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직업지표 연구(2013)
The Study of Korean Occupational Index (2013)
- 저자
- 이지연 한상근 최지희 김나라 장주희 장현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3-2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3.12.31
- 등록일
- 2014.01.2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7 제2장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_17 제1절 국내 직업지표 선행연구 분석 19 제2절 국외 직업지표 선행연구 분석 32 제3절 2013년 직업지표 구성 65 제4절 2013년 직업지표 양·질적 조사 방법 70 제3장 한국의 기초 직업지표 분석_93 제1절 종합 기초 직업지표 95 제2절 영역별 기초 직업지표 99 제3절 주요 영역 간 교차비교 113 제4절 10년 후의 직업전망 122 제5절 2011과 2013년의 기초 직업지표 변화 148 제6절 소결 169 제4장 직종별 특성 분석_175 제1절 건설 관련직 177 제2절 기계, 재료 관련직 187 제3절 화학, 섬유 및 의복 관련직 203 제4절 전기‧정보통신 관련직 219 제5절 식품가공,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생산 단순직 233 제6절 소결 246 제5장 한국의 응용 직업지표 분석_257 제1절 숙련수준 259 제2절 핵심역량 272 제3절 직무만족도 286 제4절 이직 303 제5절 일‧가정의 균형 315 제6절 장애인 적합 정도 328 제6장 정책 제언_341 제1절 노동시장의 효율성 증진 방안 343 제2절 사회구성원을 위한 경력개발 방안 348 제3절 향후 직업연구 제언 354 SUMMARY_361 참고문헌_363 부 록_377 <부록 1> 한국의 직업지표 개발을 위한 조사 설문지 379 <부록 2> 웹 기반 설문조사 자료 처리 절차 386 <부록 3> 세분류 직업별 종합 기초 직업지표 원점수 387 <부록 4> 임금 항목의 과대․과소 추정 직업 391 <부록 5> 정규고용 항목의 과대․과소 추정 직업 393 <부록 6> 기초 직업지표 주요 영역의 교차비교 결과 394 <부록 7> 장애 유형별 적합 직업 404
본 연구의 목적은 5차년(2011-2015년)에 걸쳐 직업세계의 현실과 10년 후 변화를 전망하고 객관적인 지표를 제시하는 것이다. 3차년도(2013년)에 해당하는 이 연구는 엔지니어·건설·생산직 분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음의 구체적인 목적을 지닌다. 첫째, 기존 직업지표 연구의 기초지표와 응용지표에 대한 검토 및 수정·보완을 통하여 직업지표 구성 요소를 도출하고 직업지표 분석틀을 구성한다. 둘째, 엔지니어건설생산직 분야의 현재와 10년 후의 주요 직업별 속성을 기초지표 및 응용지표 등 다양한 기준에 의거하여 조사분석한다. 셋째, 1차년도(2011년) 조사와의 비교를 통하여 변화량과 변화의 동인(動因)을 분석하고 향후 미래 변화의 패턴을 예측한다. 넷째, 응용지표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숙련수준, 핵심역량, 직무만족도, 이직, 일가정의 균형, 장애인 적합 정도 등 직업 관련 주요 쟁점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다섯째, 국민들에게 209개 직업에 대한 정보를 총괄적으로 소개하는 직업정보서 『2013 한국의 직업지표 : 엔지니어건설생산직』를 편찬한다.
This study, the third year project of the Study of Korean Occupational Index(KOI), was conducted for the occupation area of Engineer, Production, and Construction as a second wave research, which is a part of five year research(2011-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KOI with scientific and objective research methods to support career choic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environments and prospects of Korean major occupations. In other wor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disseminate trustworthy and valid KOI that could be a guide for all people who needs a job choice. This research has been done by following five major stages: planning development of the index, conducting a survey on occupational index, analyzing current issues, and suggesting policies. The methods used in each stage of the study consist of literature reviews, experts conference, an web-based occupational survey, statistical analysis, and a seminar. In case of web-based survey, 25 to 35 employees and 5 to 15 job professionals of 209 occupations participated and total 8,360 data was collected. Finally, FGI was used in this study to compensate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understand the world of work profoundly.
