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의 교육·고용 연계 실태와 과제

A Study on Education and Employment Linkage for Master
저자
윤형한 윤여인 양정승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0.31
등록일
2014.02.0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7
제3절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17
제2장 이론적 배경과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지원 현황_19
제1절 일반대학원의 석사졸업자 배출	21
제2절 교육․고용 연계의 이론적 배경	33
제3절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의 교육․고용 연계 분석틀	42
제4절 일반대학원의 교육․고용 연계 지원 현황	56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73
제3장 일반대학원 석사졸업자의 교육・고용 이행 실태_79
제1절 석사과정으로의 진학	82
제2절 석사과정에서 학업생활	100
제3절 석사졸업 후 취업	119
제4절 석사인력과 석사교육에 대한 요구	138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154
제4장 해외의 대학원 석사과정 교육․고용 연계 지원_157
제1절 해외사례 분석 개요	159
제2절 독일	160
제3절 미국	175
제4절 프랑스	190
제5절 영국	199
제6절 일본	207
제7절 요약 및 시사점	215
제5장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의 교육・고용 연계를 위한 정책 제언_221
제1절 정책 제언의 기본 방향	223
제2절 정책 제언	224
SUMMARY_239
참고문헌_243
부 록_259
<부록1> 일반대학원 석사재직자의 교육 및 직장생활 실태 조사지	261
<부록2> 기업의 일반대학원 석사인력 활용 실태 조사지	272
  일반대학원 교육의 수준과 질, 나아가 교육과 고용의 연계를 위해서는 석사과정에서 좋은 교육이란 무엇이고, 좋은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주요 당사자인 교수 차원, 학과 차원, 대학 차원의 고민(bottom-up)에서 비롯된 정책이 제안되고 활용되어야 한다. 이들 정책이 효율적으로 기능할 때 교육?고용의 원활한 연계를 포함하는 대학원교육의 선순환적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의 교육·고용 연계 실태 파악을 선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일반대학원 석사졸업생의 진학과 취업을 포함하는 향후 진로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와 제고된 고용가능성을 바탕으로 노동시장으로의 원활한 이행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과제의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linkage between education and employment for a master’s degree course of general graduate schools and to suggest thereby practical policy plans to support effective entering to labor market for graduates with a master’s degree.
This research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is to set a theoretical framework and deals with recent theories of linkage between education and employment. The second section conducts a survey on career and education for graduates with a general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and is to analyze employment status and wage effect to apply statistical method. The third section analyzes 5 countries advanced graduate school system and graduate school programs(Germany, France, Japan, England, and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final section is to suggest practical policy plans to improve employability of graduates with a master's degree in several aspects. ...
<표 1-1> 기업의 일반대학원 석사인력 활용 실태 조사표본	10
<표 1-2> 조사 참여 사업체의 특성	11
<표 1-3> 기업의 일반대학원 석사인력 활용 실태 조사내용	12
<표 1-4> 일반대학원 석사재직자의 교육 및 직장생활 실태 조사내용	13
<표 1-5> 조사 참여 석사재직자의 특성	15
<표 1-6> 해외사례 분석내용	16
<표 2-1> 우리나라의 대학원 유형별 특성	22
<표 2-2>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생의 규모 변화(1970~2012)	25
<표 2-3> 4년제 대졸자의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진학	27
<표 2-4> 일반대학원 석사학위과정 졸업자의 진로	31
<표 2-5> 일반대학원 석사학위과정 졸업자의 진학	32
<표 2-6>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졸업자의 대학원교육 만족도	49
<표 2-7>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의 교육․고용 연계 분석의 내용	55
<표 2-8> 2010년도 일반대학원 재정지원 규모(교육부)	61
<표 2-9> 계약학과의 주요 내용	70
<표 2-10> 채용조건형 일반대학원 계약학과 설치 현황(2012년)	71
<표 2-11>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에서 대학원의 역할	72
<표 3-1> 4년제 대학 졸업자의 대학원 진학비율	83
<표 3-2> 출신대학의 지역과 진학한 대학원의 지역	84
<표 3-3>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진학자 수와 대졸취업자 수	85
<표 3-4> 일반대학원 석사진학자와 대졸취업자의 졸업평점과 영어성적	86
<표 3-5> 일반대학원 진학이유	88
<표 3-6> 대학교와 대학원 전공 일치 여부	88
