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공업 계열 교육과정 운영의 연계·협력 방안
A Study on the Auriculated Co-operation Plan for Technical Field Curriculum Implementation as Industrial Structural Change in 21st Century
- 저자
- 이상혁 이영순 노태천 김호동 김선태 이병욱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02-3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02.12.31
- 등록일
- 2002.12.31
연구 요약 1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3. 연구 내용 4 4. 연구 방법 및 절차 4 5. 기대 효과 5 6.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고찰 6 1. 21세기 산업 구조 변화에 따른 직업교육 체제 변화 6 2. 연계 교육과정 운영 체제 26 3. 선행 연구 고찰 39 4.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초한 공업계열 학교 급별 교육과정 연계 방향 48 5. 체계적인 접근에 의한 공업계열 학교 급별 교육과정 연계의 방향 70 Ⅲ. 공업계열 학교 급별 교육과정 연계·협력 방안 81 1. 공업계 고교 입장에서 교육과정 운영의 연계·협력 방안 81 2. 전문대학 입장에서 교육과정 운영의 연계·협력 방안 109 3. 4년제 (산업)대학 입장에서 교육과정 운영의 연계·협력 방안 140 Ⅳ. 요약, 결론 및 제언 151 1. 요 약 151 3. 결 론 158 3. 제 언 160 참고 문헌 162 Abstract 174 부 록 177 <토론 1>“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초한 공업계열 연계교육과정 개발 방향 모색”에 대한 토론 185 <토론 2>“공업계 고교 입장에서 연계교육과정 협력 방안”에 대한 토론 190 <토론 3>“전문대학 입장에서 연계교육과정 협력 방안”에 대한 토론 197 <토론 4>“4년제 (산업)대학에서 연계교육과정 협력 방안”에 대한 토론 자료 204
우리 나라의 공업교육은 국가 경제 발전 5개년 계획과 맥을 같이 하면서, 우리 나라 산업 발전에 밑거름이 되어 왔다. 이와 같이 우리 나라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공업교육은 최근 직업교육이 환경 변화로 새로운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다. 정부는 실업교육이 처한 어려운 교육 환경의 개선을 위해 동일계 대학 진학시 정원외 3% 입학과 2005년부터 시행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직업탐구영역" 신설 등의 대책을 제시한 바 있다
In Korea there are several same subjects for technical high school, technical college and university. So the students who graduate technical high school are studying several same subjects in technical college. And even the college graduates who admitted in university can't avoid to study the same subjects. Therefore many technical high school graduates lose their interest in major and can not cultivate the creative thinking and high level vocational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concrete plan to relate the curriculums between technical high school, college and university for industrial structural changes in 21st century. For it we set up following problems to study. First, what's the articulated co-operation plan between schools in 21st century when industrial structures are changing? Second, what's the articulated co-operation plan between technical high school, technical college and engineering college of university curriculums? This study is completed by analyzing several documents and materials which are connected with articulated education, and by checking up questionnaire for technical high school teachers and technical college professors, who are in the mechanics, electricity, electronics, and mechatronics department, through the actual condition of articula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it is amended through seminar and expert's suggestion. ...
