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지역 대학생들의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인식 조사

A Study on Regional College Student’s View about the Employment in Intra-regional Small Company
저자
양정승 황성수 류지영
분류정보
기본연구(2013-4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2.31
등록일
2014.02.0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선행연구 및 연구의 구성	 6
제3절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조사 개관	 10
제2장 지역별 중소기업 일자리 현황_13
제1절 지역별 중소기업 일자리의 양적 현황	 15
제2절 지역별 중소기업 일자리의 질적 현황	 24
제3장 지방대학생의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 실태_29
제1절 지방대학생의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 현황	 31
제2절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 지방대학 졸업자의 이직	 43
제4장 지방대학생의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인식조사_47
제1절 설문조사 개요	 49
제2절 설문조사 결과	 55
제3절 설문조사 요약 및 소결	 84
제4절 지역 내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간담회	 87
제5장 결론과 정책 제언_97
제1절 연구의 결과 요약	 99
제2절 정책 제언	 106
SUMMARY_117
참고문헌_131
부 록_133
<부록 1> 설문지	 135
<부록 2>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FGI 회의록	 141
<부록 3> 부처별 중소기업 대졸 청년인력 지원 정책	 249
 본 연구는 청년노동시장 문제를 해결하고 지방 중소기업의 인력부족을 완화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지역 대학생들의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이 중요하다는 관점 하에, 지역 대학생들의 지역 내 중소기업 및 취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ook into the regional college student’s view about the employment in intra-regional small and medium companies(hereafter SMEs) and seek the policy implications in view that regional college student’s employment into the intra-regional SMEs is important for accelerating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by solving the youth labor market problem and easing the job vacancy. In the paradoxical situation of coexistence of the difficulty in filling the job vacancy and the hardship of finding jobs for the college graduates, it is import to see what they think of each other in each side’s view because it is a basement for solving the disequilibrium between labor demand and supply.
<표 2-1> 지역별 4년제 대학 졸업자 수와 중소기업 청년 취업자 수	 16
<표 2-2> 중소기업 일자리 산업별 분포	 18
<표 2-3> 중소기업의 지역별 미충원 인원과 부족 인원	 22
<표 2-4> 직능 수준별 구인, 채용 및 미충원 인원	 23
<표 2-5> 지역별 대졸 청년취업 가능 중소기업 일자리의 질	 25
<표 2-6> 재직 연수별 인원 분포	 26
<표 2-7> 연령대별 인원 분포	 27
<표 2-8> 학력별 인원 분포	 28
<표 3-1> 지역별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자 수와 비율	 32
<표 3-2>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	 34
<표 3-3> 지방대학 졸업 취업자의 근로조건	 38
<표 3-4> 취업자의 일자리 관련 만족도	 41
<표 3-5> 현 직장에서의 이직 계획	44
<표 3-6> 이직 현황	 46
<표 4-1> 조사 설계	 50
<표 4-2> 학교별 응답자 구성	 51
<표 4-3> 조사 항목	 53
<표 4-4> 응답자 특성	 54
<표 4-5> 응답자 특성별 직장/직업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58
<표 4-6> 대학 소재지별 취업처에 대한 호감도 비교	 60
<표 4-7> 취업계획처별 취업처에 대한 호감도 비교	 61
<표 4-8> 소재지 내 중소기업 취업고려경험별 취업처에 대한 호감도 비교	 62
<표 4-9> 응답자 특성별 졸업 후 취업처 계획	 63
<표 4-10> 응답자 특성별 중소기업 취업 시 지역별 희망연봉	 65
<표 4-11> 전체 사업체 중 중소기업 비중에 대한 인식	 67
<표 4-12> 전체 근로자 중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 비중에 대한 인식	 68
<표 4-13> 응답자 특성별 중소기업에 대한 호감도	 71
<표 4-14> 응답자 특성별 대학 소재지 내 중소기업에 대한 인지정도	 73
<표 4-15>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 고려 여부	 75
<표 4-16>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을 위한 구직활동 경험	 75
<표 4-17> 응답자 특성별 대학 소재지 내 중소기업 취업을 고려하지 않은 이유	 80
<표 4-18> 응답자 특성별 재학 중 전공 관련 업무로 중소기업에서 일해 본 경험	 81
<표 4-19> 응답자 특성별 대기업/공공기관 취업을 위해 졸업 후 투자가능 기간	 83
[그림 1-1] 전체 고용률과 청년층 고용률 추이	4
[그림 3-1]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자와의 월평균임금 격차	39
[그림 4-1] 직장/직업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56
[그림 4-2] 취업처별 호감도	59
[그림 4-3] 취업처별 호감도 비교	59
[그림 4-4] 졸업 후 취업처 계획	62
[그림 4-5] 중소기업 취업시 지역별 희망연봉	64
[그림 4-6] 중소기업 사업체 비중 및 근로자 비중에 대한 인식	66
[그림 4-7] 중소기업에 대한 호감도	69
[그림 4-8] 대학 소재지 내 중소기업에 대한 인지정도	72
[그림 4-9] 대학 소재지의 중소기업 취업 고려여부 및 구직활동경험	74
[그림 4-10] 중소기업채용정보 획득처	76
[그림 4-11] 지역 내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 획득의 용이함	77
[그림 4-12] 지역 내 중소기업에 취업을 고려하지 않은 이유	78
[그림 4-13] 대기업/공공기관 취업을 위해 졸업 후 투자가능 기간	8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지역 대학생들의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인식 조사 2013.09.25~201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