<표 3-7> 졸업한 학교와 동일 전공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	89
<표 3-8> 대학원 진학결정모형에 사용한 설명변수들의 기초통계량	94
<표 3-9> 대학진학 결정요인 로짓분석 결과	97
<표 3-10> 대학원 진학이유와 전공일치 여부 전공 전환 이유	103
<표 3-11> 석사과정 중 근로경험과 주당 평균 공부시간	107
<표 3-12> 학자금의 주된 조달방법과 휴학경험 비율	109
<표 3-13>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만족도	116
<표 3-14> 일반대학원 석사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평가	117
<표 3-15> 취업 현황 분석을 위한 대상 인원 수	120
<표 3-16> 근로시간과 월평균 임금	123
<표 3-17> 현 직장 만족도	126
<표 3-18> 교육과 기술 수준의 업무내용과의 불일치	127
<표 3-19> 업무내용과 전공의 적합도 및 도움 정도	128
<표 3-20> 전공계열별 업무내용과 전공의 적합도 및 도움 정도	130
<표 3-21> 성향점수 추정	133
<표 3-22> 자료의 매칭 이전과 이후의 균형(balance) 확인	135
<표 3-23>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졸업의 평균처치효과	138
<표 3-24> 산업별 석사인력 분포	139
<표 3-25> 사업체 유형별 석사인력 분포	140
<표 3-26> 산업별 대졸 대비 석사인력 비율	141
<표 3-27> 사업체 대졸 대비 석사인력 비율	142
<표 3-28> 기업의 석사인력 근로형태별 채용(성별, 신입․경력)	143
<표 3-29> 산업별 전공중요도 평가와 연봉	148
<표 3-30> 사업체 유형별 전공중요도 평가와 연봉	149
<표 3-31> 산업별 승진소요연수와 석사과정 진학	150
<표 3-32> 사업체 유형별 승진소요연수와 석사과정 진학	151
<표 3-33> 직업기초능력 평가	153
<표 4-1> 대학원 진학자 및 대학진학률 변화	162
<표 4-2> 학사수료 후 1년 이내의 석사과정 진학(예정)자 비중	163
<표 4-3> 학사・석사 졸업 후 1년 이내의 구직 실태(2009년)	164
<표 4-4> 대학(원) 석사졸업 후 1년 이내의 구직상태(2009년)	165
<표 4-5> 1차 고등교육과정 졸업자 및 수료 비중 변화	167
<표 4-6> 재학생 및 졸업생에게 제공하는 커리어서비스 내용	170
<표 4-7> 기업에 제공하는 커리어서비스 내용	171
<표 4-8> PREPARE+ 프로그램 커리큘럼(예시)	172
<표 4-9> 석사 및 박사학위 졸업자 추정(1970~2021년)	177
<표 4-10> 캘리포니아버클리대학 진로정보센터의 서비스 내용	183
<표 4-11> 캘리포니아버클리대학 진로정보센터의 진로탐색 절차와 방법 제공	184
<표 4-12> 조지아공과대학의 진로지원 서비스	187
<표 4-13> 2004~2012년 대학원 재학생 수 변화	192
<표 4-14> 2007/2009년 석사졸업자의 진로	192
<표 4-15> 석・박사 통합 대학원 재학생 수	201
<표 4-16> 2011~2012학년도 영국 석사졸업자의 진로형태	202
<표 4-17> 기업의 대학원교육에 대한 기대	210
<표 4-18> 주요 국가의 대학원 석사교육과정 특징 비교	216
<표 4-19> 주요 국가의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교육․고용 연계 내용	218
<표 5-1> 현행 대학알리미의 대학-대학원 주요 정보공시 여부	226
[그림 2-1] 대학원 규모(대학원, 학생) 규모 변화(1970~2012)	24
[그림 2-2] 일반대학원 석사졸업생의 졸업 후 진로유형	29
[그림 2-3] 대학 전임교원의 연령(좌), 학위취득지(우) 추이	30
[그림 2-4] 석․박사 대학원생의 졸업 후 희망진로 유형	32
[그림 2-5]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체제	34
[그림 2-6] 이행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거시적 관점)	37
[그림 2-7] 교육․노동시장 연계체제의 요소(매개장치)	42
[그림 2-8] 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교육․고용 연계	45
[그림 2-9] 노동시장과 고등교육 간 연계: 구조, 신호, 대응	51
[그림 2-10] 교육․고용 연계의 기본 프레임	52
[그림 2-11] 일반대학원생과 2단계 BK21사업 참여 대학원생의 취업률	63
[그림 2-12] 대학원생 취업지원 프로그램 신청서(예시)	67
[그림 2-13] 취업지원 프로그램 공고(예시)	68
[그림 3-1] 학비조달 유형	87
[그림 3-2] 대학입학 당시 부모의 소득과 1차년도 조사 당시 현재 소득	90
[그림 3-3] 부모의 학력	91
[그림 3-4] 부모의 학력과 월평균 소득 분포	102
[그림 3-5] 대학원 선택의 중요 기준	104
[그림 3-6] 대학원 정보 취득 경로	105
[그림 3-7] 전공 변경 이유	106
[그림 3-8] 직장에서의 석사과정 지원 유형	108
[그림 3-9] 주된 휴학 이유	110
[그림 3-10] 지도교수 선택의 우선순위	111
[그림 3-11] 지도교수에 대한 만족도	112
[그림 3-12] 강의 및 수업에 대한 평가	113
[그림 3-13] 인턴십 경험 여부 및 참여자의 평가	114
[그림 3-14] 인턴십(또는 현장학습) 참여유형	115
[그림 3-15] 석사과정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	118
[그림 3-16] 석사학위의 효용성	119
[그림 3-17] 종사상 지위와 근로형태	121
[그림 3-18] 사업체 형태별 비정규직 비율	121
[그림 3-19] 전공계열별 월평균 임금	124
[그림 3-20] 전공계열별 비정규직 비중	125
[그림 3-21] 업무요구능력과 전공지식의 업무수행에 도움이 된 능력	129
[그림 3-22] 신규채용 시 석사사원 구분 여부, 연봉 차등 책정 여부	144
[그림 3-23] 석사 신규인력 채용 주요 경로	145
[그림 3-24] 석사 신규인력 채용 시 경력 인정	146
[그림 3-25] 석사 신규인력 선발 시 중요한 기준	147
[그림 3-26] 가장 효과가 큰 석사 신규인력 선발도구	147
[그림 3-27] 재직 중인 석사과정 진학생	152
[그림 3-28] 전반적인 업무능력에 대한 평가	154
[그림 4-1] 학교설립유형에 따른 대학원 재학생 수(1970~2011년)	176
[그림 4-2] 석사졸업자의 전공에 따른 취업분야	178
[그림 4-3] 진로선택 영향요인	180
[그림 4-4] 학위와 업무수준에 따른 학위가치 하락 정도	193
[그림 4-5] 석사과정 수료자 및 학위수여자 규모	208
[그림 4-6] 석사과정 수료자의 진로	209
[그림 5-1]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의 교육·고용 연계를 위한 정책 과제	22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의 교육-고용 연계 실태와 과제 2013.01.01~201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