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연도별 연구 내용 6
<표 2-1> 숙련의 영역 16
<표 2-2> 숙련불일치와 관련된 용어 37
<표 2-3> 직무에서 발생하는 숙련의 결합 44
<표 3-1> 산업중분류 및 사업체 규모별 사업체수 현황 59
<표 3-2> 산업중분류 및 사업체 규모별 상시근로자수 현황 60
<표 3-3> 산업중분류별 부족인원 추정값 및 상대표준오차 현황 62
<표 3-4> 산업중분류별 중요도 63
<표 3-5> 표본배분 현황 66
<표 3-6> 모비율 추정에 대한 95% 신뢰수준 오차의 한계 67
<표 3-7> 각 산업중분류 및 사업체 규모별 표본사업체수 현황 68
<표 3-8> 각 산업중분류별 표본사업체 리스트 접촉 현황 70
<표 3-9> 각 산업중분류별 표본사업체 리스트 응답 현황 71
<표 3-10> 각 산업중분류 및 사업체 규모별 응답 사업체수 현황 73
<표 3-11> 근로자 조사를 위한 표본사업체 접촉 현황 74
<표 3-12> 근로자 조사를 위한 표본사업체 응답 현황 75
<표 3-13> 사업체 규모별 표본사업체 리스트 접촉 현황 76
<표 3-14> 사업체 규모별 표본사업체 리스트 응답 현황 76
<표 3-15> 각 산업중분류 및 사업체 규모별 응답 근로자수 현황 77
<표 3-16> 고용주조사의 주요 내용 81
<표 3-17> 근로자조사의 주요 내용 87
<표 3-18> 업종별 사업체수 현황 91
<표 3-19> 규모별 사업체수 현황 92
<표 3-20> 업종별 종업원수 현황 94
<표 3-21> 규모별 정규직 및 비정규직 현황 95
<표 3-22> 직종별 정규직 및 비정규직 현황 96
<표 3-23> 업종별 신규채용인원 현황 97
<표 3-24> 규모별 신규채용인원 및 종업원수 현황 98
<표 3-25> 직종별 신규채용인원 및 종업원수 현황 99
<표 3-26> 업종별 공석수 현황 101
<표 3-27> 규모별 공석수 현황 102
<표 3-28> 직종별 공석수 현황 103
<표 3-29> 업종별 충원이 어려운 사업체 현황 104
<표 3-30> 규모별 충원이 어려운 사업체 수 및 비중 105
<표 3-31> 직종별 충원이 어려운 사업체 현황 106
<표 3-32> 업종별 충원이 어려운 공석수 현황 107
<표 3-33> 규모별 충원이 어려운 공석수 현황 108
<표 3-34> 직종별 충원이 어려운 공석수 현황 109
<표 3-35> 규모별 공석기간 110
<표 3-36> 업종별 공석기간 110
<표 3-37> 직종별 공석기간 111
<표 3-38> 업종별 숙련부족 공석가진 사업체수 현황 113
<표 3-39> 규모별 숙련부족 공석가진 사업체수 현황 114
<표 3-40> 직종별 숙련부족 공석가진 사업체수 현황 114
<표 3-41> 업종별 숙련부족 공석수 현황 115
<표 3-42> 규모별 숙련부족 공석수 현황 116
<표 3-43> 직종별 숙련부족 공석수 현황 117
<표 3-44> 업종별 숙련격차 사업체수 현황 121
<표 3-45> 규모별 숙련격차의 현황 122
<표 3-46> 직종별 숙련격차를 해소하기 어려운 정도 122
<표 3-47> 직종별 숙련부족 해소가 어려운 이유 123
<표 3-48> 규모별 숙련격차를 발생시키는 핵심집단(연령) 124
<표 3-49> 규모별 숙련격차를 발생시키는 핵심집단(학력) 125
<표 3-50> 규모별 숙련격차 해결노력 126
<표 3-51> 직종별 기업 특수적 숙련의 중요도 127
<표 3-52> 직종별 산업 특수적 숙련의 중요도 128
<표 3-53> 규모별 기업특수적 숙련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 129
<표 3-54> 규모별 산업특수적 숙련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 129
<표 3-55> 규모별 재직근로자의 교육훈련방법 131
<표 3-56> 규모별 재직근로자의 연평균 교육훈련 시간 131
<표 3-57> 규모별 신규채용자의 교육훈련 방법 132
<표 3-58> 규모별 신규채용자의 연평균 교육훈련 시간 133
<표 3-59> 규모별 직무관련 훈련실시 계획이 있는지의 여부 134
<표 3-60> 규모별 훈련실시 계획이 없는 이유 135
<표 3-61> 규모별 교육훈련에 정부 지원 참여 및 활용경험 136
<표 3-62> 직무관련 교육훈련에서 정부지원사업의 중요도 136
<표 3-63> 규모별 정부지원사업을 활용하지 않는 이유 137
<표 3-64> 업종별 신규인력 채용시 자격의 활용도 138
<표 3-65> 규모별 신규인력 채용시 자격의 활용도 139
<표 3-66> 업종별 업무수행에 자격의 활용정도 140
<표 3-67> 규모별 업무수행에 자격의 활용정도 141
