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직업교육기관의 산학협력 연결망 실태와 과제
A Study on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Network of Uppe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 저자
- 최수정 장명희 허영준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3-1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3.10.31
- 등록일
- 2014.01.17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7 제3절 연구 방법 10 제4절 용어의 정의 27 제5절 연구의 제한 29 제2장 산학협력 연결망의 이론적 배경_31 제1절 산학협력의 개념 및 이론 33 제2절 산학협력 관련 법령 및 지원 정책 43 제3절 연결망 관점의 산학협력 관계 73 제4절 산학협력 연결망의 개념적 틀 도출 87 제3장 산학협력 연결망의 표층부 분석: 현장실습 연결망을 중심으로_95 제1절 자료의 일반적 특성 97 제2절 현장실습 연결망 특성 및 분포 106 제3절 학교 계열별 현장실습 연결망 구조 122 제4절 종합 및 시사점 150 제4장 산학협력 연결망의 심층부 분석: 뿌리내린 산학협력 관계를 중심으로_153 제1절 자료의 일반적 특성 155 제2절 산학협력 연결망 구조 178 제3절 종합 및 시사점 206 제5장 산학협력 관계 형성의 사례분석_211 제1절 학교 특성 및 산학협력 인프라 213 제2절 초기 접촉 과정 219 제3절 산학협력 관계의 형성 과정 227 제4절 산학협력 관계의 강화 및 소멸 과정 236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_243 제1절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개선과제 245 제2절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 255 SUMMARY_267 참고문헌_271 부 록_275 1. 설문지 양식 277
본 연구는 중등직업교육기관의 산학협력을 학교와 기업이라는 서로 다른 주체들이 각 목적과 이해관계를 기반으로 관계를 맺는 일종의 연결망(network)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산학협력의 연결망에 집중한 접근은 거시적인 수준에서의 연결망 형태와 기능에 대한 분석을 가능케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접근은 기존의 산학협력에 대한 미시적인 접근(단위학교와 단위기업간의 협력관계)과 거시적인 접근을 통합하고 연결하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구체적으로는 중등직업교육기관의 산학협력 연결망의 구조 및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교 및 기업의 효과적인 산학협력 체제를 제안하고, 지역 및 국가 수준의 산학협력 지원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n terms of uppe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Generally vocational school need strong partnership with industry for many reasons - structuring curriculum, doing cooperative education, and school to work transition. However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vocational highschool had limits. Many schools have been seeking out the business themselves, and only have weak relationship with business. The study consists of four three parts: First, we would analyze the surface layer of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network in terms of the job placements relationships. Second, we would analyze the deep layer