경력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 어려움을 어떻게 이겨냈는지를 밝히려고 한다. 여기서 신생직업 개척자란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없었던 직업 분야에 선도적으로 진출하여 해당 직업 분야에서 일정한 성취를 이룬 사람을 의미한다.
  개인 입장에서 신생직업으로의 진출에는 많은 위험(risk)이 따르는바, 신생직업 진출을 위한 조건과 직업적 준비, 태도 등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정책적 입장에서 효율적으로 일자리 창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생직업 개척자의 성취 요소를 규명한다. 이와 더불어 신생직업과 개척자의 특성, 직업 및 창업과 관련된 제도, 기존 제도상의 문제점과 개선점 등을 분석하려고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areer development of new occupation pioneers. 20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interviewing. Interviews were proceeded from May 2 to July 7, 2013.
  The single-session interview process took approximately 240 minutes for each interviewee. With prior consent, each interview was recorde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after transcription. NVivo program was used, because of its strength for searching of interview data, coding, and generating or modifying nodes and tree structure between concepts. 
Among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ase study was adopted for research. Case study is a research method to attempt in-depth analysis of one or more cases. The research method of grounded theory was also partly utilized for analyzing data. ...
<표 1-1> 질적 연구방법에 관한 워크숍	7
<표 2-1> 신생직업의 정의	12
<표 2-2> 한국고용정보원의 신생직업 연구 시리즈	15
<표 2-3> 경력 유형과 고용가능성에 대한 접근	18
<표 2-4> 경력경로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	24
<표 2-5> 전문성 형성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	27
<표 2-6> 신생직업 개척자의 경력개발에 관한 주요 면담 문항	33
<표 2-7> 선정된 신생직업 목록	38
<표 2-8> 신생직업의 직업개요	40
<표 2-9> 신생직업의 직업개요	41
<표 3-1> 연구 참여자의 프로필	48
<표 3-2> 개념화 및 범주화 작업 	50
<표 3-3> 신생직업 선택의 개인별 주요 계기	67
<표 5-1> 현상을 설명하는 (하위)범주의 속성과 차원	170
<표 5-2> 인과적 조건을 설명하는 (하위)범주의 속성과 차원	171
<표 5-3> 행위/상호작용을 설명하는 (하위)범주의 속성과 차원	172
<표 5-4> 결과를 설명하는 (하위)범주의 속성과 차원	173
<표 5-5> 맥락적 조건을 설명하는 (하위)범주의 속성과 차원	174
<표 5-6> 중재적 조건을 설명하는 (하위)범주의 속성과 차원	174
<표 5-7> 신생직업 개척자의 경력개발 유형	179
<표 5-8> 모험지향형의 커리어 경로	180
<표 5-9> 자기주도형의 커리어 경로	180
<표 5-10> 기회추구형의 커리어 경로	181
<표 5-11> 직무전문화형의 커리어 경로	182
<표 6-1> 신생직업 개척자들이 활용한 정부정책	185
<표 6-2> 신생직업 개척자들이 본 정부정책의 한계	192
<표 6-3> 유비쿼터스 시대를 이끄는 IT 직업의 확산	198
<표 6-4> 창의적 아이디어를 대기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정부의 정책	204
<표 6-5> 정부부처의 대변인실 인력 구성 예시	213
[그림 2-1] 신생직업의 개념	13
[그림 2-2] 신생직업을 출현시키는 트렌드	16
[그림 2-3] 프로틴 경력 지향성의 발달 프로세스 모델	28
[그림 2-4] 면담 및 자료분석 과정	32
[그림 5-1]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패러다임 모형	169
[그림 5-2] 신생직업 개척자의 경력개발에 관한 패러다임 모형	176
[그림 6-1] 전공계열별 대학생의 영역별 핵심역량 격차	21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신생직업 개척자의 경력개발에 관한 연구 2013.01.01~201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