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미래세대의 평생학습 : 고용 연계 방안

The Measures of linkage between life-long learning and employment for the future generation
저자
김선태 김현수 조희경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1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0.31
등록일
2014.01.23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9
제3절 연구 방법	13
제4절 용어 정의	25
제2장 이론적 배경_29
제1절 미래학과 미래세대	31
제2절 평생학습	43
제3절 고용 연계	57
제4절 평생학습-고용 연계 관련 문헌 분석	62
제5절 소결	71
제3장 미래세대에게 요구되는 직업능력_75
제1절 인식 및 환경 변화	77
제2절 직업 트렌드 관련	84
제3절 조직 및 근무 형태 관련	87
제4절 경력 유형과 라이프스타일 관련	90
제5절 소결	93
제4장 평생학습-고용 연계 장애 요인 극복 및 요소_101
제1절 법·제도적 측면	104
제2절 재정적 측면 	106
제3절 인프라·시설 측면	108
제4절 정보제공 측면	111
제5절 사회적 의식 및 기타 측면	113
제6절 평생학습-고용 연계 요소	118
제7절 소결	122
제5장 평생학습-고용 연계 실행 주체별 방안_131
제1절 중앙정부	133
제2절 산업체	142
제3절 시·도교육청	151
제4절 지방자치단체	160
제5절 단위학교	169
제6절 기관·단체	176
제7절 소결	185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_195
제1절 결론 및 제언	195
제2절 연계 실현 프로그램(안)	201
제3절 미래형 인재 양성을 위한 인문학적·철학적 담론	206
SUMMARY_211
참고문헌_221
부  록_227
1. 자료Ⅰ 제1차 델파이 조사지	229
2. 자료Ⅱ 제2차 델파이 조사지	244
3. 자료Ⅲ 제3차 델파이 조사지	289
4. 자료Ⅳ 델파이 위원들에게 제공한 기초자료  ※ CD 제공
본 과제에서는 다가올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미래세대’에서 필요로 하는 직업능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평생학습과 고용 연계’를 강화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세대가 살아갈 시대의 환경 변화를 예측하여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직업능력을 파악한다. 특히 미래 직업 트렌드, 조직 및 근무 형태, 경력 유형과 라이프스타일 등과 관련된 직업기초능력에 대해 파악한다.
 둘째, 미래세대의 평생 직업능력 강화를 위한 학습-고용 연계 방안을 분석하여 실행 주체별(중앙정부, 산업체, 시·도교육청, 지자체, 학교, 그리고 기관 및 단체)로 연계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미래세대를 위한 학습-고용 연계 방안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과 인문학적·철학적 담론을 제시한다.
  Preparing for the era of centenarians does not simply mean physical wellbeing. Surviving for a century means that we should be able to adapt ourselves to rapidly changing society as decent human beings. The extended average life expectancy not only prolongs the period of participating in economy, but also changes the time and opportunity of participating in economy, expressed as double or triple cropping. Therefore, the education received when young is not good enough to survive the changed society, which means that lifelong education is not optional, but required. If such lifelong learning is no more than learning for self-contentment to simply enjoy learning or leisure, it will not be continued due to its lack of learning power and motivation. Human''s learning is more significant only when the opportunity of social participation is provided. Neglecting human resources with fully-invested education can be a huge waste of psychological and material resources. Especially, the generational conflicts of jobs caused by the era of physically healthy centenarians are rising as a serious problem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For this,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is suggesting solutions for aiming for society in which national happiness and national development are in a virtuous circle, and every member of social community lives in harmony and also enjoys stable life. One of them is to establish the ''national lifelong learning system for the era of centenarians through providing various participation basis and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of lifelong learning. The life design for rapidly changing times is only possible through connection between lifelong learning and employment. The connection between lifelong learning and employment of the future generations are the required conditions not only for economic aspect, but also establishment of healthy social atmosphere. Thus the connection between lifelong learning and employment is the task not only for the present, but also the older generation that prepares for the future. ...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미래세대의 평생학습-고용 연계 방안 2013.01.01~201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