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핵심 과제와 추진 전략

The Core Tasks and Promotional Strategies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저자
정향진 김덕기 김미숙 김종우 김현수 이동임 최동선 이유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4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2.31
등록일
2014.02.0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제2장 NCS 정책 동향_13
제1절 NCS 관련 국정 과제 동향	15
제2절 NCS 관련 법 동향	21
제3절 NCS 정책 동향에 따른 핵심 과제 도출	27
제4절 NCS 운영 해외 사례	29
제3장 NCS 핵심 과제_49
제1절 NCS 개발	51
제2절 NCS 학습모듈의 개발	63
제3절 NCS 교육훈련과정 활용	80
제4절 NCS 기반 자격제도 운영 방안	102
제5절 직무능력평가제 도입 및 시범 운영	114
제6절 국가역량체계(NQF)의 도입	144
제7절 NCS 및 NQF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160
제4장 NCS 추진 전략 및 로드맵_175
제1절 NCS 추진 전략	177
제2절 NCS 추진 로드맵	182
SUMMARY_191
참고문헌_195
부 록_205
1. NCS 학습모듈 개발계획서 양식	207
2. NCS 학습모듈(안)	214
  본 연구의 목적은 능력 중심 사회 구현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 핵심 과제를 도출하고 추진 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에 따른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 중심 사회 구현을 선도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NCS 핵심 과제를 제시한다.  
  둘째, NCS의 활용 목적과 범위를 명확히 하고, 단계별 성취를 위한 전체적이고 체계적인 로드맵을 제시한다.
The Government is promoting the unification of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and qualifications, through constructing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s a core mechanism for saying no to society dominated by academic cliques and going for competency-centered society. The NCS will play a role as core infrastructure for realizing the future great power of talented people. 
Thus,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trends related to  NCS, and then drew core tasks needed to lead relevant policies. Then, this study derived promotional strategies and a road map that would innovat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o meet industrial demand. ...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핵심 과제와 추진 전략 2013.04.01~201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