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조사(2013)
A Survey on Doctoral Degree Holders(2013)
- 저자
- 송창용 황성수 이은혜 손희전 신동준 황승록 김혜정 김호진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13-1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3.12.31
- 등록일
- 2014.01.22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박사조사
제1장 서론_1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3 제2절 사업의 주요 내용5 제2장 국내외 박사조사 사례_13 제1절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기존 박사조사15 제2절 KISTEP 이공계 인력 실태조사25 제3절 STEPI 박사인력활동조사28 제4절 국외 조사 사례30 제5절 박사조사(2013)와 타 조사와의 차별점33 제3장 실사 및 DB 구축_37 제1절 조사 설계39 제2절 조사 준비 및 실사45 제3절 데이터 클리닝 및 DB 구축53 제4장 2차년도 사업성과_63 제1절 국가승인통계 취득65 제2절 자료 활용 및 언론보도67 제5장 박사조사(2013) 기초분석_71 제1절 조사 결과 개요73 제2절 박사학위 과정 및 연구 성과80 제3절 노동시장 이행 성과96 제4절 박사후과정(Post-doc) 및 시간강사115 제6장 향후 계획 및 정책 과제_125 제1절 3차년도 조사 준비127 제2절 정책 과제131 참고문헌_137 부 록_139 1. 박사조사(2013)에 대한 협조 공문141 2. 2013년도 박사조사 시행 계획(안)142 3. 박사조사(2013) 설문지146 4. 변수 레이아웃157 5. 국가승인통계취득 보도자료162 6. THE HRD Review 패널브리프165 7. KRIVET Issue Brief174
○ 박사급 고급 인적자원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 수집 및 제공 - 장기간에 걸친 전수조사로 박사의 양성-배분-활용에 대한 신뢰성 있고 시의 적절한 통계 데이터 생성 - 국가 고급인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최근 배출되는 국내 박사 인력에 대한 실태 분석 및 비교 - 성별, 지역별, 전공계열별 등으로 박사 인력 양성 및 공급 실태를 분석 - 국내 박사의 장기간 조사를 통해 박사 인력의 경제활동 상태 등을 분석
<표 2-1> ILO SWTS 조사영역 및 내용 구조 14 <표 2-2> EU LFS 조사 변인 구성 21 <표 2-3> NLSY의 영역 및 조사 내용 24 <표 2-4> Kim(2009)의 노동시장이행 성공요인 및 영향요인 구성 27 <표 2-5> Mobley(2001)의 노동시장이행 성과 주요 변인 28 <표 2-6>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의 주요 조사 내용 30 <표 2-7> 김안국 외(2001)의 대학생 노동시장이행 관련 조사 내용 31 <표 2-8> 임정연(2008)의 여대생의 노동시장이행 관련 조사내용 33 <표 2-9> 유현숙 외(2005)의 노동시장 이행 영향 요인 34 <표 2-10> 마이스터고 운영 현황 모니터링 영역 및 항목 40 <표 2-11> 마이스터고 조직진단 문항 개요 43 <표 2-12> 마이스터고 1차년도 운영점검 지표 46 <표 2-13> 마이스터고 2차년도 운영점검 지표 47 <표 2-14> 중간평가 세부 평가 지표 48 <표 2-15> 1차 조사 설문지 구성 53 <표 2-16> 2차 조사 설문지 구성 55 <표 2-17> 1차 조사 및 2차 조사 도구 비교 56 <표 3-1>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62 <표 3-2> 진로선택과정 63 <표 3-3> 직장 선택 시 중요한 요소 64 <표 3-4> 학교 교육 만족도 65 <표 3-5> 학교별 교육 만족도 66 <표 3-6> 기업의 규모에 따른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 68 <표 3-7> 월평균 임금에 따른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 68 <표 3-8> 학교 교육 개선점 69 <표 3-9> 업무 수행 유용도 70 <표 3-10> 학교별 업무 수행 유용도 71 <표 3-11> 기업의 규모에 따른 업무 수행 유용도 차이 72 <표 3-12> 월평균 임금에 따른 업무 수행 유용도 차이 72 <표 3-13>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일치도 73 <표 3-14> 기술(능력)과 업무내용의 일치도 74 <표 3-15>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만족도 75 <표 3-16> 직장에 대한 만족도 76 <표 3-17> 학교별 직장에 대한 만족도 77 <표 3-18> 기업의 규모에 따른 직장에 대한 만족도 차이 79 <표 3-19> 월평균 임금에 따른 직장에 대한 만족도 차이 79 <표 3-20> 군 입대 계획 80 <표 3-21> 제대 후 현 직장으로 돌아올 의향 81 <표 3-22> 이직 계획 81 <표 3-23> 기업의 규모에 따른 이직계획 분포 82 <표 3-24> 월평균 임금에 따른 이직계획 분포 83 <표 3-25> 이직 계획 이유 83 <표 3-26> 학위 취득 계획 84 <표 3-27> 학위 취득 계획 이유 85 <표 3-28> 창업 계획 85 <표 3-29> 창업 계획 이유 86 <표 3-30>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87 <표 3-31> 학교 교육 만족도 88 <표 3-32> 학교별 교육 만족도 88 <표 3-33> 기업의 규모에 따른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 89 <표 3-34> 기업의 연 매출액에 따른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 90 <표 3-35> 학교 교육의 질에 대한 인식 91 <표 3-36> 기업의 규모에 따른 학교 교육의 질에 대한 인식 차이 91 <표 3-37> 기업의 연 매출액에 