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실태 분석

Analysis of Early Careers High School Graduates’ Work Adjustmen
저자
최동선 임언 오석영 정혜령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1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0.31
등록일
2014.02.0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8
제3절 연구의 방법	10
제4절 용어의 정의	23
제2장 고졸 초기경력자 직장적응 의미 및 적응행동_25
제1절 고졸 초기경력자의 노동시장 진입 및 직장적응 현황	27
제2절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의 의미	69
제3절 고졸 초기경력자 직장적응 관련 지원제도	82
제3장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에 관한 내러티브_105
제1절 중소제조업 남성 기능직 종사자의 내러티브 	107
제2절 금융․보험업 초기 입직 여성 종사자의 내러티브	134
제3절 IT 분야 초기 입직 여성 종사자의 내러티브	161
제4절 보건․복지업 여성 종사자의 내러티브: 두 간호조무사의 직장적응 이야기	184
제4장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실태_225
제1절 일반적 특성	227
제2절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230
제3절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관련 행동	261
제4절 소결	280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안_283
SUMMARY_297
참고문헌_303
부 록_311
1. 고졸 초기경력자용 설문지	313
2. 기업체 인사담당자용 설문지	326
본 연구는 고졸 취업자의 초기경력단계에서의 직장적응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직장적응을 향상할 수 있는 정책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졸 초기경력자의 고교 직업교육 경로별, 주요 산업·직종 분야별 직장적응 실태 및 촉진·저해요소 등을 양적·질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형태(형식학습, 무형식학습), 인사제도, 경력개발제도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에 필요한 환경적, 제도적 요인을 도출한다.
셋째, 입직 후 고졸 취업자의 직장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통해 현 중등 직업교육의 성과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current status of early careers high school graduates’ work adjustment and suggesting policy countermeasures. For these objectives, this study used following methodologies: (1) literature reviews on school-to-work transitions and work adjustment of high school graduates with early careers, (2) qualitative analysis (narrative studies) of 8 early careers high school graduates, and (3) quantitative analysis (survey research) conducting with 1,250 early careers high school graduates and 250 HRM personnels.
<표 1-1> 주요 출처별 고졸 초기경력자의 산업별․기업규모별(30인 이상) 취업 현황	11
<표 1-2> 고졸 초기경력자 직장적응 실태분석 설문조사 표본설계(안)	13
<표 1-3> 고졸 초기경력자 직장적응 실태분석 설문조사 내용 (기업체 인사담당자용)	14
<표 1-4> 고졸 초기경력자 직장적응 실태분석 설문조사 내용(근로자용)	15
<표 1-5> 내러티브 탐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18
<표 2-1>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산업별 분포	29
<표 2-2> 고졸․전문대졸 초기경력자의 성별․산업별 분포(2012년)	31
<표 2-3>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직업별 분포	33
<표 2-4> 고졸․전문대졸 초기경력자의 성별․직업별 분포(2012년)	35
<표 2-5>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산업별 정규직 비율(2012년 8월)	38
<표 2-6>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직업별 정규직 비율(2012년 8월)	40
<표 2-7> 초기경력자(임금근로자)의 학력별․종사상 지위별 분포	41
<표 2-8>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사업체 규모 분포	42
<표 2-9> 2012년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산업별 30인 미만 사업체 취업비율	43
<표 2-10> 2012년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직업별 30인 미만 사업체 취업비율	43
<표 2-11>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월평균 임금	45
<표 2-12>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	46
<표 2-13> 2012년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산업별 주당 평균 근로시간	46
<표 2-14> 2012년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직업별 주당 평균 근로시간	47
<표 2-15>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직장경험 횟수	50