<표 1-1> 5개년에 걸친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의 연도별 연구범위 12 <표 1-2> 한국고용직업분류(KECO)상의 조사 대상 직업군 범위 13 <표 1-3> 연구 자료집의 주요 정보 요소 및 설명 15 <표 2-1> 유사 직업조사 연구 23 <표 2-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기 직업연구 관련 기초연구 사례(1998~2008년) 26 <표 2-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전망)지표 개발 연구 사례(2006~2015년) 30 <표 2-4> 한국의 직업지표 1-3차 연구의 직업지표 항목 비교 31 <표 2-5> 한국의 직업지표와 유사한 미국 사례 33 <표 2-6> 근무여건의 하위 영역 및 점수범위 34 <표 2-7> 스트레스 상·하위 직업 35 <표 2-8>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OOH)에 반영되는 입직교육 수준 지표 분류 36 <표 2-9>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OOH)에 반영되는 관련 업종의 업무경험 지표 분류 36 <표 2-10>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OOH)에 반영되는 OJT 지표 분류 37 <표 2-11> 한국의 직업지표와 유사한 영국 사례 38 <표 2-12> 영국에서 수입이 높은 직업들(2012년) 39 <표 2-13> 영국의 최고·최악 직업 10선 41 <표 2-14> 영국과 한국의 스트레스가 가장 많은 직업 비교 42 <표 2-15> 한국의 직업지표와 유사한 캐나다 사례 45 <표 2-16> 캐나다의 만족도 높은 좋은 직업 상위 20개 47 <표 2-17> 한국의 직업지표와 유사한 호주 사례 49 <표 2-18> 호주의 육체적 상해 사고율 상위 20개 직업(소분류) 51 <표 2-19> 호주의 성별 정신적 스트레스 상위 15개 직업(세분류) 53 <표 2-20> 호주의 직업 이미지 순위 54 <표 2-21> 호주의 국민들에게 신뢰를 받는 직업순위 55 <표 2-22> 한국의 직업지표와 유사한 유럽 사례 57 <표 2-23> 유럽의 성별 직종분리 현황 59 <표 2-24> EU 27개국의 직종별, 성별 주관적 일의 강도 63 <표 2-25> 기초 직업지표의 범주와 세부 항목 65 <표 2-26> 기초 직업지표의 항목별 가중치 67 <표 2-27> 응용 직업지표의 범주와 세부 항목 69 <표 2-28> 2013년도 한국의 직업지표 조사 대상 직업 71 <표 2-29> 웹 기반 설문조사지의 기초 및 응용 직업지표 세부 항목 및 설명 72 <표 2-30> 예비조사 시 점검사항 77 <표 2-31> 직업군에 따른 응답자 특성 81 <표 2-32> 한국의 직업지표 조사결과와 잡맵 조사결과의 기준 타당성 지수(보정 전) 84 <표 2-33> 한국의 직업지표 조사결과와 잡맵 조사결과의 기준 타당성 지수(보정 후) 85 <표 2-34> FGI 진행일정 87 <표 2-35> FGI 참석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88 <표 2-36> FGI 그룹별 주요 논의항목 91 <표 3-1> 중분류 직업별 기초 직업지표(현재) 96 <표 3-2> 기초 직업지표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98 <표 3-3>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100 <표 3-4> 일자리 수요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102 <표 3-5>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104 <표 3-6>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106 <표 3-7>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108 <표 3-8>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110 <표 3-9>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112 <표 3-10> 중분류 직업별 기초 직업지표(10년 후) 123 <표 3-11> 기초 직업지표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26 <표 3-12>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28 <표 3-13> 일자리 수요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30 <표 3-14>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32 <표 3-15>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34 <표 3-16>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36 <표 3-17>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38 <표 3-18>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40 <표 3-19> 직업 중분류별 기초 직업지표 비교(2011년과 2013년 비교) 149 <표 3-20> 직업 중분류별 기초 직업지표 값 차이(2013-2011년) 151 <표 3-21> 기초 직업지표 상위 20개 직업(2011년과 2013년 비교) 154 <표 3-22> 보상 영역의 상위 20개 직업(2011년과 2013년 비교) 156 <표 3-23> 일자리 수요 영역의 상위 20개 직업(2011년과 2013년 비교) 158 <표 3-24> 고용안정 영역의 상위 20개 직업(2011년과 2013년 비교) 160 <표 3-25>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위 20개 직업(2011년과 2013년 비교) 162 <표 3-26> 근무여건 영역의 상위 20개 직업(2011년과 2013년 비교) 164 <표 3-27>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위 20개 직업(2011년과 2013년 비교) 166 <표 3-28> 고용평등 영역의 상위 20개 직업(2011년과 2013년 비교) 168 <표 4-1>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건설 관련직) 183 <표 4-2>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건설 관련직) 185 <표 4-3>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기계 관련직) 191 <표 4-4>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기계 관련직) 192 <표 4-5>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재료 관련직) 198 <표 4-6>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재료 관련직) 200 <표 4-7>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화학 관련직) 206 <표 4-8>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화학 관련직) 209 <표 4-9>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섬유 및 의복 관련직) 213 <표 4-10>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섬유 및 의복 관련직) 216 <표 4-11>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전기․전자 관련직) 222 <표 4-12>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전기․전자 관련직) 224 <표 4-13>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정보통신 관련직) 229 <표 4-14>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정보통신 관련직) 231 <표 4-15>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식품가공 관련직) 236 <표 4-16>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식품가공 관련직) 238 <표 4-17>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 243 <표 4-18>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 245 <표 4-19> 중분류별 직업 현황과 특성, 신생직업 248 <표 5-1> 네덜란드의 전공 및 교육수준별 기술진부화 속도 264 <표 5-2> 직업별 평균학력수준, 추가훈련기간, 기술변화속도 분포(중분류) 266 <표 5-3> 숙련관련 변수와 주요 기초 및 응용 지표와의 상관관계 측정결과 268 <표 5-4> 중분류 직업별 핵심역량의 평균 비교 277 <표 5-5> 중분류 직업에 대한 영역별 핵심역량의 평균 비교 278 <표 5-6> 핵심역량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280 <표 5-7>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전반적 핵심역량의 차이 282 <표 5-8> 핵심역량과 기초 직업지표 세부 항목과의 상관관계 284 <표 5-9> 중분류 직업군별 직무만족도 평균 비교 290 <표 5-10> 전반적 직무만족도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291 <표 5-1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전반적 직무만족도의 차이 292 <표 5-12> 직무만족도와 기초 직업지표 세부 항목과의 상관관계 294 <표 5-13> 직무만족도와 응용 직업지표 세부 항목과의 상관관계 299 <표 5-14> 이직의 개념 303 <표 5-15> 청년층 임금근로자의 첫 취업 이후 이직 사유 306 <표 5-16> 중분류 직업군별 이직 평균 비교 307 <표 5-17> 이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310 <표 5-18>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전반적 