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중장년층 퇴직자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연구

Job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the Medium & Old- Aged Retired
저자
나영선 박동 김수원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4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2.22
등록일
2014.02.04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6
제3절 중장년층의 범위	8
제2장 중장년층 노동시장이행과 직업능력개발_9
제1절 중장년층 노동시장이행 관련 이론적 논의	11
제2절 국내의 중장년층 직업능력개발 관련 선행연구	17
제3절 중장년층 고용구조의 특성	22
제4절 중장년층 퇴직자 특성 분석	29
제5절 소결	40
제3장 중장년층 퇴직자 지원정책 및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실태_43
제1절 정부의 퇴직자 지원정책 현황	45
제2절 퇴직자 직업능력개발프로그램 운영실태	58
제3절 전직지원 및 퇴직자 고용서비스 운영실태	75
제4절 시사점	82
제4장 중장년층 퇴직자 직업능력개발 요구조사․분석_85
제1절 조사 개요	87
제2절 중장년층의 전직 경험	90
제3절 중장년층 직업교육훈련 참여 실태	98
제4절 중장년층의 향후 희망 직업교육훈련 요구	105
제5절 시사점	119
제5장 중장년층 퇴직자를 위한 직능개발프로그램의 과제_121
제1절 기본방향	123
제2절 기업의 퇴직자 인력수요 충족	124
제3절 재취업설계와 적합직능영역	125
제4절 맞춤형 직능개발 프로그램 발굴	128
제5절 고용가능성 제고 인프라 구축	134
SUMMARY_137
참고문헌_139
부록_143
  이런 배경 하에 이 연구를 수행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층의 희망은퇴시점(만 65.5세)과 주된 일자리에서의 실제퇴직시점(만 54세)을 연결해주는 가교일자리에 필요한 직능영역의 추출, 일자리와의 연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퇴직한 중장년층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고 고용의 질을 높이기 위한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때 베이비붐세대의 인적자본과 직종, 경력 등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통합된 프로그램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접근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중장년층 퇴직자에게 적절한 직업능력개발 기회를 제공하여 양질의 일자리 진입을 유도하고 고용안정을 도모하는 정책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tirement and reemployment of the medium & old-aged worker and suggested how to design job training program for retirees. We focus on the ''bridging job training program'' for linkage of present job and available job after actual retirement and customized approach for reemployment.
The main contents were the followings: Firstly we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about the transition from the labor market to retirement and  reemployment of the medium & old-aged worker. Secondly, we collected current government-aided program and employment promotion policies  for the medium & old-aged worker.  Thirdly we conducted reemployment and job training needs survey of the medium & old-aged worker who was participating in job training program supported by government. It appeared that most of the ongoing training programs were concentrated on low-skilled jobs. ...
<표 2-1> 우리나라 중장년층과 직업훈련에 관련된 연구문헌	18
<표 2-2> 우리나라 연도별 연령층별 추계인구	22