<표 Ⅱ-1> 입직자 수 변화 추이 6 <표 Ⅱ-2> IT 부문별 일자리 창출 및 소멸 7 <표 Ⅱ-3> 상장 기업 규모별 일자리 창출과 소멸 7 <표 Ⅱ-4> 직업 구조 변화 요인 8 <표 Ⅱ-5> 지식 산업과 지식 직업의 예 8 <표 Ⅱ-6> 직업 기초 능력의 영역 9 <표 Ⅱ-7> 신생 직업과 쇠퇴 직업의 예 10 <표 Ⅱ-8> 자격제도 분류 형태 11 <표 Ⅱ-9> 직무 분야별 자격 등급 및 종목 수 12 <표 Ⅱ-10> 직무의 변화 17 <표 Ⅱ-11> 교육환경 유형에 따른 ICT/신 교육 패러다임의 의미 18 <표 Ⅱ-12> 전통적 학습 형태와 정보화 체제내의 학습 형태 18 <표 Ⅱ-13> 일반 학교와 사이버 학교 사례 비교 19 <표 Ⅱ-14> 주요국의 직업 기초 능력 21 <표 Ⅱ-15> 2020년에 요구될 것으로 예상되는 핵심 직업기초능력 22 <표 Ⅱ-16> 일반 지식의 네 분야 23 <표 Ⅱ-17> 연계교육 방법 31 <표 Ⅱ-18> 금속과 전문 교과목과 국가 기술자격 검정 과목 비교 36 <표 Ⅱ-19> 고등교육기관의 계열 명칭 38 <표 Ⅱ-20> 주요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 운영 현황 비교표 56 <표 Ⅱ-21> NSS 작성양식 58 <표 Ⅱ-22> 외국의 국가 직무능력표준(NSS) 분류 체계 61 <표 Ⅱ-23> 체제적 접근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절차 75 <표 Ⅱ-24> 체제적 접근에 의한 교육과정의 각 단계 77 <표 Ⅲ-1> 연계 교육 체결 및 연도별 재정 지원 현황 82 <표 Ⅲ-2> 미국의 종합고등학교 교육체제 및 졸업 후 진로 87 <표 Ⅲ-3> 설문지의 주요 내용 94 <표 Ⅲ-4> 연계교육과정 요구 분석 활동 요소의 중요도 및 평가 정도 98 <표 Ⅲ-5> 연계교육과정 개발 활동 요소의 중요도 및 평가 정도 100 <표 Ⅲ-6> 연계교육과정 개발 체제 및 지원 활동 요소의 중요도 및 평가 정도 101 <표 Ⅲ-7> 연계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활동 요소의 중요도 및 평가 정도 103 <표 Ⅲ-8> 연계교육과정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요소의 중요도 및 평가 정도 104 <표 Ⅲ-9> 주요국 대학 재정 비교 116 <표 Ⅲ-10> 성인(25~64세)의 직업 교육 참여율 117 <표 Ⅲ-11> 실업계 고교 연계 교육의 전문인력 양성 기여도 121 <표 Ⅲ-12> 연계교육 입학생들의 우수성에 대한 인식 122 <표 Ⅲ-13> 연계교육 학생들의 우수성에 대한 인식 122 <표 Ⅲ-14> 연계교육에 대한 연계 교육 이수자들의 만족도 123 <표 Ⅲ-15> 연계교육 추진학과 및 대상 학생 수 현황 124 <표 Ⅲ-16> 연계교육 대상학생 우선 선발 현황 124 <표 Ⅲ-17> 입학 전형별 모집단의 크기 125 <표 Ⅲ-18> 입학 전형별 학업성적 비교(1999학년도) 127 <표 Ⅲ-19> 입학 전형별 학업성적 비교(2000학년도) 128 <표 Ⅲ-20> 입학 전형별 1학년 1학기 성적 변화(1999~2000학년도) 129 <표 Ⅲ-21> 입학 전형별 1학년 2학기 성적 변화(1999~2000학년도) 129 <표 Ⅲ-22> 세부전공별 학업 성적 비교(1999학년도) 130 <표 Ⅲ-23> 세부전공별 학업 성적 비교(2000학년도) 131 <표 Ⅲ-24> SVC의 3가지 모형 비교 137 <표 Ⅲ-25> 공과대학의 [공학입문]과 공업계 고교의 [공업입문] 교육과정 비교 143 <표 Ⅲ-26> 공과대학 [공학설계] 교과목의 단계별 명칭과 내용 144 <표 Ⅲ-27> 공업계 고교와 공과대학의 전기과 전문교과 대단원 내용 비교 147 <표 Ⅲ-28> 공업계 고교와 공과대학 전자과 전문교과 대단원 내용 비교 150 [그림 Ⅱ-1] 신 지식인의 필요 충분 조건 20 [그림 Ⅱ-2] 직업 교육과정의 연계 요소 27 [그림 Ⅱ-3] 직업 교육과정 운영 체제 32 [그림 Ⅱ-4] 직업교육 연계 체제 모형 35 [그림 Ⅱ-5] 직업능력표준 구성 54 [그림 Ⅱ-6] NSS 개발 배경 55 [그림 Ⅱ-7] 호주의 훈련 패키지 구성 요소 59 [그림 Ⅱ-8] 호주의 직무능력표준의 양식 60 [그림 Ⅱ-9] 직업 교육과정의 기본 체제 72 [그림 Ⅱ-10] 수행 향상을 위한 체제 모형 74 [그림 Ⅱ-11] 체제적인 교육과정과 수업 매체 개발(SCID) 모형 78 [그림 Ⅱ-12] 공업계열 연계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80 [그림 Ⅲ-1] 연계 교육과정 활동 요소 분석을 위한 틀 97 [그림 Ⅲ-2] 인적 자원 경쟁력 하락의 원인 118 [그림 Ⅲ-3] 현행 학제 및 고등교육기관의 유형 134 [그림 Ⅲ-4] 순환형 직업 교육 체제 모형 13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