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 특성화 실업고등학교 지원·육성 방안
A Study on Support·Development of Privat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 저자
- 김용호 김숙이 정수현 김선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2-3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2.12.31
- 등록일
- 2002.12.31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내용 및 문제 2 3. 연구방법 3 Ⅱ. 특성화고 제도의 의미와 성과 5 1. 특성화고 제도 도입의 배경과 전개 5 2. 사학의 본질에 비추어 본 특성화고 제도의 의미 9 3. 특성화고 운영의 성과와 한계 22 Ⅲ. 사립 특성화고의 운영 실태 조사 결과 27 1. 일반 교육 여건 현황 27 2. 교육과정 운영 현황 36 3. 재정 및 시설 여건 현황 38 4. 운영 실태의 문제점 48 Ⅳ. 외국의 특성화 직업교육 운영 사례 55 1. 미 국 55 2. 영 국 68 3. 독 일 74 4. 시사점 78 Ⅴ. 사립 특성화고 지원·육성 방안 탐색 85 1. 사립 특성화고 지원·육성의 기본 방향 85 2. 사립 특성화고의 지원·육성 방안 92 Ⅵ. 요약 및 결론 109 1. 요 약 109 2. 결 론 118 참 고 문 헌 125 ABSTRACT 131 부 록 137
직업분야의 사립 특성화고는 2002년 현재 16개교가 설립·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특성화 전환 및 유지에 따른 행·재정적 지원이 공립학교에 편중되는 양상이어서 보다 많은 사립학교들이 학교의 특성화 운영으로 진로를 잡아 나가는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사립 특성화고의 운영 실태 및 성과 등을 점검 분석하고, 사립 실업계 고교가 특성화고로 개편 발전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제도적, 법적 장치나 조건들이 무엇인지를 중점 연구하고자 하였다.
In 2002, there exist only sixteen private specialized high schools, comp ared to 32 public sp ecialized high sch ools. Th e government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specialized schools are biased toward public schools and this hinders setting directions of transformation of private schools into specialized school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resent states and outcomes of private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to examine the system conditions and legal devices needed for private schools to transform into specialized schools, faced with these problems. The meaning of the introduction of private specialized high schools could be found in the fact that securing autonomy is crucial for private schools to exert their potential as a distinctive school. Innovative and novel ideas, productive educational methods and procedures are the outcomes that could be found when school autonomy is ensured.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allow private schools to make their own decisions and practice to keep and develop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it can be stated that implementation of distinctive founding philosophy means specialization of private schools. Accordingly, specialization of private high schools is the rightful conclusion in light to the nature of private schools. Because the process of implementing distinctive founding philosophy with the maximum autonomy is the process of specialization, future policies on private schools should be made in direction of decreasing control and increasing support. ...
<표 Ⅱ-1> 공공성 개념의 변화 추세 19 <표 Ⅲ-1> 사립 특성화고의 학생수, 학급수 및 교원수 28 <표 Ⅲ-2> 사립 특성화고의 교원 경력 연수 분포 30 <표 Ⅲ-3> 사립 특성화고의 교원 자격별 분포 31 <표 Ⅲ-4> 사립 특성화고의 상치과목 및 교원수 현황 31 <표 Ⅲ-5> 사립 특성화고의 과원교사 현황 32 <표 Ⅲ-6> 사립 특성화고의 최근 교원 연수 실적 33 <표 Ⅲ-7> 사립 특성화고 교원의 주당 수업시수 분포 34 <표 Ⅲ-8> 사립특성화고의 졸업생 진로 현황(2001학년도) 35 <표 Ⅲ-9> HC고의 교육과정 편성 36 <표 Ⅲ-10> BC고의 교육비 세입 현황 39 <표 Ⅲ-11> BC고의 교육비 세출 현황 40 <표 Ⅲ-12> HJ고의 교육비 세입 현황 41 <표 Ⅲ-13> HJ고의 교육비 세출 현황 41 <표 Ⅲ-14> BC고의 학교운영지원비 세입 현황 42 <표 Ⅲ-15> BC고의 학교운영지원비 세출 현황 43 <표 Ⅲ-16> HJ고 학교운영지원비 세입 현황 43 <표 Ⅲ-17> HJ고 학교운영지원비 세출 현황 44 <표 Ⅲ-18> BC고의 재정결함보조 및 교육환경개선특별보조금 현황 44 <표 Ⅲ-19> HC고 교육환경개선특별보조금 및 기타시설지원비 현황 45 <표 Ⅲ-20> 정보통신계열 학교의 컴퓨터 보유 현황 46 <표 Ⅲ-21> 비 정보통신계열 학교의 컴퓨터 보유 현황 47 <표 Ⅳ-1> 미국 고등학교 졸업반 학생들의 계열별 비율 56 <표 Ⅳ-2> 국가교육과정에서의 주요 단계 69 <표 Ⅳ-3> 직업교육훈련 이원화 체제의 특성 78 [그림 Ⅱ-1] 고등학교 유형간의 관계 1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