of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network focused on Incheon and Chungnam region. Third, we would pick out the representatives cases among the Inchoen and Chungnam region. The cases might show process of relationship building and mechanisms forming a long term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표 1-1> 기업자료 클리닝 과정 및 지침 12 <표 1-2> 중소기업 범위(종사자 수 기준) 14 <표 1-3> 중소기업 재분류 방법 14 <표 1-4> 자료구축 단계별 사례 수 변화 15 <표 1-5> 현장실습 파견기업의 규모 분포 18 <표 1-6> 지역별 현장실습생 흡수 현황 19 <표 1-7> 산학협력 형성과정에 관한 조사내용 21 <표 1-8> 산학협력 교환관계에 관한 조사내용 22 <표 1-9> 조사 개요 23 <표 1-10> FGI 및 사례분석 대상 추출 준거 25 <표 2-1> 주체별 산학협력 내용 37 <표 2-2>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주체별 역할 40 <표 2-3> 직업교육훈련 촉진법 및 동법 시행령의 산학협력 관련 조항 44 <표 2-4>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의 산학협력 관련 조항 48 <표 2-5> 인적자원개발 기본법의 산학협력 관련 조항 50 <표 2-6>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의 산학협력 관련 조항 53 <표 2-7> 산업기술혁신 촉진법의 산학협력 관련 조항 55 <표 2-8>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의 산학협력 관련 조항 56 <표 2-9> 산학협력 관련 법령 종합 57 <표 2-10>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의 중점과제 58 <표 2-11>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의 산학협력 관련 내용 59 <표 2-12> 「교육 희망사다리 구축 프로젝트」 세부 사업 60 <표 2-13> 현장체험․현장실습 선도학교 운영 61 <표 2-14> 「학업․취업 병행 교육체제 구축 방안」의 추진과제 62 <표 2-15> 「학업․취업 병행 교육체제 구축 방안」의 산학협력 관련 내용 63 <표 2-16> 「공생발전을 위한 열린 고용사회 구현방안」의 추진과제 64 <표 2-17> 「공생발전을 위한 열린 고용사회 구현방안」의 산학협력 관련 내용 64 <표 2-18> 「고졸시대 정착을 위한 선취업 후진학 및 열린고용 강화 방안」의 추진과제 65 <표 2-19> 「고졸시대 정착을 위한 선취업 후진학 및 열린고용 강화 방안」의 산학협력 관련 내용 66 <표 2-20> 일․학습 듀얼시스템 운영 방식 70 <표 2-21> 일․학습 듀얼시스템의 참여기업 및 견습생 지원사항(안) 71 <표 2-22> 고교단계 산학협력 관련 주요 정책 동향(종합) 72 <표 2-23> 특성화고 산학협력 운영 내용 81 <표 2-24> 마이스터고 산학협력 운영 내용(학교 중심) 82 <표 2-25> 김기홍 외(2012)에서의 산학협력 내용 83 <표 2-26> 고등단계 산학협력 운영 내용 84 <표 2-27> 네트워크에서 여섯 가지 협력관계의 측정 86 <표 2-28> 장애인 고용 네트워크 협력단계 구분 및 내용 87 <표 2-29> 산학협력을 위한 초기 접촉 경로 93 <표 2-30> 산학협력 관계 형성의 메커니즘 94 <표 2-31> 산학협력 관계 강화/소멸의 메커니즘 94 <표 3-1> 학교소재지 현황 98 <표 3-2> 학교유형 현황 99 <표 3-2> 학교계열 현황 99 <표 3-4> 학교특성별 취업률 현황 100 <표 3-5> 학교특성별 취업률 현황(4분위별) 101 <표 3-6> 현장실습 파견 기업 소재지 현황 102 <표 3-7> 기업규모 현황 103 <표 3-8> 업종별 기업 분포 103 <표 3-9> 규모 및 소재지별 기업 분포 104 <표 3-10> 규모 및 업종별 기업 분포 105 <표 3-11> 현장실습 파견 기업 우수기업 지표 현황 106 <표 3-12> 학교-기업간 연결선 분포 현황 108 <표 3-13> 학교 특성별 학교-기업 연결선 109 <표 3-14> 기업 특성별 기업-학교 연결선 110 <표 3-15> 업종별 평균 연결 학교 수 111 <표 3-16> 시도간 학교-기업 연결 분포 113 <표 