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교육훈련과 고용성과 분석 : 대·중소기업 간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e Training and Job Creation: An Investigation of Spillover Effects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Medium Enterprises
- 저자
- 반가운 김안국 오계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3-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3.10.31
- 등록일
- 2014.01.27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제2장 기업의 교육훈련과 고용성과에 관한 이론적 논의_11 제1절 교육훈련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13 제2절 교육훈련과 고용의 기업 간 파급효과 18 제3장 기업 간 파급효과와 교육훈련의 고용성과_31 제1절 도입 33 제2절 실증분석을 위한 변수 구축 방법론 36 제3절 실증분석 모형 및 분석결과 58 제4절 소결 77 제4장 기업의 경영전략과 교육훈련의 고용성과_79 제1절 도입 81 제2절 선행 연구 및 연구 가설 85 제3절 자료 및 변수화 92 제4절 분석 결과 및 논의 97 제5장 대·중소기업 간 교육훈련의 고용성과 사례분석_107 제1절 도입 109 제2절 방법론 113 제3절 전자산업 117 제4절 조선산업 145 제5절 소결 181 제6장 결 론_189 제1절 분석결과 종합 191 제2절 정책적 함의 및 정책제언 195 SUMMARY_205 참고문헌_209 부 록_219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용의 문제를 기업의 교육훈련 문제와 대·중소기업 간 관계의 문제로 환원하여 천착하고자 한다. 대·중소기업 간 고용의 질 격차를 야기하는 생산성 격차의 근본 원인에 중소기업의 저숙련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훈련을 통해 향상되는 숙련은 기업의 생산성향상으로 이어져 고용 창출 역량을 제고시킬 수 있다. 이때 기업의 기술수준과 경영전략에 따라 숙련향상의 고용창출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중소기업 숙련의 증대가 기업 간 관계를 통해 중소기업 고용의 증대뿐만 아니라 양질의 대기업 고용의 증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대기업의 숙련향상은 중소기업 고용 파급효과를 일으키지 않거나 오히려 부정적인 방식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이때 기업생태계 최상위층에 있는 재벌대기업이 일반대기업과 다른 양태를 보이는지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들을 바탕으로 실증분석과 사례연구를 통해 제기된 문제들을 보다 엄밀하게 확인해 보는 작업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e training and employment at the firm level acknowledging that firms are a main agent of job creation. It aims to identify if firms can create jobs by investing in manpower, not in machines or facilities. It also tries to consider spillover effect between firms. In this paper, a spillover effect between firms is defined as the effect of one firm’s advanced employee skill level on another firm’s increase of employment. It especially separates the conglomerates (aka chaebols in Korea) from the other large enterprises and explores spillover effect from the conglomerates. Then,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 of employee training by the conglomerates, which are at the topmost layer in business ecosystem, on employment of large, medium, or small businesses, and vice versa. ...
<표 3-1> 기술근접도 계수 예시(1) 41 <표 3-2> 기술근접도 계수 예시(2) 43 <표 3-3> 기술근접도 계수 예시(3) 43 <표 3-4> 기업의 본사와 공장 소재지 구분 45 <표 3-5> 지역근접도 계수 예시(1) 47 <표 3-6> 지역근접도 계수 예시(2) 48 <표 3-7> 지역근접도 계수 예시(3) 49 <표 3-8> 산업근접도 계수 예시(1) 50 <표 3-9> 산업근접도 계수 예시(2) 51 <표 3-10> 산업근접도 계수 예시(3) 52 <표 3-11> 기술지역 근접도 계수 예시(1) 54 <표 3-12> 기술지역 근접도 계수 예시(2) 54 <표 3-13> 기술지역 근접도 계수 예시(3) 55 <표 3-14> 기술-지역-산업 근접도 계수 예시(1) 56 <표 3-15> 기술-지역-산업 근접도 계수 예시(2) 56 <표 3-16> 기술-지역-산업 근접도 계수 예시(3) 57 <표 3-17> 기업군별 업체당 교육훈련스톡 및 연구개발스톡증가율 63 <표 3-18> 기업군별 인당 실질인건비 및 업체당 종업원수 증가율 64 <표 3-19> 기업의 고용결정요인 회귀분석 결과 69 <표 3-20> 기업의 고용결정요인 회귀분석 결과(기술지역산업 근접도) 74 <표 3-21> 기업의 고용결정요인 회귀분석 결과(기술지역 근접도) 75 <표 3-22> 기업의 고용결정요인 회귀분석 결과(기술 근접도) 76 <표 4-1> 몰입형 인적자원관리의 요소들 88 <표 4-2> 기초 통계표 97 <표 4-3> 구조 모형 추정 결과 101 <표 4-4> 몰입형 인적자원관리와 숙련제고정책의 고용효과 104 <표 5-1> 연도별 정보통신산업 부가가치 118 <표 5-2> 인터뷰 대상 A사 및 협력업체 개요 119 <표 5-3> A사의 인원현황 121 <표 5-4> 인터뷰 대상업체 F사 및 협력업체 개요 132 <표 5-5> F사의 대·중소기업 간 협력적 교육훈련 134 <표 5-6> 중대형 조선업체 기술교육원 기능인력 양성실적 148 <표 5-7> 2012년 D사 경영지표 현황 150 <표 5-8> D사 사업부문별 매출액 변동추이 151 <표 5-9> D사 인원 현황 152 <표 5-10> D사 전체 협력사 인원 현황 153 <표 5-11> 인터뷰 대상 D사 및 협력업체 개요 154 <표 5-12> D사 기술교육원 양성훈련 실적 158 <표 5-13> 조선산업 주요 업체 수주량 및 점유율 추이 164 <표 5-14> 2012년 H사 경영지표 현황 165 <표 5-15> H사 인원 현황 166 <표 5-16> 인터뷰 대상 H사 및 협력업체 개요 167 <표 5-17> H사 2012년 교육훈련 및 인력지원 실적 169 <표 5-18> 전자산업과 조선산업의 비교 187 <부표 1> 3장 분석대상 기업의 업종별 분포 221 <부표 2>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의 소속회사의 및 3장 연구자료 현황 222 <부표 3> 4장 구조모형 추정 결과-중소기업 223 <부표 4> 4장 구조모형 추정 결과-대기업 224 [그림 2-1] 교육훈련과 고용의 기업 간 파급효과 18 [그림 2-2] 교육훈련협력과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의 파급효과 25 [그림 3-1]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모형 33 [그림 3-2] 기업군별 업체당 교육훈련스톡 추이 63 [그림 3-3] 기업군별 업체당 연구개발스톡 추이 63 [그림 3-4] 기업군별 인당 실질인건비 추이 65 [그림 3-5] 기업군별 업체당 종업원수 추이 65 [그림 4-1] 기업의 경영 전략과 고용의 관계 및 그 기저요인 84 [그림 4-2] 몰입형 인적자원관리 및 숙련제고정책의 고용 성과 92 [그림 4-3] 두 잠재 변수 구조모형의 경로도 98 [그림 5-1] 전자산업 내 세부 업종별 GDP 비중 변화 118 [그림 5-2] F사의 기업협력관계 도식도 132 [그림 5-3] 조선산업 총 인력 및 직종별 인력변화 추이 147 [그림 5-4] D사 노동시장 구조 161 [그림 5-5] H사 동반성장지원단 조직체계 168 [그림 5-6] 조선산업 노동시장 구조 18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기업의 교육훈련과 고용성과 분석-대·중소기업 간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 2013.01.01~2013.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