<표 3-68> 응답자의 특성 147
<표 3-69> 응답자의 특성별 경력, 임금 및 만족도 148
<표 3-70> 응답자 특성별 현재 인적자본 수준 155
<표 3-71> 응답자 경력별 현재 인적자본 수준 157
<표 3-72> 응답자 특성별 숙련격차 인식 159
<표 3-73> 응답자 경력별 숙련격차 인식 160
<표 3-74> 응답자 특성별 숙련형성노력 162
<표 3-75> 응답자 경력별 숙련형성노력 164
<표 3-76> 응답자 특성별 숙련퇴화 168
<표 4-1>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기업 규모별 숙련부족 184
<표 4-2> 채용시 숙련부족 기업과 재직자 숙련부족 기업 188
<표 4-3> 업종별 및 기업규모별 로짓 분석(확률효과) 193
<표 4-4> 업종별 및 기업규모별 로짓 분석(고정효과) 199
<표 4-5> 업종-기업규모별 로짓 분석(고정효과) 201
<표 4-6> 부족인력 미충원 사유에 대한 유형 205
<표 4-7> 숙련의 특성별 유형 206
<표 4-8> 미충원의 복잡성이 공석에 미치는 효과(OLS 추정) 208
<표 4-9> 미충원 사유의 유형별 공석에 미치는 영향(OLS 추정) 210
<표 4-10> 숙련의 유형별 공석에 미치는 영향(OLS 추정) 211
<표 4-11> 임금과 공석과의 관계(로짓 추정결과) 213
<표 4-12> 사업체 특성에 따른 경력, 임금 및 만족도 217
<표 4-13> 사업체 특성에 따른 현재 인적자본 수준 220
<표 4-14> 연평균 교육훈련 시간에 따른 현재 인적자본 수준 221
<표 4-15> 사업체 규모에 따른 현재 인적자본 수준 222
<표 4-16> 사업체 특성에 따른 숙련격차 인식 223
<표 4-17> 연평균 교육훈련 시간에 따른 숙련격차 인식 225
<표 4-18> 사업체 규모에 따른 숙련격차 인식 226
<표 4-19> 사업체 특성에 따른 숙련퇴화 229
<표 4-20> 연평균 교육훈련 시간에 따른 숙련퇴화 230
<표 4-21> 사업체 규모에 따른 숙련퇴화 231
<표 4-22>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의 기술통계량 236
<표 4-23> 임금결정식 분석 결과 239
<표 4-24> 숙련퇴화 결정식 242
<표 5-1> 산업별 공석 현황(2012년) 249
<표 5-2> 제조업 중분류별 공석 현황(2012년) 250
<표 5-3> 산업별 공석 현황 251
<표 5-4> 직종별 숙련부족(2012년) 252
<표 5-5> 직종별 숙련부족 253
<표 5-6> 기업 규모별 숙련부족 254
<표 5-7> 산업별 공석률 추이 260
<표 5-8> 직종별 공석률 추이 261
<표 5-9> 산업별 실업률과 공석률 차이(실업률-공석률) 262
<표 5-10> 직종별 실업률과 공석률 차이(실업률-공석률) 263
<표 5-11> 생산인구 전망(2010∼2020년) 266
<표 5-12> 경제활동참가율 전망(2010∼2020년) 269
<표 5-13> 노동력 전망(성별, 연령별, 학력별, 2010∼2020년) 271
<표 5-14> 산업별 취업자 전망(2010∼2020년) 273
<표 5-15> 직업별 취업자 전망(2010∼2020년) 275
<표 5-16> 학력 및 전공 대분류별 신규인력공급 전망 279
<표 5-17> 직업별 신규인력공급 전망 280
<표 5-18> 직업대분류별 신규인력수요 전망 282
<표 5-19> 학력 및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수요 전망 282
<표 5-20> 학력 및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수급차 전망 283
<표 5-21> 독일의 교육훈련-직업별 분포(2008년) 288
<표 5-22> 연계시스템의 핵심용어 추출 방법 291
<표 5-23> 건축 분야 국가기술자격 종목 간 연계도 분석결과 294
<부표 3-1> 직종별 숙련격차 유형(복수응답) 380
<부표 3-2> 직종별 숙련격차가 가장 심한유형 381
<부표 3-3> 업종별 숙련격차를 발생시키는 핵심집단(연령) 382
<부표 3-4> 업종별 숙련격차를 발생시키는 핵심집단(학력) 383
<부표 3-5> 업종별 숙련격차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계속) 384
<부표 3-5> 업종별 숙련격차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 385
<부표 3-6> 규모별 숙련격차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계속) 386
<부표 3-6> 규모별 숙련격차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 386