<표 2-16> 2012년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성별 이직경험 비율	51
<표 2-17> 학력별 초기경력자 중 이직경험자의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	52
<표 2-18> 2012년 학력별 초기경력자 중 이직경험자의 산업별 첫 직장평균 근속기간	53
<표 2-19> 2012년 학력별 초기경력자 중 이직경험자의 직업별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	54
<표 2-20>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자발적 직장 유지 여부 	55
<표 2-21> 2012년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산업별 자발적 직장유지 비율	56
<표 2-22> 2012년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직업별 자발적 직장유지 비율	57
<표 2-23>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직장유지 이유별 분포	60
<표 2-24> 학력별 초기경력자 중 이직경험자의 첫 직장 이직사유	63
<표 2-25> 학력과 업무의 불일치 지속 및 전환 유형의 교차분석 결과	65
<표 2-26> 고졸 청년층이 구직 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1순위)	68
<표 2-27> 재직을 형성하는 일과 관련된 개인의 성격과 일의 환경	72
<표 2-28> 사업주 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 지원내용	86
<표 2-29> 사업주 직업능력개발 지원제도 규모별 지원 현황	87
<표 2-30> 유급휴가훈련 지원제도 지원내용	88
<표 2-31> 유급휴가훈련 지원제도 규모별 지원 현황	88
<표 2-32> 근로자 직무능력향상지원금 지원제도 규모별 지원 현황	90
<표 2-33> 근로자 직무능력향상지원금 지원제도와 재직자 내일배움카드제의 비교	91
<표 2-34> 재직자 내일배움카드제의 규모별 지원 현황	92
<표 2-35>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운영 현황	93
<표 2-36> 중소기업학습조직화 지원제도 유형 및 내용	94
<표 2-37> 중소기업학습조직화 지원제도 운영 현황	94
<표 2-38>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훈련지원제도 규모별 지원 현황	95
<표 2-39> 중소기업 체계적 현장훈련 지원 제도 지원 내용	96
<표 2-40>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지원제도 지원내용	97
<표 2-41> 신규 및 전직 실업자 훈련 지원 훈련직종별 참여인원 현황	100
<표 2-42> 국가기간․전략직종 훈련 지원 훈련분야별 참여인원 현황(2012년)	101
<표 3-1> 고졸 초기경력자 내러티브 결과 요약	215
<표 4-1> 조사대상자(고졸 초기경력자)의 일반적 특성	228
<표 4-2> 조사대상자(인사담당자)의 일반적 특성	229
<표 4-3> 고졸 초기경력자의 현 직장의 직업별 분포	231
<표 4-4> 고교 졸업 후 입직 경로	233
<표 4-5> 현 직장 구인 정보 경로	234
<표 4-6> 현 직장 선택 시 중요 기준	235
<표 4-7> 고졸 초기경력자의 임금 수준	237
<표 4-8> 고졸 초기경력자의 임금에 대한 만족도	239
<표 4-9> 고졸 초기경력자의 고용형태 변화	242
<표 4-10> 현 직장에서의 직무와 최종학력의 일치도	244
<표 4-11> 현 직장에서의 직무와 고교 시절 전공의 일치도	246
<표 4-12> 현 직장에서의 직무와 기술․능력의 일치도	248
<표 4-13> 조사대상 사업체의 계약형태별․최종학력별 인력구조	250
<표 4-14> 고졸 채용자 직무배치에의 전공분야 고려 여부	251
<표 4-15> 직장에서의 형식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 참여 여부 및 만족도와 현업적용도	255
<표 4-16> 직장에서의 비형식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 참여 여부 및 현업적용도	256
<표 4-17> 능력중심 인사제도 운영에 대한 고졸 초기경력자의 인식 : 기업규모별 차이	258
<표 4-18> 인사담당자들이 인식하는 현 직장 능력 중심의 인사제도 운영 수준	259
<표 4-19>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관련 변인의 특성	265
<표 4-20>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관련 변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267
<표 4-21> 재직 중 후진학 여부	269
<표 4-22> 고졸 초기경력자의 후진학 참여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71
<표 4-23> 후진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	272
<표 4-24> 출신고교 유형별 후진학 참여 비율	274
<표 4-25> 이직 의향 여부	276
<표 4-26> 고졸 초기경력자의 이직의향 이유	277
<표 4-27> 고졸 초기경력자의 이직 의향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79
[그림 1-1] 직장적응의 개념도(안)	13
[그림 1-2] 내러티브 조사내용 구조(안)	19
[그림 1-3] 내러티브 구성의 일반적인 과정	22
[그림 2-1] 학력별 초기경력자의 정규직 비율	37
[그림 2-2] 직업적응이론의 일반적인 모형	73
[그림 2-3] 개인-환경 일치성의 다각적 차원	76
[그림 4-1] 고졸 초기경력자의 재직 중 교육훈련 경험 비율	253
[그림 4-2] 능력중심 인사제도 운영에 대한 인식	257
[그림 5-1] 특성화고졸 기능직 입사자들의 성공 경력경로 형성단계 및 영향요인	28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고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실태 분석 2013.01.01~201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