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기업의 일반대학원 석사인력 활용 실태 조사표본 10
<표 1-2> 조사 참여 사업체의 특성 11
<표 1-3> 기업의 일반대학원 석사인력 활용 실태 조사내용 12
<표 1-4> 일반대학원 석사재직자의 교육 및 직장생활 실태 조사내용 13
<표 1-5> 조사 참여 석사재직자의 특성 15
<표 1-6> 해외사례 분석내용 16
<표 2-1> 우리나라의 대학원 유형별 특성 22
<표 2-2>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생의 규모 변화(1970~2012) 25
<표 2-3> 4년제 대졸자의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진학 27
<표 2-4> 일반대학원 석사학위과정 졸업자의 진로 31
<표 2-5> 일반대학원 석사학위과정 졸업자의 진학 32
<표 2-6>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졸업자의 대학원교육 만족도 49
<표 2-7>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의 교육․고용 연계 분석의 내용 55
<표 2-8> 2010년도 일반대학원 재정지원 규모(교육부) 61
<표 2-9> 계약학과의 주요 내용 70
<표 2-10> 채용조건형 일반대학원 계약학과 설치 현황(2012년) 71
<표 2-11>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에서 대학원의 역할 72
<표 3-1> 4년제 대학 졸업자의 대학원 진학비율 83
<표 3-2> 출신대학의 지역과 진학한 대학원의 지역 84
<표 3-3>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진학자 수와 대졸취업자 수 85
<표 3-4> 일반대학원 석사진학자와 대졸취업자의 졸업평점과 영어성적 86
<표 3-5> 일반대학원 진학이유 88
<표 3-6> 대학교와 대학원 전공 일치 여부 88
<표 3-7> 졸업한 학교와 동일 전공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 89
<표 3-8> 대학원 진학결정모형에 사용한 설명변수들의 기초통계량 94
<표 3-9> 대학진학 결정요인 로짓분석 결과 97
<표 3-10> 대학원 진학이유와 전공일치 여부 전공 전환 이유 103
<표 3-11> 석사과정 중 근로경험과 주당 평균 공부시간 107
<표 3-12> 학자금의 주된 조달방법과 휴학경험 비율 109
<표 3-13>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만족도 116
<표 3-14> 일반대학원 석사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평가 117
<표 3-15> 취업 현황 분석을 위한 대상 인원 수 120
<표 3-16> 근로시간과 월평균 임금 123
<표 3-17> 현 직장 만족도 126
<표 3-18> 교육과 기술 수준의 업무내용과의 불일치 127
<표 3-19> 업무내용과 전공의 적합도 및 도움 정도 128
<표 3-20> 전공계열별 업무내용과 전공의 적합도 및 도움 정도 130
<표 3-21> 성향점수 추정 133
<표 3-22> 자료의 매칭 이전과 이후의 균형(balance) 확인 135
<표 3-23>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졸업의 평균처치효과 138
<표 3-24> 산업별 석사인력 분포 139
<표 3-25> 사업체 유형별 석사인력 분포 140
<표 3-26> 산업별 대졸 대비 석사인력 비율 141
<표 3-27> 사업체 대졸 대비 석사인력 비율 142
<표 3-28> 기업의 석사인력 근로형태별 채용(성별, 신입․경력) 143
<표 3-29> 산업별 전공중요도 평가와 연봉 148
<표 3-30> 사업체 유형별 전공중요도 평가와 연봉 149
<표 3-31> 산업별 승진소요연수와 석사과정 진학 150
<표 3-32> 사업체 유형별 승진소요연수와 석사과정 진학 151
<표 3-33> 직업기초능력 평가 153
<표 4-1> 대학원 진학자 및 대학진학률 변화 162
<표 4-2> 학사수료 후 1년 이내의 석사과정 진학(예정)자 비중 163
<표 4-3> 학사・석사 졸업 후 1년 이내의 구직 실태(2009년) 164
<표 4-4> 대학(원) 석사졸업 후 1년 이내의 구직상태(2009년) 165
<표 4-5> 1차 고등교육과정 졸업자 및 수료 비중 변화 167
<표 4-6> 재학생 및 졸업생에게 제공하는 커리어서비스 내용 170
