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에서의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Mentoring Program in College for the Smooth Transition to Work
저자
장원섭 김선희 민선향 김성길
분류정보
기본연구(2002-2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02.11.30
등록일
2002.11.30
연구 요약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4. 용어의 정의 8
II. 이론적 배경 11
   1. 대학에서의 진로교육 현황 11
   2. 멘토링 개념과 기능 22
   3. 선행연구 분석 33
   4. 멘토링 사례 42
III. 설문조사 결과 51
   1. 대학에서의 진로준비 51
   2. 멘토링 경험 63
   3. 멘토링 요구 71
IV.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체제 개발 77
   1.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위원회 구성 79
   2. 멘토링 프로그램 설계 80
   3. 멘토와 멘티의 모집 및 선정 82
   4. 멘토 및 멘티의 오리엔테이션 및 훈련 92
   5. 멘토와 멘티 매칭 99
   6. 멘토링 프로그램 실행 101
   7. 총괄 평가 104
V. 결  론 109
   1. 요  약 109
   2. 결  론 110
참 고 문 헌 113
ABSTRACT 121
부    록 123
  이 연구에서 다룬 멘토링(Mentoring)은 대학생 개개인들이 원활하게 직업세계로 이행하도록 돕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 프로그램이다. 일정한 영역에서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을 가지고 있는 멘토와 실제적인 경험이 부족한 멘티와의 개별화된 상호관계를 통해서 대학생들은 졸업하기 이전에 지식과 기술, 태도를 스스로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이러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생들은 새로운 전문가로서 현장, 직업, 조직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고 조직의 규정이나 관습 및 문화 등을 익힐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ffective mentoring program for smooth transition from college to the world of work. In this study, we used following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we reviewed prior studies and reports on mentoring. Second, we overviewed several mentoring program cases in Korea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rd, we surveyed 453 students of 11 colleges and universities by questionnaire to find the students' mentoring experiences and their needs for mentoring programs.
  Mentoring was defined as an intense interpersonal exchange between a senior, experienced mentor and a junior, less experienced mentee, in which the mentor provides support, direction, and feedback regarding career plan and personal development. Mentoring can be categorized ‘1:1 mentoring’, ‘peer mentoring’, ‘group mentoring’, ‘face-to-face mentoring’, ‘e-mentoring’, and so forth.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students got the career-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ir personal networks such as seniors, friends,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and through Internet. On the other hand, they seldom used the formal channels in their colleges and universities such as Campus Job Information Center, Department Office, etc. 
  Second, most students has experienced formal or informal mentoring relations, and the students said that they had much help and confidence by the mentoring program.
  Third, most students answered that they needed the mentoring programs, especially for job search and career planning.
...
<표 I-1> 표집 대상 대학의 유형과 소재지     5
<표 I-2>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배경     6
<표 I-3> 조사도구의 구성 및 내용     8
<표 II-1> 취업정보실의 주요업무    14
<표 II-2> 학생생활연구소의 활동    15
<표 II-3> Eby의 대안적인 멘토링 유형 구분    25
<표 II-4> 공식적 멘토링과 비공식적 멘토링 특징비교    27
<표 II-5> 멘토의 기능    30
<표 II-6> 멘토링의 이익    31
<표 II-7> Hunt와 Michael의 멘토관계 변수들    34
<표 II-8> 멘토링 기능에 대한 연구    35
<표 II-9> 선행연구 정리표    41
<표 III-1>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 여부의 차이    52
<표 III-2>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 시기의 차이    53
<표 III-3> 개인적 특성에 따른 취업준비 여부의 차이    55
<표 III-4> 대학유형에 따른 취업진로 인식 정도의 차이    58
<표 III-5> 취업진로 관련정보 획득방법    59
<표 III-6> 대학유형별 대학시설 활용정도    60
<표 III-7> 대학 내 취업진로 관련시설 및 기관 활용부실 이유    61
<표 III-8> 개인적 특성에 따른 멘토, 멘티, 둘다로서의 경험 빈도    64
<표 III-9> 개인적 특성에 따른 멘토로서의 경험    66
<표 III-10> 개인적 특성에 따른 멘티로서의 경험    68
<표 III-11> 멘토링 프로그램의 영역별 요구내역    74
<표 IV-1> 멘토링 프로그램을 위한 시작 전략   103
[그림 III-1] 취업진로 준비방법    57
[그림 III-2] 멘토링 경험 유무    63
[그림 III-3] 멘토링 경험 부재 원인    64
[그림 III-4] 멘토링 경험의 도움 정도    70
[그림 III-5] 멘토링 프로그램의 필요성    71
[그림 III-6] 멘토링 프로그램 중점 우선순위 영역    72
[그림 IV-1] 멘토링 시스템 개발과정    79
[그림 IV-2] 멘티 모집 및 선정 과정    84
[그림 IV-3] 멘토 선정 절차    92
[그림 IV-4] 멘토와 멘티의 매칭 과정   101
[그림 IV-5] 각 단계별 평가활동   10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