<부표 3-8> 업종별 기업특수적 숙련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 387
<부표 3-9> 업종별 산업특수적 숙련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 388
<부표 3-10> 업종별 재직근로자의 교육훈련방법 389
<부표 3-11> 업종별 재직근로자의 연평균 교육훈련 시간 391
<부표 3-12> 업종별 신규채용자의 교육훈련방법 393
<부표 3-13> 업종별 신규채용자의 연평균 교육훈련 시간 395
<부표 3-14> 업종별 동종업계 평균과 비교한 매출액 변화 397
<부표 3-15> 규모별 동종업계 평균과 비교한 매출액 변화 398
<부표 3-16> 업종별 동종업계 평균과 비교한 영업이익 변화 399
<부표 3-17> 규모별 동종업계 평균과 비교한 영업이익 변화 400
<부표 3-18> 업종별 동종업계 평균과 비교한 종업원수 변화 401
<부표 3-19> 규모별 동종업계 평균과 비교한 종업원 수 변화 402
<부표 3-20> 업종별 동종업계 평균과 비교한 임금수준 403
<부표 3-21> 규모별 동종업계 평균과 비교한 임금수준 404
<부표 3-22> 업종별 국내시장에서 생산품의 경쟁 정도 405
<부표 3-23> 규모별 국내시장에서 생산품의 경쟁 정도 406
<부표 3-24> 업종별 생산품의 시장 수요 상황 407
<부표 3-25> 규모별 생산품의 시장 수요 상황 408
<부표 3-26> 업종별 기업이 속한 산업 기술변화 속도 409
<부표 3-27> 규모별 기업이 속한 산업 기술변화 속도 410
<부표 3-28> 업종별 생산기술 변화와 요구되는 종업원의 숙련 수준 411
<부표 3-29> 규모별 생산기술 변화와 요구되는 종업원의 숙련 수준 412
<부표 3-30> 업종별 최근 3년간 새로운 설비투자 여부 413
<부표 3-31> 규모별 최근 3년간 새로운 설비투자 여부 414
<부표 3-32> 업종별 생산품의 시장 전략 415
<부표 3-33> 규모별 생산품의 시장 전략 416
<부표 3-34> 업종별 인사관리 목표 비중 417
<부표 3-35> 규모별 인사관리 목표 비중 418
<부표 3-36> 업종별 인적자원개발 특성 419
<부표 3-37> 규모별 인적자원개발 특성 420
<부표 4-1> 제조업 업종별 숙련부족 421
<부표 4-2> 서비스업 업종별 숙련부족 422
<부표 4-3> 업종별 및 기업규모별 로짓 분석 423
[그림 2-1] 숙련의 순환 구조 22
[그림 2-2] 베버리지 곡선 28
[그림 2-3] 그룹별 실업-공석 비율 곡선 31
[그림 2-4] 숙련수급의 위상도 48
[그림 2-5] 숙련의 측정 및 전망 흐름도 50
[그림 2-6] 숙련전망 모형 52
[그림 3-1] 숙련부족 질문의 흐름 82
[그림 3-2] 숙련격차 질문의 흐름 83
[그림 3-3] 업종별 공석 현황 118
[그림 3-4] 종사자 규모별 공석 현황 119
[그림 3-5] 종사자 직종별 공석 현황 119
[그림 3-6] 직종별․업종별 경력-임금 곡선 151
[그림 3-7] 직장․업무경력별 기술퇴화 및 신기술요구여부 170
[그림 3-8] 직장․업무경력별 재교육필요성과 재교육간격 171
[그림 4-1]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기업 규모별 인력부족률 184
[그림 4-2]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기업 규모별 숙련부족빈일자리 비율 185
[그림 4-3]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기업 규모별 숙련인력부족률 185
[그림 4-4]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기업 규모별 숙련부족재직자 비율 186
[그림 4-5] 공석과 숙련부족의 도출 과정 204
[그림 4-6] 특수훈련 중요도에 따른 직장경력-임금곡선 218
[그림 5-1] 실업률과 인력부족률 추세 257
[그림 5-2] 남녀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1963~2011년) 267
[그림 5-3] 남자 연령대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2010~2020년) 269
[그림 5-4] 여자 연령대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2010~2020년) 270
[그림 5-5] 연계시스템 DB의 기본 개념도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