<표 4-7> 기업에 제공하는 커리어서비스 내용 171
<표 4-8> PREPARE+ 프로그램 커리큘럼(예시) 172
<표 4-9> 석사 및 박사학위 졸업자 추정(1970~2021년) 177
<표 4-10> 캘리포니아버클리대학 진로정보센터의 서비스 내용 183
<표 4-11> 캘리포니아버클리대학 진로정보센터의 진로탐색 절차와 방법 제공 184
<표 4-12> 조지아공과대학의 진로지원 서비스 187
<표 4-13> 2004~2012년 대학원 재학생 수 변화 192
<표 4-14> 2007/2009년 석사졸업자의 진로 192
<표 4-15> 석・박사 통합 대학원 재학생 수 201
<표 4-16> 2011~2012학년도 영국 석사졸업자의 진로형태 202
<표 4-17> 기업의 대학원교육에 대한 기대 210
<표 4-18> 주요 국가의 대학원 석사교육과정 특징 비교 216
<표 4-19> 주요 국가의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교육․고용 연계 내용 218
<표 5-1> 현행 대학알리미의 대학-대학원 주요 정보공시 여부 226
[그림 2-1] 대학원 규모(대학원, 학생) 규모 변화(1970~2012) 24
[그림 2-2] 일반대학원 석사졸업생의 졸업 후 진로유형 29
[그림 2-3] 대학 전임교원의 연령(좌), 학위취득지(우) 추이 30
[그림 2-4] 석․박사 대학원생의 졸업 후 희망진로 유형 32
[그림 2-5]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체제 34
[그림 2-6] 이행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거시적 관점) 37
[그림 2-7] 교육․노동시장 연계체제의 요소(매개장치) 42
[그림 2-8] 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교육․고용 연계 45
[그림 2-9] 노동시장과 고등교육 간 연계: 구조, 신호, 대응 51
[그림 2-10] 교육․고용 연계의 기본 프레임 52
[그림 2-11] 일반대학원생과 2단계 BK21사업 참여 대학원생의 취업률 63
[그림 2-12] 대학원생 취업지원 프로그램 신청서(예시) 67
[그림 2-13] 취업지원 프로그램 공고(예시) 68
[그림 3-1] 학비조달 유형 87
[그림 3-2] 대학입학 당시 부모의 소득과 1차년도 조사 당시 현재 소득 90
[그림 3-3] 부모의 학력 91
[그림 3-4] 부모의 학력과 월평균 소득 분포 102
[그림 3-5] 대학원 선택의 중요 기준 104
[그림 3-6] 대학원 정보 취득 경로 105
[그림 3-7] 전공 변경 이유 106
[그림 3-8] 직장에서의 석사과정 지원 유형 108
[그림 3-9] 주된 휴학 이유 110
[그림 3-10] 지도교수 선택의 우선순위 111
[그림 3-11] 지도교수에 대한 만족도 112
[그림 3-12] 강의 및 수업에 대한 평가 113
[그림 3-13] 인턴십 경험 여부 및 참여자의 평가 114
[그림 3-14] 인턴십(또는 현장학습) 참여유형 115
[그림 3-15] 석사과정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 118
[그림 3-16] 석사학위의 효용성 119
[그림 3-17] 종사상 지위와 근로형태 121
[그림 3-18] 사업체 형태별 비정규직 비율 121
[그림 3-19] 전공계열별 월평균 임금 124
[그림 3-20] 전공계열별 비정규직 비중 125
[그림 3-21] 업무요구능력과 전공지식의 업무수행에 도움이 된 능력 129
[그림 3-22] 신규채용 시 석사사원 구분 여부, 연봉 차등 책정 여부 144
[그림 3-23] 석사 신규인력 채용 주요 경로 145
[그림 3-24] 석사 신규인력 채용 시 경력 인정 146
[그림 3-25] 석사 신규인력 선발 시 중요한 기준 147
[그림 3-26] 가장 효과가 큰 석사 신규인력 선발도구 147
[그림 3-27] 재직 중인 석사과정 진학생 152
[그림 3-28] 전반적인 업무능력에 대한 평가 154
[그림 4-1] 학교설립유형에 따른 대학원 재학생 수(1970~2011년) 176
[그림 4-2] 석사졸업자의 전공에 따른 취업분야 178
[그림 4-3] 진로선택 영향요인 180
[그림 4-4] 학위와 업무수준에 따른 학위가치 하락 정도 193
[그림 4-5] 석사과정 수료자 및 학위수여자 규모 208
[그림 4-6] 석사과정 수료자의 진로 209
[그림 5-1]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의 교육·고용 연계를 위한 정책 과제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