3-17> 학교계열-기업업종 교차표 117 <표 3-18> 학교 특성-기업 규모 간 교차분석 121 <표 3-19> 마이스터고 산학협력 연결망 위상 상위 5개 노드 126 <표 3-20> 마이스터고 상위 노드(학교) 주요 특성 127 <표 3-21> 마이스터고 상위 노드(기업) 주요 특성 127 <표 3-22> 마이스터고의 현장실습 파견 학생 수별 연결망 지표 130 <표 3-23> 특성화고(공업계열) 현장실습 연결망 위상 상위 5개 노드 132 <표 3-24> 특성화고(공업계열) 상위 노드(학교) 주요 특성 132 <표 3-25> 특성화고(공업계열) 상위 노드(기업) 주요 특성 132 <표 3-26> 특성화고(공업계열)의 현장실습 파견 학생 수별 연결망 지표 136 <표 3-27> 특성화고(상업계열) 현장실습 연결망 위상 상위 5개 노드 139 <표 3-28> 특성화고(상업계열) 상위 노드(학교) 주요 특성 139 <표 3-29> 특성화고(상업계열) 상위 노드(기업) 주요 특성 139 <표 3-30> 특성화고(상업계열)의 현장실습 파견 학생 수별 연결망 지표 142 <표 3-31> 특성화고(가사․실업계열) 현장실습 연결망 위상 상위 5개 노드 144 <표 3-32> 특성화고(가사․실업계열) 상위 노드(학교) 주요 특성 144 <표 3-33> 특성화고(가사․실업계열) 상위 노드(기업) 주요 특성 144 <표 3-34> 특성화고(농생명산업계열) 현장실습 연결망 위상 상위 5개 노드 146 <표 3-35> 특성화고(농생명산업계열) 상위 노드(학교) 주요 특성 147 <표 3-36> 특성화고(농생명산업계열) 상위 노드(기업) 주요 특성 147 <표 3-37> 특성화고(수산․해운계열) 현장실습 연결망 위상 상위 5개 노드 149 <표 3-38> 특성화고(수산․해운계열) 상위 노드(학교) 주요 특성 149 <표 3-39> 특성화고(수산․해운계열) 상위 노드(기업) 주요 특성 149 <표 4-1> 인천․충남지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계열 분포 156 <표 4-2> 인천․충남지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분포 156 <표 4-3> 인천․충남지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산학협력 기업 지역 분포 157 <표 4-4> 인천․충남지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산학협력 기업 규모 분포 157 <표 4-5> 인천․충남지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산학협력 기업 업종별 분포 158 <표 4-6> 학교 특성별 평균 연결 수 159 <표 4-7> 기업 특성별 평균 학교 연결 수 160 <표 4-8> 기업 업종별 평균 학교 연결 수 161 <표 4-9> 학교 소재지별 기업 규모 현황 162 <표 4-10> 학교 소재지별 기업 소재지 현황 162 <표 4-11> 학교소재지별 기업 업종 현황 163 <표 4-12> 학교유형별 기업규모 현황 164 <표 4-13> 학교유형별 기업소재지 현황 165 <표 4-14> 기업 업종별 평균 학교 연결 수 166 <표 4-15> 학교계열별 기업규모 현황 167 <표 4-16> 학교계열별 기업소재지 현황 168 <표 4-17> 학교 계열별 기업 업종 현황 169 <표 4-18> 산학협력기업 초기 접촉 경로(전체) 170 <표 4-19> 산학협력기업 초기 접촉 경로 (기업규모별) 171 <표 4-20> 산학협력 교환의 내용(학교→기업) 172 <표 4-21> 산학협력 교환의 빈도(학교→기업) 173 <표 4-22> 산학협력 교환의 내용(기업→학교) 174 <표 4-23> 산학협력 교환의 빈도(기업→학교) 176 <표 4-24> 산학협력 연락의 빈도(학교→기업) 176 <표 4-25> 산학협력 연락의 빈도(기업→학교) 177 <표 4-26> 산학협력의 주관적 강도 177 <표 4-27> 인천지역 학교별 연결망 지표 (상위 5개 노드) 181 <표 4-28> 인천지역 학교별 연결망 지표 (하위 5개 노드) 181 <표 4-29> 충남지역 학교별 연결망 지표 (상위 5개 노드) 185 <표 4-30> 충남지역 학교별 연결망 지표 (하위 5개 노드) 185 <표 4-31> 인천지역 연결강도별 연결망 구조 191 <표 4-32> 충남지역 연결강도별 연결망 구조 193 <표 4-33> 인천지역 산학협력 관계형성 과정별 연결망 구조 196 <표 4-34> 충남지역 산학협력 관계형성 과정별 연결망 구조 197 <표 4-35> 인천지역 산학협력 기간별 연결망 구조 198 <표 4-36> 충남지역 산학협력 기간별 연결망 구조 199 <표 5-1> 인천․충남지역 