이직의 차이 311 <표 5-19> 이직과 기초 직업지표(현재)와의 상관관계 313 <표 5-20> 일․가정의 균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322 <표 5-21> 성별에 따른 일․가정의 균형 323 <표 5-22> 일․가정의 균형과 기초지표와의 상관관계 323 <표 5-23> 일․가정의 균형과 기초지표 세부 항목과의 상관관계 324 <표 5-24> 일․가정의 균형과 응용지표와의 상관관계 325 <표 5-25> 장애인 적합 정도 영역의 상위 20개 직업(현재) 332 <표 5-26> 장애인 적합 정도와 기초 직업지표 7개 영역의 상관관계 334 <표 5-27> 장애인 적합 정도와 기초 직업지표 세부 항목과의 상관관계 336 <표 5-28> 장애인 적합 정도와 응용 직업지표와의 상관관계 338 <표 6-1> 정책 제언 요약 및 추진 주체 357 <부록 표 3-1> 종합 기초지표 원점수(14111~15118) 387 <부록 표 3-2> 종합 기초지표 원점수(15119~1831) 388 <부록 표 3-3> 종합 기초지표 원점수(1832~20423) 389 <부록 표 3-4> 종합 기초지표 원점수(2051~2063) 390 <부록 표 4-1> 임금이 과대추정된 직업 391 <부록 표 4-2> 임금이 과소추정된 직업 392 <부록 표 5-1> 정규고용이 과소추정된 직업 393 <부록 표 5-2> 정규고용이 과대추정된 직업 393 <부록 표 6-1> 보상과 일자리 수요의 교차비교 결과(현재) 394 <부록 표 6-2> 보상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결과(현재) 395 <부록 표 6-3> 보상과 근무여건의 교차비교 결과(현재) 396 <부록 표 6-4> 일자리 수요와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결과(현재) 397 <부록 표 6-5> 직업전문성과 발전가능성의 교차비교 결과(현재) 398 <부록 표 6-6> 보상과 일자리 수요의 교차비교 결과(10년 후) 399 <부록 표 6-7> 보상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결과(10년 후) 400 <부록 표 6-8> 보상과 근무여건의 교차비교 결과(10년 후) 401 <부록 표 6-9> 보상과 발전가능성의 교차비교 결과(10년 후) 402 <부록 표 6-10> 일자리 수요와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결과(10년 후) 403 [그림 1-1] 연구의 주요 내용 및 연구방법 8 [그림 1-2] 연구 자료집 직업설명 예시 14 [그림 2-1] EU27개국의 직종별 일의 물리적 위험성 노출에 대한 인식 정도 61 [그림 2-2] EU27개국의 성별, 직종별 건강과 안전에 대한 위협을 느끼는 정도 62 [그림 2-3] EU27개국의 직종 및 업종별 일의 강도와 자율성과의 상관관계 64 [그림 2-4] 이유 작성란 예시 78 [그림 2-5] 장애인 적합 정도 문항(수정 후) 79 [그림 2-6] FGI 진행 FLOW 89 [그림 3-1] 보상과 일자리 수요의 교차비교 산점도 (현재) 113 [그림 3-2] 보상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산점도 (현재) 115 [그림 3-3] 보상과 근무여건의 교차비교 산점도 (현재) 117 [그림 3-4] 일자리 수요와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산점도 (현재) 119 [그림 3-5] 현재 직업전문성과 발전가능성의 교차비교 121 [그림 3-6] 보상과 일자리 수요의 교차비교 산점도 (10년 후) 141 [그림 3-7] 보상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산점도 (10년 후) 143 [그림 3-8] 보상과 근무여건의 교차비교 산점도 (10년 후) 144 [그림 3-9] 보상과 발전가능성의 교차비교 산점도 (10년 후) 146 [그림 3-10] 일자리 수요와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산점도 (10년 후) 147 [그림 5-1] 학력과 임금의 교차분석 270 [그림 5-2] 추가훈련기간과 직업전문성의 교차분석 270 [그림 5-3] 기술변화속도와 핵심역량의 교차분석 271 [그림 5-4] 일에 대한 만족도와 소명의식의 교차비교 295 [그림 5-5] 일에 대한 만족도와 자기개발가능성의 교차비교 296 [그림 5-6] 전반적 직무만족도와 사회적 평판의 교차비교 297 [그림 5-7] 전반적 직무만족도와 정보기술활용능력의 교차비교 300 [그림 5-8] 전반적 직무만족도와 문제해결능력의 교차비교 301 [그림 5-9] 여성 경제활동참가와 노동력 규모 316 [그림 5-10] 직업 및 성별에 따른 일·가정 충돌 지수 319 [그림 5-11] 취업 결정 시 유연근무의 중요성(산업별) 320 [그림 5-12] 기초 직업지표 세부 항목과 장애 적합 정도와의 관계 337 [그림 5-13] 응용 직업지표와 장애 적합 정도와의 관계 339 [그림 6-1] 장애인의 차별 없는 직업준비·성장·적응을 지원하는 4단계별 국가 정책 접근 틀 35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2013) | 2013.01.01~2013.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