따른 학교 교육의 질에 대한 인식 차이 92 <표 3-38> 학교 교육 개선점 93 <표 3-39>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일치도 95 <표 3-40>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일치도 96 <표 3-41>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만족도 97 <표 3-42> 마이스터고 졸업생이 갖추어야 할 능력 98 <표 3-43> 향후 채용 계획 99 <표 3-44> 채용 계획 이유 100 <표 3-45> 채용 미계획 이유 100 <표 4-1>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108 <표 4-2> 진로선택과정 110 <표 4-3> 학교 입학 결정 111 <표 4-4> 학교 교육 만족도 112 <표 4-5> 학교별 교육 만족도 113 <표 4-6> 기업의 규모에 따른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 114 <표 4-7> 월평균 임금에 따른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 115 <표 4-8> 업무 수행 유용도 117 <표 4-9> 학교별 업무 수행 유용도 118 <표 4-10> 기업의 규모에 따른 업무 수행 유용도 차이 119 <표 4-11> 월평균 임금에 따른 업무 수행 유용도 차이 120 <표 4-12>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일치도 122 <표 4-13>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만족도 123 <표 4-14> 직장에 대한 만족도 124 <표 4-15> 학교별 직장 만족도 125 <표 4-16> 기업의 규모에 따른 직장에 대한 만족도 차이 126 <표 4-17> 월평균 임금에 따른 직장에 대한 만족도 차이 128 <표 4-18> 군 입대 계획 132 <표 4-19> 제대 후 현 직장으로 돌아올 의향 133 <표 4-20> 현 직장 근무 계획 134 <표 4-21> 이직 계획 134 <표 4-22> 이직 계획 이유 135 <표 4-23> 기업의 규모에 따른 이직계획 분포 136 <표 4-24> 월평균 임금에 따른 이직계획 분포 136 <표 4-25> 학위 취득 계획 137 <표 4-26> 학위 취득 계획 이유 138 <표 4-27> 학위 취득을 고려하는 전공의 종류 138 <표 4-28> 학위 취득 방식 139 <표 4-29> 진학 대학의 유형 139 <표 4-30>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140 <표 4-31> 학교 교육 만족도 141 <표 4-32> 학교별 교육 만족도-전공이론 142 <표 4-33> 학교별 교육 만족도-전공실습 143 <표 4-34> 학교별 교육 만족도-기초학습능력 144 <표 4-35> 학교별 교육 만족도-인성 145 <표 4-36> 기업의 규모에 따른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 146 <표 4-37> 연 매출액에 따른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 147 <표 4-38> 학교 교육의 질에 대한 인식 148 <표 4-39> 기업의 규모에 따른 학교 교육의 질에 대한 인식 차이 149 <표 4-40> 기업의 연 매출액에 따른 학교 교육의 질에 대한 인식 차이 150 <표 4-41> 학교 교육 개선점 151 <표 4-42>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일치도 153 <표 4-43>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만족도 154 <표 4-44> 특성화고 졸업생 대비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역량 인식 결과(전공능력) 155 <표 4-45> 특성화고 졸업생 대비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역량 인식 결과(기초직업능력) 156 <표 4-46> 특성화고 졸업생 대비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역량 인식 결과(성실한 근무 태도) 157 <표 4-47> 특성화고 졸업생 대비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역량 인식 결과(대인관계) 158 <표 4-48> 전문대 졸업생 대비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역량 인식 결과(전공능력) 159 <표 4-49> 전문대 졸업생 대비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역량 인식 결과(기초직업능력) 160 <표 4-50> 전문대 졸업생 대비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역량 인식 결과(성실한 근무태도) 161 <표 4-51> 전문대 졸업생 대비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역량 인식 결과(대인관계) 162 <표 4-52>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발전 가능성 163 <표 4-53> 마이스터고 졸업생이 갖추어야 할 능력 163 <표 4-54> 향후 채용 계획 164 <표 4-55> 채용 계획 이유 165 <표 4-56> 채용 미계획 이유 166 <표 4-57>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적절한 군입대 시기에 대한 인식 166 <표 4-58> 졸업생의 경력개발 지원 167 [그림 1-1] 연구의 모형 8 [그림 2-1] OECD 국가 청소년들의 교육 및 근로 실태(2011) 19 [그림 2-2] 노동시장이행 통합 모델 26 [그림 2-3] 마이스터고 조직진단 모델 43 [그림 2-4] 마이스터고 노동시장 이행 성과의 개념적 틀 5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박사조사(2013) | 2013.01.01~2013.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