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등단계 학부모진로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Strateg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Parents’ Career Education
- 저자
- 조희경 장석민 이용순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3-2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3.10.31
- 등록일
- 2014.01.17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6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8 제4절 용어의 정의 12 제2장 학부모진로교육 관련 문헌 분석_15 제1절 학부모교육에 대한 문헌 분석 17 제2절 학부모진로교육에 대한 문헌 분석 26 제3절 소결 34 제3장 학부모진로교육 관련 정책 및 추진 현황 분석_37 제1절 교육부 정책 39 제2절 17개 시․도 교육청 추진 현황 53 제4장 학부모진로교육 관련 기관 및 단체의 설문조사 결과 분석_85 제1절 조사 및 분석 방법 87 제2절 학부모진로교육 현황 90 제3절 학부모진로교육의 문제점 및 요구 사항 98 제4절 소결 102 제5장 학부모의 진로교육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_105 제1절 조사 및 분석 방법 107 제2절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기대 수준 116 제3절 학부모진로교육 참여 현황 146 제4절 학부모진로교육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 167 제5절 학부모진로교육 개선 방안 184 제6절 소결 192 제6장 학부모진로교육 심층면접 결과 분석_195 제1절 조사 및 분석 방법 197 제2절 학부모 대상 심층면접 201 제3절 학부모진로교육 관계자 대상 심층면접 215 제4절 소결 242 제7장 조사 결과의 요약 및 개선 방안_245 제1절 조사 결과의 요약 248 제2절 학부모진로교육 개선 방안 252 제3절 시행 주체별 추진 방안 263 SUMMARY_267 참고문헌_275 부 록_283
본 연구는 자녀 진로지도를 위한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지역별로 교육의 직접 대상자인 학부모들의 구체적인 학부모진로교육에의 요구 수렴과 함께 학부모진로교육을 제공하는 학교, 지역 및 시·도 교육청, 그리고 기관 및 단체 등의 현황을 조사하여, 이를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실효성 있는 학부모진로교육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 결과는 2013년 이후 새로운 정부의 학부모정책 방향인 학부모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강화를 추진하는 데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교육청 및 단위학교 수준에서의 학부모 지원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2013, to support the dreams and capitalize on the talents of the students in educational practice, the Park Geun-heye government implemented a personalized career plan program.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MoE) supports the policy, which strengthens customized education as a major polic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al inpu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is policy, parents career education should be studied and improved since parents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all aspects of their children’s career guidance and education. In particular, cohesive support system, which links schools, home, and community, is required. Thus, data collections is need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as well as MoE policy and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17 city and provincial departments of education. Therefor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and problem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for children’s career guidance and identify ways to improve the same.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parents’ career education management plan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parents and the statuses of the school, district, department of education, parents groups, and community education organizations that provide parents with parents’ care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directly by the central government to establish a career education policies as well as providing basic data to inform parents’ support policies at the MoE and school level. ...
