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 사업(2013)
OECD INES LSO Network(2013)
- 저자
- 나영선 박천수 박동진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13-0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3.12.31
- 등록일
- 2014.02.0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OECD 교육지표교육성과지표OECD INES LSOEAG
제1장 서 론_1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3 제2절 사업의 내용 및 방법7 제3절 통계의 범위 및 기준9 제2장 OECD EAG 통계자료 제공과 주요 내용_13 제1절 EAG 2013의 구조15 제2절 EAG 2013 통계자료의 검증18 제3절 EAG 2014 통계자료 제공24 제4절 교육의 노동시장 및 사회적 성과(LSO) 지표 분석28 제3장 OECD INES LSO 네트워크 총회 및 분과별 활동_45 제1절 제9차 총회 및 분과별 활동47 제2절 제10차 총회 및 분과별 활동66 제3절 시사점82 제4장 교육성과에 대한 OECD와 한국 사례 비교분석_85 제1절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87 제2절 교육의 임금프리미엄103 제3절 교육투자 인센티브118 제5장 결론_129 참고문헌_137 부 록_139 1. OECD INES LOS 제9차, 제10차 총회 및 분과활동 일정표141 2. 원내 EAG(Education at Glance) 공유회 자료146
한국을 대표하여 OECD INES 교육성과(LSO)의 국제지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이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OECD가 발간하고 있는 대표적 교육통계 자료집인 (Education A Glance)에 활용될 한국의 LSO 관련 통계자료를 발굴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OECD 통계자료의 국제비교 가능성을 제고한다. 둘째, OECD INES LSO의 주요 지표영역에 대한 국제 동향을 파악하여 국내에서도 국제적으로 비교 가능한 지표 및 통계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셋째, OECD INES LSO 지표를 중심으로 최근 교육의 노동시장 및 사회적 성과 관련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사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와 관련된 국제적인 관심 주제와 시각을 원 내외로 공유한다. 넷째, 인적자원개발 분야에서 OECD 통계의 활용 증대를 통한 정책개발 역량 및 수준 제고에 기여한다.
<표 1-1> OECD 국가의 LSO 네트워크 사업 참여 현황(2013년 6월) 5 <표 1-2> OECD INES LSO 과년도 사업진행 현황(2009~2012) 8 <표 1-3>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 97)와 우리나라의 학제 11 <표 2-1> EAG 2013의 구조 17 <표 2-2> EAG 2013: 교육의 임금 프리미엄 관련 지표 목록 18 <표 2-3> EAG 2013: 교육투자 인센티브 관련 지표 목록(2013) 20 <표 2-4> EAG 2013: 학교에서 직장이행 단계의 15~29세 청년층 관련 지표 목록 21 <표 2-5> 한국의 15~29세 청년 니트(NEET) 추계 방식 비교 23 <표 2-6> EAG 2014: 성인의 교육수준 지표(A1) 25 <표 2-7> EAG 2014: 교육수준별 노동시장 참여 현황 지표(A5) 25 <표 2-8> EAG 2014: 교육수준별 임금프리미엄(A6) 26 <표 2-9> EAG 2014: 교육의 사회적 성과 지표 27 <표 2-10> EAG 2014: 성인학습 지표 27 <표 2-11> EAG 2014: 세대간 교육이동 지표 27 <표 3-1> ISCED 2011 criteria for ISCED 4 and 5 51 <표 3-2> ISCED 2011 criteria for ISCED 5 and 6 52 <표 3-3> 성인학습분과 EAG 2013~2017계획 55 <표 3-4> 각국의 15~29세 청년층의 실업률 61 <표 3-5> LSO 지표 /PIAAC 통합을 위한 DJS 분과 활동 내역 70 <표 3-6> 세대 간 교육이동 지표개발 제안 71 <표 3-7> OECD ISCED4의 상대적 임금수준 76 <표 3-8> 주요 사회적 성과 지표의 측정 77 <표 3-9> PIAAC 사회적 성과 지표 활용과 관련된 고려사항 78 <표 3-10> 공표의 한계와 신뢰 기준 80 <표 4-1> OECD 국가들의 15~29세 학업 및 비학업 상태 연도별 구성비 변화 91 <표 4-2> OECD 국가들의 15~29세 비학업 상태(니트) 청년층의 구성(2011) 94 <표 4-3> 주요 OECD 국가들의 학력별 청년니트 구성 비교 96 <표 4-4> OECD 국가 청년층의 전일제와 비자발적 시간제근로 상태 97 <표 4-5> 주요 국가의 청년층 시간제근로자 중 비자발적인 시간제근로자 비중 99 <표 4-6> OECD 평균 비학위과정의 상대적 임금수준 105 <표 4-7> 중졸 이하 연령과 성별 임금수준 105 <표 4-8> 전문대졸의 연령과 성별 임금수준 106 <표 4-9> 4년제 이상의 연령과 성별 임금수준 107 <표 4-10> 교육수준별 25~64세 상대적 임금 추세 108 <표 4-11> 교육수준별 25~64세 남자의 상대적 임금 추세 109 <표 4-12> 교육수준별 25~64세 여자의 상대적 임금 추세 110 <표 4-13> 교육수준과 연령별 상용직 여성 임금수준(2011) 111 <표 4-14> 교육수준별 25~64세 여성 임금 추세 112 <표 4-15> 25~64세 교육수준별 소득 분포(2011) 113 <표 4-16> 교육수준별 성별 학생의 상대적 임금(15~24세) 115 <표 4-17> 교육투자의 비용과 수익 119 <표 4-18> OECD 주요국 대학교육의 사적비용 및 수익 122 <부록 1-1> OECD INES LSO 제9차 회의 일정(2013.2.20.~22) 141 <부록 1-2> OECD INES LSO 제10차 회의 일정(2013.9.22.~25) 143 [그림 3-1] Ben Porath 모형: 교육에 집중하는 시간 58 [그림 3-2] 연령별 X와 Y의 소득변화 59 [그림 3-3] 교육의 사회적 성과: 경험적 결과 예시 66 [그림 3-4] 공식/비공식 교육 참여에 따른 문해력 점수 7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 사업(2013) | 2013.01.01~2013.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