<표 2-3> 우리나라 연도별 연령층별 경제활동인구	24
<표 2-4> 우리나라 연도별 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28
<표 2-5> 고령층의 현재 취업상태 및 과거 취업경험	30
<표 2-6> 고령층의 경제활동 상태	32
<표 2-7> 연령별/근로형태별 취업자 수	33
<표 2-8> 고령층의 직업별 취업자 수 분포	34
<표 2-9> 고령층의 향후 취업의사 및 취업동기	38
<표 2-10> 고령층의 장래 근로희망 현황	39
<표 2-11> 고령층의 장래 일자리 선택기준	40
<표 3-1> 고령자인재은행 연도별 지정기관 수 및 지원예산	46
<표 3-2> 제대군인지원센터 계급별 컨설팅 우선순위 대상	51
<표 3-3> 제대군인지원센터 구직의사별 컨설팅 우선순위 대상	52
<표 3-4> 2011년 고령자 친화형 전문기업 설립 현황	54
<표 3-5> 2011년 시니어 직능클럽 지정 현황	55
<표 3-6> 2010~2011년 전직실업자 훈련 실시 현황	61
<표 3-7> 2010~2011년 신규실업자 훈련 실시 현황	63
<표 3-8> 최근 4년간 베이비붐세대 훈련(비예산사업) 추진실적	65
<표 3-9> 2013년 베이비붐세대 훈련일정	67
<표 3-10> 제대군인지원센터 전역 전ㆍ후 교육훈련	70
<표 3-11> 서울시 인재개발원 공로연수 프로그램 세부사항	74
<표 3-12> 공공 전직지원 및 퇴직자 고용서비스기관의 현황	78
<표 3-13> 국가별 고용지원서비스 기관 및 인력 비교	78
<표 3-14> 민간 전직지원 및 퇴직자 고용서비스업체의 현황	79
<표 3-15> 연령별 평균 이직횟수	80
<표 3-16> 준ㆍ고령자의 전직 실패사유	80
<표 4-1> 조사 설계 개요	88
<표 4-2> 조사 세부 내용	88
<표 4-3> 설문조사의 응답자 특성	89
<표 4-4> 이전 직장의 직종	91
<표 4-5> 이전 직장의 근무 형태	93
<표 4-6> 이전 직장의 근무 기간	95
<표 4-7> 이전 직장의 평균 월급	96
<표 4-8> 현재 교육 중인 직업훈련기관	99
<표 4-9> 교육훈련과정 참여 목적	101
<표 4-10> 현재 참여 중인 교육프로그램 내용(중복응답 허용)	103
<표 4-11> 교육훈련과정 만족도	104
<표 4-12> 교육훈련이 필요한 항목	105
<표 4-13> 직업훈련 지속 의사	106
<표 4-14> 직업훈련과정 선택 시 고려사항	108
<표 4-15> 향후 배우길 희망하는 교육훈련 내용	111
<표 4-16> 직업훈련 이수 후 계획	112
<표 4-17> 재취업 및 창업 시 희망 분야	113
<표 4-18> 재취업 및 창업 시 희망 직무	114
<표 4-19> 재취업 및 창업 시 희망 근로연수	117
[그림 2-1] 점진적 퇴직 이행기간 동안의 근로모형	15
[그림 2-2] 우리나라의 인구지표와 전망	17
[그림 2-3] 우리나라의 연도별 연령층별 추계인구 구성	23
[그림 2-4] 우리나라 연령별 고용률 추이	25
[그림 2-5] 우리나라 연령별 생산가능인구 추이	26
[그림 2-6]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 및 50세 이상 인구비중 추이	27
[그림 2-7] 우리나라 생산가능인구의 연령대별 비중	29
[그림 2-8] 고령층의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평균근속기간 추이	35
[그림 2-9] 고령층의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퇴직 사유(2013)	36
[그림 2-10] 고령층의 비구직 미취업자 수 및 비구직 사유	37
[그림 3-1] 제대군인지원센터 조직도별 주요 업무	50
[그림 3-2] 제대군인지원센터 지원영역별 세부내용	51
[그림 3-3] 시니어 창업스쿨의 프로그램	71
[그림 3-4] 서울시 인재개발원 조직도	72
[그림 3-5] 전직지원서비스의 유형	77
[그림 4-1] 이전 직장의 업종	90
[그림 4-2] 이전 직장의 종업원 규모	93
[그림 4-3] 이전 직장에서의 직위	97
[그림 4-4] 이전 직장에서의 직무	97
[그림 4-5] 이전 직장의 퇴사 이유	98
[그림 4-6] 직업훈련기관 인지 경로	100
[그림 4-7] 직업교육훈련기관 선택 이유	101
[그림 4-8] 희망하는 직업훈련과정	107
[그림 4-9] 희망하는 직업훈련 방법	108
[그림 4-10] 일일적정 교육시간	109
[그림 4-11] 적정 교육훈련 기간	110
[그림 4-12] 직업훈련 개선사항	110
[그림 4-13] 재취업 및 창업 시 희망 업종	116
[그림 4-14] 재취업 및 창업 시 희망 수입	116
[그림 4-15] 재취업 및 창업의 가장 큰 장애물	118
[그림 4-16] 재취업 및 창업과 관련한 희망 지원사항	11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중장년층 퇴직자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연구 2013.07.23~2013.12.22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