<표 1-1>우편조사와 웹 조사의 장단점 9 <표 2-1>학부모교육 이론 20 <표 2-2>학부모진로교육 현황 분석 선행 연구 33 <표 3-1> 연도별 학부모 정책의 방향과 추진 배경 및 과제 42 <표 3-2>연도별 학부모교육 및 학부모진로교육 정책 43 <표 3-3>연도별 학부모교육 정책 성과 44 <표 3-4>시․도별 학부모지원센터 수 46 <표 3-5>학부모교육 정책 성과:학부모교육 수강기관과참여인원의 변화 47 <표 3-6>2013년 학부모지원 정책 추진 과제 50 <표 3-7>학부모진로교육 정책의 두 가지 접근 54 <표 3-8>학부모 대상 진로․진학 교육 및 상담 운영 현황 56 <표 3-9>시․도 교육청 학부모진로교육 연수 프로그램 현황 58 <표 3-10>학부모진로교육 아카데미와학부모 진로(커리어)코치 62 <표 3-11>시․도 교육청별 학부모진로교육 운영상 문제점과개선 방안 78 <표 4-1>기관 및 단체 대상 설문 구성 88 <표 4-2>기관 및 단체 응답자 특성 88 <표 4-3>소재지 규모별 학부모교육 중 학부모진로교육 비율 90 <표 4-4>학부모진로교육 결정 및 제공 방식(주관식) 91 <표 4-5>학부모진로교육 운영 횟수(1년 기준) 92 <표 4-6>소재지 규모별 학부모진로교육 운영 횟수(1년 기준) 92 <표 4-7>학부모진로교육 시행 횟수 93 <표 4-8>기관 및 단체 유형별 학부모진로교육 참여인원 93 <표 4-9>학부모진로교육 주요 내용 94 <표 4-10>소재지 규모별 학부모진로교육 프로그램자체 개발 여부 95 <표 4-11>소재지 규모별 무료 학부모진로교육 프로그램개발 연수 참여 의향 여부 95 <표 4-12>소재지 규모별 전문 기관으로부터의자료 제공 여부 96 <표 4-13>기관 및 단체 유형별 전문 기관으로부터의자료 제공 여부 96 <표 4-14>소재지 규모별 전문 기관으로부터의추가 교육자료 받을 의향 여부 97 <표 4-15>소재지 규모별 예산지원 필요 여부 98 <표 4-16>학부모진로교육 운영상 애로사항 99 <표 4-17>학부모진로교육 운영상 문제점 및 어려움(주관식) 100 <표 4-18>소재지 규모별 지원 요구 사항 101 <표 4-19>학부모진로교육의 질적 발전을 위한 의견(주관식) 101 <표 5-1>학부모 대상 설문 구성 108 <표 5-2>17개 시․도 교육청 연구자문위원 명단 110 <표 5-3>우편 및 웹 설문조사 표본 수 111 <표 5-4>학부모 응답자 특성 114 <표 5-5>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직업선택에 대한학부모의 진로관 평균 117 <표 5-6>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성역할에 대한학부모의 진로관 평균 118 <표 5-7>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직업가치에 대한학부모의 진로관 평균 120 <표 5-8>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직업존엄에 대한학부모의 진로관 평균 121 <표 5-9>지역별 진로교육과 교육정책에 대한 만족도 123 <표 5-10>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진로교육과교육정책에 대한 만족도 124 <표 5-11>진로 정보의 인지 경로 125 <표 5-12>지역 규모별 진로 정보의 인지 경로 126 <표 5-13>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진로 정보의 인지 경로 127 <표 5-14>지역 규모별 진로지도 시 어려운 점 평균 128 <표 5-15>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진로지도 시 어려운 점 평균 129 <표 5-16>지역 규모별 학부모진로교육의 도움 정도 130 <표 5-17>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학부모진로교육의 도움 정도 131 <표 5-18>선호하는 학부모진로교육 실시 요일 132 <표 5-19>지역별 선호하는 학부모진로교육 실시 요일 133 <표 5-20>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선호하는학부모진로교육 실시 요일 134 <표 5-21>선호하는 학부모진로교육 운영 시간대 135 <표 5-22>지역별 선호하는 학부모진로교육 운영 시간대 136 <표 5-23>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선호하는학부모진로교육 운영 시간대 137 <표 5-24>선호하는 학부모진로교육 연간 횟수 138 <표 5-25>지역별 선호하는 학부모진로교육 연간 횟수 139 <표 5-26>선호하는 학부모진로교육 1회 진행시간 140 <표 5-27>지역별 선호하는 학부모진로교육 1회 진행시간 141 <표 5-28>선호하는 학부모진로교육 강사 142 <표 5-29>지역별 선호하는 학부모진로교육 강사 142 <표 5-30>지역 규모별 학부모진로교육 방법에 대한적합도 평균 144 <표 5-31>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학부모진로교육 방법에 대한적합도 평균 145 <표 5-32>학교 진로교육 참여 방식 146 <표 5-33>지역 규모별 학교 진로교육 참여 방식 147 <표 5-34>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학교 