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창조경제 시대의 진로교육 패러다임 연구

An Analysis on the Career Education Paradigm in the Era of Creative Economy
저자
김상호 김승보 이유진 이성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2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2.31
등록일
2014.02.0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배경	3
제2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
제3절 주요 연구내용 및 연구 추진 방법	6
제4절 주요 용어의 정의	11
제5절 연구의 한계 및 제한	13
제2장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_15
제1절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추진계획	18
제2절 창조경제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23
제3절 진로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35
제4절 창조경제와 진로교육 간의 연계성 탐색	40
제5절 소결	45
제3장 미래사회와 창조경제 패러다임_49
제1절 시대별 경제 패러다임 비교	51
제2절 창조경제 관점에서 본 미래사회와 메가트렌드	54
제3절 창조경제와 고용시장	71
제4절 소결	77
제4장 현행 진로교육 실태 및 한계_79
제1절 현행 진로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	81
제2절 현행 진로교육 패러다임의 문제점 및 한계	95
제5장 창조경제 시대의 진로교육 패러다임 모색_97
제1절 전문가 심층면담 개요	99
제2절 전문가 심층면담 결과	104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124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_129
제1절 결론	131
제2절 정책제언	137
SUMMARY_143
참고문헌_147
부  록_157
1. 전문가 심층면담지	159
2. 창조경제 관련 메가트렌드 분석결과	178
3. 창조경제를 견인할 창의인재 양성 전략 및 추진과제	197
4. 인생 100세 시대의 평생학습시대와 진로교육	198
 창조경제 시대를 이끌어 갈 창의적 인재의 양성을 위해서는 기존의 진로교육 체계의 재점검이 요구된다. 창조경제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양성된 인재가 꿈과 끼를 살릴 수 있는 일자리에 배치될 수 있는 진로지도와 진로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조경제와 글로벌 미래트렌드 변화와 연계된 진로교육의 정책적 현안을 분석하고, 발전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한 진로교육 시스템 개혁의 방향성과 발전전략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즉, 국가발전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창조경제가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진로교육 시스템 개혁의 방향성과 실천적 이슈 및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As a creative economy becomes a promising trend as a new economy paradigm, training creative individuals is very important in South Korea.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the political issues of career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into a new direction for building up the creative talented person for the coming society. 
In order to articulate the subject of this study, literature survey, expert consultation, empirical analysis, and expert in-depth interviews are used. ...
<표 2-1>	창조경제 추진전략 3대 목표 6대 전략	18
<표 2-2>	창조경제 실현계획 전략별 24개 추진과제	19
<표 2-3>	우리나라 글로벌 경쟁력 지수	22
<표 2-4>	국내외 미래사회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24
<표 2-5>	국내 창조경제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28
<표 2-6>	국외 창조경제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33
<표 2-7>	국내외 진로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38
<표 2-8>	진로교육 및 창의인재 양성 관련 창조경제 실현계획	41
<표 2-9>	연구방법별 선행연구 요약	45
<표 3-1>	경제 패러다임 변화와 요구능력 비교	54
<표 3-2>	메가트렌드 STEEP별 분류	55
<표 3-3>	우리나라 IMD 과학, 기술경쟁력	58
<표 3-4>	우리나라 2012년 ITU ICT 발전지수 세부지표 순위	61
<표 3-5>	세계 지역별 청년층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	64
<표 3-6>	우리나라 WEF 과학기술 경쟁력	66
<표 3-7>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한 주요 핵심정책	67
<표 3-8>	연령별 인구 분포	70
<표 3-9>	창의적 문제해결 요구수준에 따른 고용효과 비교	72
<표 3-10>	창의성 요구수준이 높은 직업	74
<표 3-11>	창의성 요구수준이 높은 직업과 기타 직업의종사자 변화	75
<표 3-12>	창의성 요구수준이 높은 직업과 기타 직업 월평균 임금 비교	75
<표 3-13>	창의성 요구수준이 높은 직업과 기타 직업의 학력 비교	75
<표 3-14>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관련 직업 예시	76
<표 4-1>	PISA 2006의 국가별 주당 평균 학습시간, 점수 및 시간당 점수(과학+수학+읽기)	86
<표 4-2>	학업성취도에 따른 사교육 참여율(수학)	87
<표 4-3>	학업성취도에 따른 사교육 참여 시간(수학)	87
<표 4-4>	영재교육 수혜자의 분야별 현황	89
<표 5-1>	전문가 면담 대상자 인적사항	100
<표 5-2>	면담 항목의 영역별 세부 내용	102
<표 5-3>	창의성의 4가지 모델	108
<표 5-4>	창업 유형별 생존율	113
<표 5-5>	진로교육과 연계성 높은 창조경제 정책(문항별)	118
<표 5-6>	창조경제 전후의 진로교육 패러다임 비교	125
<표 5-7>	창조경제 시대의 진로교육 관련 SWOT 분석	127
<부록 표 1> WEF의 우리나라 고등교육에 대한 훈련지수 및 순위	168
<부록 표 2> 2011년 연령별 고등학교 및 고등교육 이수율	169
<부록 표 3> STEEP별 창조경제 관련 메가트렌드 분석	178
<부록 표 4> 연도별 직업 종사자 수(모든 연령)	193
<부록 표 5> 연도별 직업 종사자 수(30세 이하)	195
[그림 1-1] 연구내용에 따른 연구방법	10
[그림 2-1] 우리나라 글로벌 경쟁력 지수 평가항목별 분포	22
[그림 2-2] 공공정책에서의 창조성 진화	32
[그림 2-3] 창조경제 시대의 창의인재상	44
[그림 3-1] 시대별 패러다임과 주요 특성	53
[그림 3-2] 미래사회 메가트렌드 중 창조경제 관련 주요 이슈	57
[그림 3-3] 주요국 ITU ICT 발전지수 순위	62
[그림 4-1] 연도별 고등교육기관 중퇴율	82
[그림 4-2] 9급 공무원 학력변화	83
[그림 5-1] 창조경제와 자동차 산업	105
[그림 5-2] 창의성의 4가지 C 모델	108
[그림 5-3] 이스라엘의 TI 프로그램 발전과정	112
[그림 5-4] 가구주의 자녀에 대한 기대 교육수준	115
[그림 5-5] P-TECH의 진학-취업 통합 모델	120
[그림 5-6] 스마트러닝 교수학습모형	123
[부록 그림 1] 창조산업 육성전략	164
[부록 그림 2] 진로교육의 기본철학 8가지	166
[부록 그림 3] 진로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175
[부록 그림 4] 과학·경제·문화·기술적 창조성의 관계	176
[부록 그림 5] 창조사회로의 발전	176
[부록 그림 6] 인생 100세 시대의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205
[부록 그림 7] 직선형에서 곡선형으로의 진로 경향의 변화	206
[부록 그림 8]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의 다양성	208
[부록 그림 9] 평생학습 차원에서의 진로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방향	210
[부록 그림 10] 진로교육이 담아야 할 새로운 영역	21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창조경제 시대의 진로교육 패러다임 연구 2013.01.01~201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