학교들의 산학협력 기업의 범위 인식 215 <표 5-2> 인천․충남지역 학교들의 산학협력 전담조직 구성 및 운영 219 <표 5-3> 인천․충남지역 학교들의 산학협력 기업 접촉 경로 223 <표 5-4> 인천․충남지역 학교들의 산학협력 기업 접촉 목적 225 <표 5-5> 인천․충남지역 학교들의 기업 접촉 경로 227 <표 5-6> 인천․충남지역 학교들의 산학협력 관계 형성 과정 229 <표 5-7> 인천․충남지역 학교들의 산학협력 관계 형성 과정 232 <표 5-8> 인천․충남지역 학교들의 산학협력 기업의 질 관리 235 <표 5-9> 인천․충남지역 학교들의 산학협력 교환 내용, 빈도 및 강도 239 <표 5-10> 인천․충남지역 학교들의 산학협력 관계의 강화 메커니즘 242 <표 6-1> 산학협력 연결망의 네트워크적 속성 250 [그림 1-1] 산학협력 연결망의 개념적 틀과 연구모형 9 [그림 1-2] 2차 자료 가공 및 분석 절차 11 [그림 2-1] 목적에 따른 산학협력의 유형 36 [그림 2-2] 주체에 따른 산학협력의 유형 38 [그림 2-3] 한국형 일․학습 듀얼시스템 운영 절차 69 [그림 2-4] 산학협력의 연결망적 특성 74 [그림 2-5] 산학협력 인적 네트워크 유형 78 [그림 2-6] 산학협력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 메커니즘 79 [그림 2-7] 산학협력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 단계 79 [그림 2-8] 산학협력 네트워크 형성 및 소멸의 과정 80 [그림 2-9] 네트워크 협력관계에 따른 협력 연속체 85 [그림 2-10] 중등단계 산학협력의 교환의 내용 및 방향 89 [그림 2-11] 산학협력 관계의 고착성/공식성과 표층부/심층부의 관계 92 [그림 3-1] 학교-기업 연결선의 개념 107 [그림 3-2] 파견학생-기업의 연결선 밀도 분포 107 [그림 3-3] 학교 소재지-기업 소재지 간 대응분석 결과(전체) 114 [그림 3-4] 학교 소재지-기업 소재지 간 대응분석 결과(제주 제외) 115 [그림 3-5] 학교 계열-기업 업종 간 대응분석 결과(전체) 118 [그림 3-6] 학교 계열-기업 업종 간 대응분석 결과(일부 계열/업종제외) 119 [그림 3-7] 마이스터고 현장실습 연결망 구조(전체) 123 [그림 3-8] 마이스터고 현장실습 파견학생 수별 연결망 구조 128 [그림 3-9] 특성화고(공업계열) 현장실습 연결망 구조(전체) 131 [그림 3-10] 특성화고(공업계열) 현장실습 연결강도별 연결망 구조 134 [그림 3-11] 특성화고(상업계열) 현장실습 연결망 구조(전체) 137 [그림 3-12] 특성화고(상업계열) 현장실습 연결강도별 연결망 구조 140 [그림 3-13] 특성화고(가사・실업계열) 현장실습 연결망 구조(전체) 143 [그림 3-14] 특성화고(농생명산업계열) 현장실습 연결망 구조(전체) 145 [그림 3-15] 특성화고(수산․해운계열) 현장실습 연결망 구조(전체) 148 [그림 4-1] 인천지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산학협력 연결망(전체) 179 [그림 4-2] 인천지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산학협력 연결망(주변부 제거) 180 [그림 4-3] 충남지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산학협력 연결망(전체) 183 [그림 4-4] 충남지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산학협력 연결망(주변부 제거) 184 [그림 4-5] 학교지역-기업 지역별 연결망 187 [그림 4-6] 학교계열-기업 업종별 연결망(전체) 188 [그림 4-7] 학교 계열-기업 업종 간 대응분석 결과 189 [그림 4-8] 학교계열-기업 업종별 연결망(위: 인천, 아래: 충남) 190 [그림 4-9] 인천지역 학교 준 연결망 201 [그림 4-10] 충남지역 학교 준 연결망 202 [그림 4-11] 외부기관-학교 준연결망 구조 예시 204 [그림 4-12] 인천지역 학교-외부기관 준 연결망 205 [그림 4-13] 충남지역 학교-외부기관 준 연결망 206 [그림 6-1] 중등단계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주요 정책 과제 25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중등직업교육기관의 산학협력 연결망 실태와 과제 | 2013.01.01~2013.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