진로교육 참여 방식 147 <표 5-35>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학교 행사나학부모교육에서의 학부모진로교육 비중 149 <표 5-36>최근 2년간 학부모진로교육 참여 기회 여부 150 <표 5-37>지역 규모별 최근 2년간 학부모진로교육참여 기회 여부 150 <표 5-38>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최근 2년간 학부모진로교육참여 기회 여부 151 <표 5-39>지역 규모별 최근 2년간 학부모진로교육참여 기회 횟수 152 <표 5-40>최근 2년간 학부모진로교육 인지 경로 153 <표 5-41>지역 규모별 최근 2년간 학부모진로교육 인지 경로 154 <표 5-42>최근 2년간 학부모진로교육 참여 경험 여부 154 <표 5-43>지역별 최근 2년간 학부모진로교육 참여 경험 여부 155 <표 5-44>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최근 2년간학부모진로교육 참여 경험 여부 156 <표 5-45>주최 기관 유형별 학부모진로교육 참여 경험 횟수 157 <표 5-46>지역 및 주최 기관 유형별 학부모진로교육참여 경험 횟수 평균 158 <표 5-47>학부모진로교육 참여 동기 159 <표 5-48>지역별 학부모진로교육 참여 동기 160 <표 5-49>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학부모진로교육 참여 동기 161 <표 5-50>최근 2년간 학부모진로교육 미참여 이유 162 <표 5-51>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최근 2년간학부모진로교육 미참여 이유 163 <표 5-52>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학부모진로교육내용에 대한 도움 정도 평균 164 <표 5-53>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학부모진로교육내용에 대한 희망 정도 평균 166 <표 5-54>지역별 학부모진로교육 만족도 평균 167 <표 5-55>지역별 학부모진로교육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169 <표 5-56>학부모진로교육을 통해 받은 도움 170 <표 5-57>지역 규모별 학부모진로교육을 통해 받은 도움 171 <표 5-58>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학부모진로교육을 통해받은 도움 172 <표 5-59>학부모진로교육 불만족 이유 173 <표 5-60>지역 규모별 학부모진로교육 불만족 이유 174 <표 5-61>학부모진로교육 아카데미 참여 경험 여부 174 <표 5-62>지역별 학부모진로교육 아카데미에 대한 만족도 175 <표 5-63>지역별 학부모진로교육 아카데미로부터의 도움 정도 176 <표 5-64>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학부모진로교육아카데미로부터의 도움 정도 177 <표 5-65>지역 규모별 학부모진로교육 아카데미 내용에 대한필요도 평균 178 <표 5-66>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학부모진로교육 아카데미 내용에대한 필요도 평균 179 <표 5-67>학부모 진로코치 참여 기회 여부 180 <표 5-68>지역 규모별 학부모 진로코치 참여 기회 여부 180 <표 5-69>학부모 진로코치 참여 의향 여부 181 <표 5-70>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학부모 진로코치참여 의향 여부 182 <표 5-71>효과적인 학부모 진로코치 방법 182 <표 5-72>학교 급 및 학교 유형별 효과적인 학부모 진로코치 방법:진로 상담 및 검사 183 <표 5-73>바람직한 학부모진로교육 운영기관 184 <표 5-74>지역별 바람직한 학부모진로교육 운영기관 185 <표 5-75>일부 프로그램 참여 의무화에 대한 의견 186 <표 5-76>일부 프로그램 참여 의무화 시 적절한 운영 횟수 187 <표 5-77>지역별 일부 프로그램 참여 의무화 시적절한 운영 횟수 187 <표 5-78>일부 프로그램 참여 의무화 반대 이유(주관식) 188 <표 5-79>학부모진로교육(연수) 참여도를 높이는 방안적합도 평균 189 <표 5-80>학부모진로교육(연수) 참여도를 높이는 방안(주관식) 190 <표 5-81>학부모진로교육의 질적 발전을 위한 방안(주관식) 191 <표 6-1>학부모 면담대상자 특성 및 면담일자 198 <표 6-2>학부모 대상 면담 구성 198 <표 6-3>기관 및 단체 면담대상자 특성 및 면담일자 199 <표 6-4>기관 및 단체 대상 면담 구성 200 <표 6-5>S중학교 학부모진로교육 216 [그림 1-1] 연구의 방법 및 절차 11 [그림 2-1] 부모인 ‘나’의 정체성 18 [그림 2-2] 학부모교육 정도․기간에 따른 자녀의 성취도 23 [그림 2-3] 학부모진로교육의 범주 27 [그림 2-4] 학부모교육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관한개념모형 31 [그림 3-1] 누리집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학부모e교육 자료의 범주 48 [그림 3-2] 학부모지원 정책 추진 체계 53 [그림 7-1] 학부모진로교육 예산 지원 체계 256 [그림 7-2] 학부모진로교육 제공 기관 및 단체 확대 방안 258 [그림 7-3] 학부모진로교육 프로그램 실시 과정 260 [그림 7-4] 학부모진로교육 운영 매뉴얼 개발 및 보급 내용 262 [그림 7-5] 시행 주체별 추진 방안 26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초·중등단계 학부모 진로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2013.01.01~2013.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