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장인의 경력성공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국제비교를 위한 기초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Korean Workers
저자
조희경 채창균 차종석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4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2.31
등록일
2014.01.20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7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8
제4절 용어의 정의	12
제2장 경력성공 개념 및 관련 문헌 분석_15
제1절 경력성공의 개념	17
제2절 경력성공 인식과 선행요인	26
제3절 경력성공 인식과 결과요인	39
제4절 소결	44
제3장 연구방법_47
제1절 연구모형 및 변수 정의	49
제2절 모집단 및 표본	56
제3절 조사 및 분석 방법	62
제4장 경력성공 개념 타당성 분석_67
제1절 경력성공 개념 타당도 분석	70
제2절 경력성공 개념 신뢰도 분석	82
제3절 경력성공 차원의 중요도와 성취 정도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86
제4절 소결	88
제5장 경력성공 인식과 선행요인 간의 관계 분석_91
제1절 사회․인구학적 요인	93
제2절 인적자본 요인	104
제3절 구조적 요인	110
제4절 행동요인	114
제5절 소결	118
제6장 경력성공 인식과 결과요인 간의 관계 분석_121
제1절 삶의 만족 및 업무몰입과의 관계	123
제2절 고용가능성과의 관계	137
제3절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144
제4절 소결	156
제7장 결론 및 정책방안_159
제1절 결론	161
제2절 시사점 및 정책방안	164
SUMMARY_173
참고문헌_189
부  록_205
1. 영문 설문지	207
2. 국문 번역 설문지	220
  본 연구는 한국형 경력성공에 대한 개념 정의를 통해 한국 직장인들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 차이를 성별, 세대별, 직종별로 규명하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 및 관련요인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한국 직장인들의 ‘경력성공’ 인식에 차이를 가져오는 선행요인(antecedent)은 무엇이며, ‘경력성공’의 세부 차원들이 어떤 결과요인(outcome)들과 연관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 향후 5C project의 국제연구 결과가 발표되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총체적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 결과는 취업 대상자들의 직업선택 및 직장인들의 경력상담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아울러 정부의 인적자원개발 및 경력개발 프로그램을 위해 필요한 정책들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직장인들은 경력성공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둘째, 성별, 세대별, 직종별로 경력성공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있다면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경력성공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넷째, 경력성공 인식이 ‘개인의 행복’과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fferences in Korean office workers’ cognition in each sex, generation, and job type through defining the Korean concept of career success. By researching Korean office workers’ cognition of career success and the relevant factors, we aim to determine what causes the differences in Korean office workers’ cognition of ‘career success’, and also what result variables are related to sub-factors of ‘career suc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suggesting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job seekers’ job selection and office workers’ career counseling. Futhermor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govern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s. ...
<표 2-1> 선행 연구에 제시된 경력성공 개념 및 내용	18
<표 2-2> 객관적·주관적 경력성과의 내용	21
<표 2-3> 경력성공 개념에 대한 인식: 국가별 비율(단위: %)	23
<표 2-4> 경력성공 인식 선행요인	27
<표 2-5> 국가별 연령집단에 따른 경력성공 내용	31
<표 3-1> 직종별 쿼터 및 표본 수	57
<표 3-2> 모집단 및 표본 수	59
<표 3-3> 최종 설문 구조 및 내용	63
<표 3-4> 설문조사 표본 수	64
<표 3-5> 응답자 특성	65
<표 4-1> 중요도 설문문항	70
<표 4-2> 중요도 설문문항의 기초 통계 분석	72
<표 4-3> KMO의 표본 적절성 측정과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74
<표 4-4> 경력성공 개념 요인분석 결과	75
<표 4-5> 요인분석 결과 내용	78
<표 4-6> 요인분석 결과의 요약	80
<표 4-7> 요인1(안정적인 삶)에 대한 신뢰도 분석	83
<표 4-8> 요인2(자아실현)에 대한 신뢰도 분석	84
<표 4-9> 요인3(부와 명예)에 대한 신뢰도 분석	85
<표 4-10> 요인4(평생직장)에 대한 신뢰도 분석	85
<표 4-11> 요인5(개인사업)에 대한 신뢰도 분석	86
<표 4-12> 경력성공 중요도과 성취 정도	87
<표 5-1> 성별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94
<표 5-2> 세대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95
<표 5-3> 세대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남성)	96
<표 5-4> 세대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여성)	96
<표 5-5> 건강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97
<표 5-6> 배우자의 취업 여부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98
<표 5-7> 배우자의 취업 여부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남성)	99
<표 5-8> 배우자의 취업 여부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여성)	100
<표 5-9> 부친의 최종 학력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01
<표 5-10> 모친의 최종 학력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01
<표 5-11> 부친의 직종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02
<표 5-12> 모친의 직종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03
<표 5-13> 최종 학력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05
<표 5-14> 고용형태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06
<표 5-15> 직장 근무기간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07
<표 5-16> 직종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08
<표 5-17> 연봉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09
<표 5-18> 성격과 경력성공 인식의 관계(correlation analysis)	110
<표 5-19> 조직규모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11
<표 5-20> 조직형태(성격)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12
<표 5-21> 조직형태(본사ㆍ지사)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13
<표 5-22> 상사의 지원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13
<표 5-23> 조직의 지원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14
<표 5-24> 경력계획 행동에 따른 경력성공 인식의 차이	115
<표 5-25> 선행요인과 경력성공 인식의 관계	116
<표 6-1> 삶의 만족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24
<표 6-2> 성별 삶의 만족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26
<표 6-3> 세대별 삶의 만족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28
<표 6-4> 직종별 삶의 만족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30
<표 6-5> 업무몰입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31
<표 6-6> 성별 업무몰입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33
<표 6-7> 세대별 업무몰입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35
<표 6-8> 직종별 업무몰입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36
<표 6-9> 고용가능성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38
<표 6-10> 성별 고용가능성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40
<표 6-11> 세대별 고용가능성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41
<표 6-12> 직종별 고용가능성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43
<표 6-13> 조직몰입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45
<표 6-14> 성별 조직몰입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46
<표 6-15> 세대별 조직몰입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48
<표 6-16> 직종별 조직몰입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50
<표 6-17> 이직의도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51
<표 6-18> 성별 이직의도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52
<표 6-19> 세대별 이직의도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54
<표 6-20> 직종별 이직의도에 대한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155
[그림 1-1] 연구 추진 전략 및 절차	11
[그림 2-1] 경력성공의 주요 개념 및 차원	25
[그림 2-2] 경력성공의 다섯 가지 선행요인	29
[그림 2-3] 시간에 따라 인식하는 객관적·주관적 경력성공 수준 변화 추이	32
[그림 2-4] 조직형태와 경력성공	36
[그림 2-5] 경력성공에 미치는 주도적 행동의 영향	38
[그림 2-6] 상사의 지원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	41
[그림 2-7] 이직의도에 대한 직무만족의 영향	43
[그림 3-1] 연구모형	4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직장인의 경력성공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국제비교를 위한 기초 연구- 2013.08.01~201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